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1-28 | 디자인 발견

Editor’s Comment

“디자인은 무엇이고 어떤 일을 할 수 있나.” 런던 디자인 뮤지엄이 2009년 ‘디스커버 디자인’이라는 이름의 교육 프로그램 페이지를 열었습니다. 어떤 사물이 왜 그러한 모습이고 무엇으로 어떻게 만들어졌으며 기능은 무엇이고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와 같은 기본적인 질문을 통해, 디자인에 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도와줍니다.

디자인 뮤지엄이 디자인에 대한 비평적, 창의적 접근을 고무하고자, ‘디스커버 디자인(Discover Design)’을 오픈했다. 디자인 교육자, 학생, 그리고 디자인 애호가들에게 유용할 법한 곳이다. 

“디자인은 어디에나 존재한다. 우리는 디자인에 둘러싸여 있지만, 그 물건들이 어째서 그러한 방식으로 존재하는지에 관해서는 그다지 자주 생각하지 않는다.” ‘디스커버 디자인’에서 우리는 디자인에 관해 네 가지 기초적인 질문을 던지며, 디자인의 의미와 효과를 차근차근 되짚어 보게 된다. 외관, 소재, 기능, 그리고 영향력이라는 네 가지 관점을 통해 구체적인 디자인 사례에 접근해 보는 과정은, 과연 ‘디자인의 발견’이라 부를 만하다. 이 곳에 소개된 물건들은 작게는 종이 클립에서 프랭크 게리의 ‘위글(Wiggle)’ 의자까지 다양하고, 또한 낯선 디자인 용어들은 ‘디자인 사전’을 통해 바로 찾아볼 수 있다.

이 사이트는 미술관이 고민하는 방문자 경험 제고를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볼 수 있다. 일상적인 디자인 교육의 일환인 동시에, 디자인 뮤지엄 방문객들을 위한 종합적인 서비스인 셈. 특히 학생들의 단체관람을 보다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여러 가지 가이드 서식도 제공되고 있다. 

https://designmuseum.org/discover-design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5-26 | 〈토털〉 앨범 커버 디자인

조이 디비전과 뉴 오더의 노래들을 담은 하나의 음반. <토털>의 슬리브 디자인에 관한 피터 사빌의 이야기를 <가디언>에서 빌려와 봅니다. “이것이 수퍼마켓에서 판매되고 텔레비전에서 광고될 음반이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래서 커버에 ‘높이 쌓아, 싸게 판다’ 식의 미학을 담았다. 앨범을 열면 ‘Total’이라고 쓰여 있지만, 접힌 상태에서는 ‘O’자들만 보인다. 앨범에는 ‘조이 디비전에서 뉴 오더까지’라고 쓰여 있는데, ‘베스트 오브’라는 말을 견딜 수가 없었다.인디 레코드샵에서 테스코까지는 머나먼 길이었으니, 거의 33년의 세월이었다. 팩토리에서는 홍보 디자인에 있어 유례 없는 자유가 있었고, 비즈니스의 간섭 없이 이상을 누렸다. 그것은 하나의 현상이었다.”

2011-10-28 | 헬프의 새 포장 디자인

의약품계의 미니멀리즘이라고 할까요. 헬프라는 이름의 제약 회사는 많은 것을 ‘덜어내는’ 방식으로 차별화를 도모했습니다. 간결하고 단순한 포장, 평문으로 된 증상을 강조한 제품명처럼 말이죠. 2011년 헬프는 “테이크 레스”라는 캠페인을 전개하며, 리브랜딩을 진행했습니다. 미니멀의 기조는 여전히 유지하되 시각성을 조금 더 높이는 방향으로요. 

2009-07-02 | 보노, 레이저 재킷을 입다

240개의 레이저가 쏘아내는 빛이 술을 이루는 재킷. U2의 보노가 ‘360도’ 투어 무대에 입고 오른 의상입니다. 레이저 재킷을 만들어낸 주인공은 모리츠 발데마이어입니다. 2004년 론 아라드의 스와로브스키 인터랙티브 샹들리에 콘셉트를 실제로 구현하며 데뷔한 그는 이후로도 잉고 마우러, 자하 하디드 등 다른 디자이너와의 협업을 이어오다, 이내 본인의 이름만으로도 주목받는 예술, 기술, 디자인, 패션의 융합가가 되었습니다. 2009년 오늘자 뉴스에서, 모리츠 발데마이어의 재킷과 함께 U2의 ‘울트라 바이올렛’ 무대도 만나보시죠.

고속도로 옆, 작은 집 마을

레흐럴 건축사무소(Lehrer architects)에서 진행중인 ‘작은집 마을(Tiny House Villages)’ 프로젝트 중 ‘휘트세트 웨스트 스몰 홈타운(Whitsett...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