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11-23 | 시장을 품은 아파트

Editor’s Comment

주상복합건물이 새로울 것은 없지만, 또 이런 건물은 흔치 않을 것입니다. MVRDV가 설계한 ‘마켓 홀’의 놀라운 부분은 건물이 재래 시장을 품고 있다는 점입니다. 건물이 곧 시장의 아케이드가 되어 흥미롭게 동거합니다. ‘마켓 홀’은 예정대로 2014년 완공되었고, 그 모습은 이곳에서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로테르담 중심부, 유서 깊은 라우렌스 성당 근처에, 도시형 재래 시장이 들어선다. 지난 18일, 로테르담 시가 ‘마켓 홀(Market Hall)’의 착공을 발표했다. 프로바스트가 개발하고, MVRDV가 설계한 ‘마켓 홀’은 흥미롭게도 재래 시장과 주택의 “하이브리드” 건물이다. 

아치 형태의 아파트가 만들어내는 거대한 홀 안에, 100여 개의 시장 노점 및 기타 상점, 식당들이 자리잡게 된다. 이러한 설계를 통해 여느 주상복합건물과는 다른, 재래 시장 고유의 형태와 활기를 유지한 것이다. 지하에는 1,200대 규모의 주차장도 마련된다. 이처럼 ‘마켓 홀’은 시장, 레저, 주거, 주차와 같은 상이한 기능들이 통합된 새로운 유형의 공공 빌딩이라 할 수 있다. 

아치형 건물에는 총 228 채의 주택이 마련된다. 아파트마다 바깥으로 발코니를 지니고 있으며, 시장 쪽으로 향한 창문도 마련되어, 시장 내부의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형태의 설계로 인해 우려되는, 몇 가지 “원치 않는 효과”들을 방지하기 위해, 단열 및 방음에 중점을 둘 예정이라고. 

all images ⓒ Provast 
courtesy of MVRDV

‘마켓 홀’은 로테르담 전후 센터(Rotterdam Post War Centre)가 진행 중인 도시 재생 계획의 일환으로, 2014년 완공 예정이다. 건물은 전체10만 평방미터 규모이며, 건축에는 총 175만 유로가 투입된다. 

www.markthalrotterdam.nl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09-07 | 디터 람스 – 레스 앤드 모어

디자인에 그다지 관심이 없는 사람에게도 이 이름은 낯설지 않을 것입니다. 또 디자이너들의 디자이너이기도 하죠. 2009년 런던 디자인뮤지엄에서 ‘디터 람스 – 레스 앤드 모어’ 전시가 열렸습니다. 전시는 디터 람스의 40년 커리어 중에서 약 12년 정도의 기간에 집중하며, 그 시기의 “랜드마크”라 할 제품 작업들을 통해, 디터 람스의 세계를 조명했습니다. 

2007-07-05 | 지속불가능한 장신구

모두가 지속가능성을 강조하는 와중에 흐레이트여 판 헬몬트는 정확히 그 반대를 디자인했습니다. 그의 ‘지속불가능’은 설탕으로 만든 장신구 시리즈입니다. 그토록 연약하고 지속불가능한 소재로 된 이 장신구들은 역설적으로 설탕보다 훨씬 튼튼한 소재들이 처하는 현실을 가리킵니다. 소재의 내구성과는 무관하게 결정되는 제품의 교체 주기라는 문제를 말이죠. 

2007-04-09 | 휴대폰의 시대, 시계의 운명은?

2007년이라면 아이폰이 발표되어 시장에 등장한 해입니다. 4월 9일의 이 뉴스는 아직 휴대폰이 그렇게까지 ‘스마트’하지 못했던 때에도, 이미 제 기능을 휴대폰에게 내주었던 시계의 운명에 관한 기사입니다. 자기표현의 수단 혹은 휴대용 전자기기화. 두 가지가 양립 불가능한 관계의 선택지는 아닙니다만, 어쨌든 후자의 흐름이 현실이 되어 스마트시계라는 카테고리가 태어났습니다. 문제는 그것이 시계 시장 외부에서, 그것도 다름 아닌 휴대폰 시장으로부터 왔다는 것입니다. 전통적인 시계는 지금 다시 한 번 시계의 모습을 한 기기와 경쟁하는 중입니다.

2010-08-04 | 비행 도시

유서 깊은 도자 기업과 현대미술가가 만나면 어떤 결과가 나올까요. 님펜부르크 처음으로 협업을 청한 '미술가'는 카르슈텐 횔러입니다. '비행 도시'는 20세기 초 러시아의 구성주의 건축가이자 미술가인 게오르기 크루티코프가 구상한 동명의 도시 구상 그리고 1894년 찰스 베넘이 발명한 흥미로운 색상 착시 장난감을 원천으로 삼았습니다. 그리고 통상의 제품 형식과 '설치 작품'의 형식 두 가지로 결과물을 선보였지요. 오늘은 도자 기업과 미술가의 흔치 않은 만남을 다시 살펴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