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 페이스북의 새 이름 메타, 대체어 챌린지

페이스북의 새 사명 ‘메타’의 로고, 2021. © Meta

미국 현지 시각으로 2021년 10월 28일, 페이스북의 CEO 마크 저커버그가 새 사명 ‘메타(Meta)’를 발표했다. ‘메타’는 메타버스를 일상으로 가져와 사람들을 연결하고, 커뮤니티를 찾아주며, 비즈니스를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페이스북의 파격적인 이번 발표 직후, 디자인 이머전시(Design Emergency)에서는 인스타그램에 대체 용어 공모 챌린지를 시작했다. 

이 게시물에서 이들은 “디자인 이머전시 챌린지! 제발 테크권위자(tech-Gru) 마크 저커버그가 망쳐버린 ‘메타(meta-)’를 대체할 접두사와 ‘메타버스’를 표현할 수 있는 새로운 단어를 찾아주세요”라는 문구로 시작하여 날 선 비판을 이어갔다.

“‘메타’라는 접두사는 눈부신 미래를 함의하고 있었다. 다양한 측면을 아우르며 유동적인 세계를 나타내는 ‘메타’는 많은 이가 탐험하고 직접 살아보고 싶어하는 또 다른 차원을 나타냈었다. 그러나 그 의미의 유효기간은 지난 10월 28일로 끝이 났다. 페이스북의 CEO가 기업의 리브랜딩을 위해 ‘메타’를 납치해서 난도질해버린 그 날까지 말이다.”

1992년 소설 <스노 크래시>에서 ‘메타버스’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닐 스티븐슨은 지난 29일 트위터에 다음과 같은 메시지를 남겼다. “상황이 점점 혼란스러워지는 것 같다. 페이스북이 내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사실지만, 그 외에 나와는 전혀 무관한 일이다. 페이스북과 이 비즈니스에 관해 일절 대화를 나눈 바가 없다.” 이렇게 용어를 고안한 닐 스티븐슨마저도 페이스북의 행보에 당혹감을 표했다.

디자인 이머전시의 인스타그램에 업로드 된 밈, 2021. © design emergency

챌린지의 주최측에서는 우리의 존재 양태(state of being)는 저커버그가 활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며 사람들의 참여와 행동을 독려했다. “이에 대해 여러분들의 생각을 공유해주기 바란다. 적절한 대체어를 찾을 때까지 우리는 킹 밥(*영화 ‘미니언즈’에서 미니언 밥이 자신의 즉위식에서 외치는 대사 “King Bob!”)에 빙의해 ‘바나나버스’를 가주어로 제안한다”며 이 챌린지의 문을 열었다.

디자인 이머전시는 뉴욕근대미술관(MoMA)의 큐레이터 파올라 안토넬리와 디자인 비평가 앨리스 로스손이 2020년에 코로나 19로 인해 부상하는 디자인의 역할과 영향을 탐구하기 위해 시작한 프로젝트이다. 매주 인스타그램 라이브 토크 시리즈를 진행하고 있다.

게시글과 사람들의 댓글은 이곳에서 볼 수 있다.

© designflux.co.kr


이서영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4-08 | 다음 10년, 20인의 디자이너

정확히 10년 전 오늘, 디자인 비평가 앨리스 로스손과 MoMA의 디자인 큐레이터 파올라 안토넬리가 다음 10년의 디자인을 조형할 20인의 디자이너를 꼽았습니다. 정말로 10년이 지난 지금 그 명단을 되돌아봅니다. 참고로 앨리스 로스손과 파올라 안토넬리 두 사람은 ‘디자인 이머전시’라는 이름으로 더 나은 미래를 지어나갈 디자인을 인스타그램에서 함께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2008-07-11 | “빌바오 효과란 허튼 소리다.”

2008년 서펀타인 갤러리 파빌리온의 건축가는 프랭크 게리였습니다. 의외로 이 임시 건축물이 영국에서는 처음으로 완성된 프랭크 게리의 건물이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파빌리온 공개를 맞아 열린 기자회견에서 다시 한 번 ‘빌바오 효과’에 언급되었죠. “빌바오 효과란 허튼 소립니다.” 그렇게 이야기한 주인공은 다름 아닌 프랭크 게리였습니다. 

2009-08-31 | 풍경을 러그 위에

발리의 계단식 논, 리세의 튤립 농원, 스트래스모어의 전원… 디자이너 리즈 유웨스가 러그 위에 올린 풍경들입니다. 정확히 조감의 시점으로 내려다 본 지상의 모습이 러그에 재현되었습니다. 그의 이 러그 시리즈는 2009년 100% 퓨처 전시에서 소개되었죠. 

2011-10-19 | 타시타 딘의 ‘필름’

타시타 딘은 줄곧 필름을 매체로 활동해온 미술가입니다. “화가에게 물감이 필요하듯 내게는 필름이 필요하다”고 말할 정도로요. 2011년 그가 테이트 모던에서 선보인 ‘필름’은 위기에 처한 필름의 물질성과 특유함을 전면에 드러냅니다. 아날로그 매체로서의 필름을 찬미하는 기념비인 동시에 쇠락해가는 매체의 초상. <가디언> 리뷰는 이를 두고 “오마주이자 레퀴엠”이라 표현하기도 했지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