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1-05 | 샤넬 모바일 아트 컨테이너

Editor’s Comment

샤넬을 상징하는 그 퀼팅백에서 영감을 얻은 동시대 미술 작품들을 싣고 세계를 여행할 컨테이너. 샤넬은 이 ‘모바일 아트’ 컨테이너의 설계를 자하 하디드에게 의뢰하였습니다. 우주선을 닮은 그의 이동식 전시 파빌리온은 2010년까지 세계 여행을 마치고, 2011년 파리 아랍세계연구소 앞마당에 안착하였습니다. 

샤넬이 새로운 아트 캠페인 ‘모바일 아트’를 런칭한다. ‘모바일 아트’에는 18인의 저명한 작가들이 참여하여, 샤넬의 저 유명한 핸드백, 즉 누빔처리된 가죽과 체인 손잡이로 샤넬의 아이콘이 된 바로 그 가방에서 영감을 얻은 작품들을 선보일 예정이다. 그리고 이들 작품을 싣고 여행할 이동식 컨테이너의 디자인은 건축가 자하 하디드가 맡았다. 

<뉴욕타임즈>에 공개된 컨테이너의 모습은 빛나는 화이트 컬러의 파이버글래스 소재와, UFO를 연상시키는 형상이 빚어내는 미래적인 감각으로 가득차 있다. 어떤 의미에서 이 ‘모바일 아트 컨테이너’의 진정한 전시작은 컨테이너 그 자체인지도 모르겠다. 칼 라거펠트는 “바우하우스의 전체주의에서 벗어난 이 스타 건축가”의 능력에 감동을 받았으며, 그녀가 샤넬과 현대 예술 및 디자인을 연계하는 공간적 스펙타클을 창조해주길 바랐다고. 

칼 라거펠트와 자하 하디드, 그리고 샤넬과 현대 예술의 만남. ‘모바일 아트 컨테이너’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3년 동안, 홍콩을 시작으로 뉴욕, 파리, 도쿄, 모스크바, LA, 런던 등 세계 주요 도시를 여행하게 된다. 

ⓒ designflux.co.kr

학부와 대학원에서 디자인학을 전공하고, 2000년대 디자인 공공성 담론에 관한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건국대학교 메타디자인연구실 소속 연구원으로, 현재 제주대학교에 출강하고 있다. 『세기 전환기, 한국 디자인의 모색 1988~2007』, 『행복의 기호들: 디자인과 일상의 탄생』에 필진으로 참여했고, 전자책으로 『잃어버린 미스터케이를 찾아서』를 펴냈다.다. 디자인 스튜디오 겸 출판사인 아키타입(archetypes)을 운영하며 저술과 출판 활동 등을 통해 책과 기록물을 만들고 있다.

이번 아티클 어떻게 보셨나요?

Designflux 2.0은 독자의 피드백을 기다립니다. 아티클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여러분의 관심과 참여가 콘텐츠를 전하는 데 큰 힘이 됩니다.

More Articles

2010-10-27 | 신경과학으로 바라본 갭 로고 논쟁

2010년 갭이 새로운 로고를 공개하자, 반응은 뜨거웠습니다. 문제는 그것이 좋은 쪽이 아니었다는 점이었죠. 도대체 새 로고는 왜 그토록 부정적인 반응을 불러 일으켰던 것일까요. 그에 관한 신경과학적 분석까지 등장했으니, ‘쇼핑하는 뇌’에 집중한다는 마케팅 회사 뉴로포커스도 갭 로고 사태에 말을 얹었습니다.

2011-06-14 | 캄파나 형제의 러그 디자인

브라질을 대표하는 형제 디자이너 움베르투 & 페르난두 캄파나의 2010년도 러그가 2011년 디자인 마이애미/ 바젤을 찾았습니다. 풀밭 위에 누워 있는 듯한 사람들의 모습이 평면이 아닌 입체로, 그러니까 봉제 인형들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왜 하필이면 봉제 인형일까요. 또 그것에 담긴 함의는 무엇일까요.

‘소리의 질서’: 소리의 데이터 세계로 이끄는 문

예술가 겸 건축가 크리스토스 부티히티스(Christos Voutichtis)가 제너러티브 아트 ‘소리의 질서(Order of Sound)’를 선보였다. 이...

사물이 말을 한다면 #4 노매드, 스마트폰

오늘로 몇 번째일까? 그 누구라도, 안전 장치 없이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일은 살면서 정말...

Designflux 2.0

Designflux 2.0는 디자인매터스랩(Design Matters Laboratory)에서 운영하는 웹진입니다.
Designflux 2.0에서는 디자인을 수단 삼지 않는 디자인의 이야기를 하고자 합니다.
이에 참여하기를 원하시는 분들은 연락해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