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7-28 | 화장실 재발명

Editor’s Comment

“지난 200년 간 그 어떤 혁신도 변기의 발명으로 촉발된 위생 혁명 이상 인명을 구하고 건강을 개선하지는 못했다. 하지만 충분히 나아가지는 못하고, 세상의 1/3까지만 다다랐을 뿐이다.” 세기가 바뀐 지 10년이 지났지만, 우리가 아는 모습의 화장실은 세계 인구 2/3에게는 희귀한 것이고, 아예 화장실이랄 것이 없는 인구도 10억 명에 달합니다. 그 결과는 참혹해서, 5세 이하 어린이의 사망 원인 두 번째가 설사병이며, 매년 1백만 명의 어린이가 적절한 위생 설비가 없어 목숨을 잃습니다. 2011년 빌 & 멜린다 게이츠 재단이 ‘화장실 재발명’ 프로그램을 시작한 이유입니다.

개발도상국에 안전하고 저렴한 화장실을. 빌 & 멜린다 게이츠 재단(Bill & Melinda Gates Foundation)이 화장실 리디자인을 위한 연구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재단의 세계 개발 프로그램 대표 실비아 매튜스 버웰(Sylvia Matthews Burwell)은, 지난 19일 르완다 키갈리에서 열린 아프리카샌 컨퍼런스(AfricaSan Conference)에서 기조 발표를 통해 이와 같은 계획을 밝혔다. 

“지난 200년 동안의 그 어떤 혁신도, 변기 발명으로 촉발된 위생 혁명보다 더 많은 인명을 살리고, 건강을 개선하지는 못했다.” 하지만 수세식 변기는 여전히 세계 인구의 1/3만의 것이다. 심지어 10억 명의 사람들은 화장실이라 할 만한 것조차 없다. 빌 & 멜린다 게이츠 재단은 이것이 세계 인구의 40%에 영향을 미치는 긴급한 문제임을 강조한다. 

위생적이고 저렴하며 믿을 수 있는 위생 시스템의 개발을 위해, 빌 & 멜린다 게이츠 재단은 관련 연구 단체, 기관에 4,150만 달러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재단과 협력 단체, 기관들은 특히 경제적인 방안 개발에 초점을 맞출 예정이다. 위생 서비스는 1일 1명 당 5센트 이상의 비용이 들어서는 안되며, 설치 및 사용, 유지가 용이해야 한다는 것. 

이와 같은 기조 하에, 여러 개의 연구들이 재단의 지원 하에 진행된다. 대학교 여덟 곳에서 진행되는 ‘화장실 재발명’ 프로그램도 그 중 하나다. 참가 대학들은 각자 수도, 하수도, 외부 전력 연결 없이 설치 가능한 단독형 화장실을 리디자인한다. 이를 비롯해 지원이 결정된 사업, 연구 프로그램의 내용은 화장실 시설 연구를 넘어, 배설물의 재이용 에너지, 비료, 정수 처리 과정까지도 포함하고 있다. 

www.gatesfoundation.org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체르노빌의 사라지는 로고, 살아나는 기억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가 폭발한 지 35년이 지난 지금, 이 사건을 잊지 않기 위해 디자인된...

2008-06-11 | AMD 오픈 아키텍처 챌린지 수상작

인도적 위기에 대한 건축의 응답. 아키텍처 포 휴머니티의 활동은 그렇게 요약할 수 있을 것입니다. 1999년 설립 이래 아키텍처 포 휴머니티의 2000년대는 여러 모로 분주했습니다. 전쟁, 재해, 질병 등 건축적 개입이 절실한 지역 공동체와 사회적 디자인을 고민하는 디자이너, 건축가를 연계하는 플랫폼으로서, 세계 곳곳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오픈소스 건축 네트워크를 여는가 하면 국제 디자인 공모전을 개최하였지요. 인덱스 어워드, TED 프라이즈 등 수상도 이어졌습니다. 하지만 어디로도 연결되지 않는 오늘 뉴스의 하이퍼링크들이 암시하듯, 아키텍처 포 휴머니티는 2015년 파산을 신청하며 15년 활동의 막을 내렸습니다.

2006-10-25 | 타일러 브륄레, 〈모노클〉 창간

기자였던 그는 <월페이퍼> 매거진을 창간하며 발행인으로 변신했습니다. 그리고 11년 뒤 새로운 잡지와 함께 업계에 귀환했지요. 바로 <모노클>입니다. 타일러 브륄레 는 비즈니스와 라이프스타일 모두를 아우르는 국제적인 감각의 인쇄 잡지를 선보였고, 그 이후의 이야기는 아시는 것과 같습니다.

2007-07-18 | 뉴 디자이너스 2007

2007년 오늘은 영국 ‘뉴 디자이너스’ 전시에서 주목받은 두 개의 전시작을 소개했습니다. 1985년 시작된 뉴 디자이너스는 이제 졸업을 앞둔 혹은 디자이너로서의 첫 해를 보낸 젊은 디자이너들의 작업을 한자리에서 선보이는 행사입니다. 베선 그레이, 제이 오스거비, 리 브룸 같은 이들도 뉴 디자이너이던 시절, 이 전시에 참여한 바 있죠. 올해의 행사는 바로 얼마 전인 7월 9일 막을 내렸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