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8-23 | 레고를 든 건축가들

Editor’s Comment

〈아이콘〉 매거진 098호는 ‘장난감’ 특집이었습니다. 그래서 이런 기획이 진행되었습니다. 편집부는 런던의 유명 건축사무소 여러 곳에 ‘레고 아키텍처’ 세트를 안겨, 그것으로 새로운 건축 모형을 만들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과연 그 결과는 어땠을까요. 2011년 오늘의 소식에서 확인해보시죠.

‘레고 아키텍처’ 시리즈 중 ‘낙수장(Falling Water)’ 

건축과 가장 친연한 장난감이라면 역시 레고(LEGO)가 아닐까? ‘레고 아키텍처’ 시리즈의 출시가 자연스러워 보이는 것도 당연한 일이다. <아이콘 ICON> 매거진 최근호에 흥미로운 레고 건축 모형들이 등장했다. <아이콘>은 런던의 몇몇 건축사무소에 레고 상자를 안겼다. 기존 ‘레고 아키텍처’ 세트를 가지고 새로운 건축 모형을 만들어달라는 요청이었다. 그렇게 기존 모형들을 해체하고 뒤섞고 재조립하여 만든 레고 건축물들이 <아이콘> 98호에 소개되었다. 

아트모스 스튜디오(Atmos Studio)

아트모스 스튜디오(Atmos Studio)는 ‘낙수장’ 모형을 불에 구워 경관과 구조물을 한 덩어리로 만들었고, 아디아예 어소시에이츠(Adjaye Associates)는 백악관을 파사드와 지하 벙커로 축소시켰다. 포스터+파트너스(Poster + Partners)는 ‘낙수장’과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 레고 세트를 뒤섞어 수직적인 도시 경관을 창조하기도. 아마도 가장 급진적인 결과물은 FAT 의 모형일 것이다. 그들은 ‘낙수장’ 모델을 분해하여 배열,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의 ‘브로드에이커 시티’를 연상시키는 도시 마스터플랜을 제안하였다. 

레고를 든 건축가들. 그들의 작업을 아래 <아이콘> 매거진 사이트에서 확인해 보시길.

[ICONEYE] Lego models remade in Icon 098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3-29 | 보이콧에 대한 구겐하임의 응답

지난주에는 2011년 있었던 구겐하임 아부다비 건설 현장의 이민 노동자 착취 현실에 항의하는 보이콧 운동 소식을 전해드렸는데요. 오늘은 그에 이어지는 소식입니다. 미술인들의 항의 서한에 구겐하임 재단 측이 답변을 내놓았는데요. 항의의 기반이 된 2010년도 9월 인권감시단 보고서에는 구겐하임의 지속적인 노력으로 이미 개선된 사항들이 반영되어 있지 않다면서, 이렇게 항변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지만, 그렇다고 당신의 성명이 묘사한 대로 우리가 양심 없는 수동적 존재는 아니다.”

주변적 디자인 #2 아이돌 팬덤 비공식 굿즈

바야흐로 K-pop의 시대다. 이번 세기 들어 그렇지 않은 적이 없지만, 최근 몇 년간은 더...

2009-01-06 | 익스페리멘털 젯셋의 새 웹사이트

익스페리멘털 젯셋의 첫 웹사이트 리뉴얼의 핵심은 ‘아카이빙’이라 하겠습니다. 그간의 작업 전체를 망라한다는 것은 실패작까지도 포함한다는 뜻이고, 익스페리멘털 젯셋은 이를 두고 “일종의 아카이브 몬스터”라 표현하기도 했습니다. 개별 작업은 ‘아카이브’ 메뉴의 텍스트형 목록과 ‘프리뷰’ 메뉴의 이미지형 목록 두 가지 방식으로 접근 가능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기조는 2022년 지금의 홈페이지에서도 그대로 이어지고 있지요. 

2011-06-03 | 벨-오르골

사토 오키가 이끄는 디자인 회사 넨도의 작업은 작은 열쇠에서 11층 건물에 이르기까지 그야말로 다양합니다. 2002년 도쿄에 사무실을 연 이래, 넨도는 한 해에만도 수백 개의 프로젝트를 동시다발적으로 진행하는 디자인 회사가 되었지요. 그중에서도 2011년 넨도가 선보인 감미로운 소품이 오늘의 소식입니다. 편백나무를 종 모양으로 깎아 만든 오르골. 여기에 손잡이나 고리 같은 요소들을 응용해 작동 방식을 달리한 점이 흥미롭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