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6-27 | 최고급 보석을 훔치다

Editor’s Comment

마이크와 마이커는 세상 값진 보석들을 훔쳐와 자신들만의 장신구 컬렉션을 만들었습니다. 악명 높은 이멜다 마르코스의 그 반 클리프 & 아펠 루비 목걸이라던가 카르티에의 ‘투티 프루티’ 같은 것들을요. 물론 그들이 훔친 것은 실물이 아니라 이미지입니다. 그것도 저해상도의 이미지였죠. 실재하는 것의 열화 이미지를 다시 실물화한 장신구 컬렉션, ‘훔친 보석’입니다.

마이크 앤드 마이커(Mike and Maaikie)는 세계에서 가장 값비싼 보석을 ‘훔쳐’ 자신들만의 컬렉션을 만들었다. 이들의 ‘훔친 보석(Stolen Jewels)’ 시리즈는, 카르티에 같은 유서 깊은 보석 브랜드의 제품은 물론이고, 악명 높은 이멜다 마르코스의 루비 목걸이 같은 유명 장신구의 ‘이미지’를 훔쳐 만들었다. 

마이크 앤드 마이커는 구글 이미지 검색을 통해 이들 보석류의 컬렉션 이미지를 수집하여, 이를 픽셀화된 저해상도 이미지로 변형시켰다. 그리고 이를 다시 프린팅하여 가죽류에 부착하여 만들어낸 것이 바로 ‘훔친 보석’ 컬렉션이다. 즉 이 모든 디자인에는 실재하는 원본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를 초저해상도의 이미지로 변환함으로써, 마이크 앤드 마이커는 보석에 관한 근본적인 질문을 은근슬쩍 제기한다.

보석만큼 한 대상의 실제 가치와 인지적 가치 상의 차이를 극명하게 드러내는 예가 있을까? 흔히 사용가치와 교환가치를 비교할 때 대표적으로 드는 예가 바로 보석이 아니었던가. 이들은 유형의tangible 실재 보석과 가상의virtual 픽셀화된 이미지의 대조 속에, 보석의 실제 가치와 인지 가치의 차이를 겹쳐놓는다. 물론 모자이크 처리라도 된 듯한 픽셀 디자인이 보여주는 흥미도 빼놓을 수 없겠지만 말이다. 

https://www.mikeandmaaike.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8-10-06 | 파트리시아 우르키올라 x 로젠탈

파트리시아 우르키올라와 로젠탈의 첫 번째 협업으로 탄생한 자기 컬렉션 ‘풍경’과 그 탄생 과정을 한자리에 모아 런던 디자인뮤지엄에서 전시가 열렸습니다. ‘순수 자기’ 전은 특정한 제품 컬렉션에 관한 전시이기도 하지만, 이를 통해 파트리시아 우르키올라라는 디자이너를 바라보는 전시이기도 했습니다. 가령 장식에 대한 그녀의 애정은 이 자기들에서도 유감 없이 표현되었죠.

베스트레, 지속가능한 가구 공장 ‘더 플러스’ 오픈

18개월의 공사 기간 끝에, 노르웨이 가구 제조 업체 베스트레(Vestre)에서 ‘세계에서 가장 친환경적인 가구 공장,...

2009-07-07 | 아이디어 콘센트 & 플러그 디자인

2009년 RCA 졸업전시회에 등장한 플러그와 콘센트. 각각 다른 사람의 작업이 뜻밖의 한 쌍을 이루었으니, 최민규의 ‘접이식 플러그’와 조지 모어낵의 ‘울트라 리드’입니다. 최민규는 영국의 3핀 플러그를 접이식으로 한층 날렵하게 변모시켰고, 이를 십분 활용한 플러그형 멀티탭도 디자인하였습니다. 조지 모어낵은 각기 다른 형태의 플러그에 대응하는 콘센트를 하나하나 연결하여 연장하는 멀티형 콘센트를 선보였고요. 최민규의 ‘접이식 플러그’ 소식은 여기에서 끝나지 않았습니다. (...)

2010-10-27 | 신경과학으로 바라본 갭 로고 논쟁

2010년 갭이 새로운 로고를 공개하자, 반응은 뜨거웠습니다. 문제는 그것이 좋은 쪽이 아니었다는 점이었죠. 도대체 새 로고는 왜 그토록 부정적인 반응을 불러 일으켰던 것일까요. 그에 관한 신경과학적 분석까지 등장했으니, ‘쇼핑하는 뇌’에 집중한다는 마케팅 회사 뉴로포커스도 갭 로고 사태에 말을 얹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