2010-07-26 | 빠이롯트 핸드라이팅

Editor’s Comment

활자가 등장하기 전까지, 글자는 곧 손글씨와 동의어였습니다. 문자에 형태를 부여하는 것은 필기구를 쥔 손이었고, 글자와 손의 주인은 일대일의 대응 관계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육필이라는 말이 존재하듯이요. 하지만 글씨를 쓰는 손 대신 자판을 치는 손이 우세해졌고, 심지어 글자마저 지면을 떠나고 서체마저 물리적 몸체를 벗어나 디지털화된 지 오래입니다. 그러한 와중에 ‘손글씨 디지털 폰트’ 류가 글씨 쓰는 손과 자판을 치는 손의 공존을 도모하기도 합니다. 12년 전 오늘의 소식 ‘빠이롯트 핸드라이팅’도 그랬습니다.

한글 표기 방식에서부터 역사가 물씬 느껴지는 전통의 필기구 회사 빠이롯트(Pilot). 손글씨 보다는 디지털 폰트가 필기구 보다는 키보드가 더 익숙한 요즘, 그들이 ‘빠이롯트 핸드라이팅(Pilot Handwriting)’으로 필기구와 디지털 폰트의 공존을 시도한다. 

방법은 이렇다. 제공되는 글자 템플릿을 한 칸 한 칸 손으로 채운 후, 이를 디지털 카메라나 스캐너로 촬영해 사이트에 올리면, 디지털 손글씨가 완성된다. 글자 별로 굵기나 모양 등의 수정을 거치고 나면 최종 완성. 이렇게 완성된 폰트를 이용하여, 빠이롯트 핸드라이팅 사이트 상에서 지인들에게 손글씨 메일을 몇 번이고 보낼 수 있다. 

디지털 손글씨 폰트 제작은 그리 새로운 일이 아니지만, ‘손글씨 이메일’이란 아무래도 필기구 브랜드의 발상다운 구석이 있다. 지금 빠이롯트 핸드라이팅에서 당신의 손글씨 메일에 도전해 보시길. 

www.pilothandwriting.com
via core77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V&A, 전시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

런던 빅토리아 앨버트 박물관(V&A)에서 앨리스 기획전 ‘앨리스의 호기심(Alice: Curiouser and Curiouser, 2021. 5. 22....

2010-07-19 | 율리아 하스팅의 북디자인 

파이돈 출판사의 책을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이름, 율리아 하스팅입니다. 그래픽 디자이너로서 활동하다 파이돈의 책들을 디자인하며 이 출판사와 인연을 맺은 그는, 2000년에는 파이돈에 신설된 디자인 부서의 아트 디렉터로 합류했고, 2007년부터는 출판사의 디자인 디렉터로서 여전히 파이돈에 몸담고 있습니다. 

2007-06-29 | 바젤 시민들, 신슈타트카지노에 반대표를 던지다

바젤시의 슈타트카지노는 이름은 카지노이지만 실제로는 콘서트홀입니다. 본래의 건물은 1824년에 지어졌지만, 현재의 건물은 다시 지어져 1939년에 문을 열었습니다. 이 건물을 새롭게 단장하기 위해 2003년 바젤시는 건축 설계안을 공모했고, 자하 하디드의 설계가 당선되었지요. 그의 설계는 마치 이 유서 깊은 문화 지구의 원 콘서트홀 위로 이질적인 매스가 착륙해 감싸 안은 듯한 모습이었습니다. 그래서였을까요. 2007년 바젤 지역 주민들은 이 ‘신슈타트카지노’ 사업에 반대표를 던졌고, 결국 사업은 무산되었습니다.(...)

낫플라 페이퍼: 해조류 부산물로 만든 종이

영국의 친환경 패키지 브랜드 ‘낫플라(Notpla)’는 해조류를 사용해 패키지 박스나 봉투에 사용될 종이를 제작했다. 생분해성...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