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8-17 | 미켈 모라의 ‘평평한 미래’

Editor’s Comment

RCA에서 디자인 인터랙션을 공부하던 미켈 모라는 석사 학위 프로젝트로 ‘평평한 미래’를 생각했습니다. 종이라는 아주 오래된 사물에 미래를 입혔다고 해야 할까요? 디스플레이, 배터리 스피커와 같은 요소들을 종이 위에 프린트하여 종이를 기술의 평면으로 바꾸었습니다. 그렇게 그의 미래에서 종이는 사라질 유물이 아니라 강화된 기술적 사물이 되었죠.

테크놀로지와 2차원 세계의 만남을 탐색하는 젊은 디자이너가 있다. 영국왕립예술대학(RCA) 졸업생 미켈 모라(Miquel Mora)가 그 주인공이다. 미켈 모라의 ‘평평한 미래(Flat Futures)’ 프로젝트는 곧 디지털 종이에 대한 탐구이기도 하다. 그는 종이와 같은 2차원 표면 위에 프로세서, 디스플레이, 배터리 등을 새겨, 2차원의 평평한 사물에 테크놀로지의 옷을 입힌다. 테크놀로지가 탑재돼 있지 않은 2차원 물질에 테크놀로지를 입혀내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미켈 모라는 종이 시계 외 접착 테이프, 봉투 등 평면 위에 여러 전자 요소들을 새겨 넣었다. 컴퓨터 프로세서와 스피커 기능 등 전자 요소들을 프린트한 접착 테이프는 언제 어디서나 기존 제품을 향상시키거나 새로운 제품을 만들 때 활용될 수 있다. 메모리 봉투는 봉투가 배달되는 과정을 GPS 포지션을 통해 기억한다. 봉투의 지난 여행의 기록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게 된 셈. 

바로셀로나 출신의 미켈 모라는 현재 파리에서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그의 다양한 작품들이 궁금하다면, 홈페이지(www.miquelmora.com)를 방문해 보시길.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10-19 | 타시타 딘의 ‘필름’

타시타 딘은 줄곧 필름을 매체로 활동해온 미술가입니다. “화가에게 물감이 필요하듯 내게는 필름이 필요하다”고 말할 정도로요. 2011년 그가 테이트 모던에서 선보인 ‘필름’은 위기에 처한 필름의 물질성과 특유함을 전면에 드러냅니다. 아날로그 매체로서의 필름을 찬미하는 기념비인 동시에 쇠락해가는 매체의 초상. <가디언> 리뷰는 이를 두고 “오마주이자 레퀴엠”이라 표현하기도 했지요.

2008-01-04 | 허구의 디자인에 주목하라

제품이 되기 위한 전 단계로서가 아니라, 어떤 이야기를 전면화한 가상 또는 허구의 디자인. 2008년, 코어77의 수석 에디터 앨런 초치노프는 생산가능성과 무관한 상상과 아이디어를 담은 디자인 혹은 사물의 개념에 집중하여 그 자체를 소비의 대상으로 담은 디자인을 모두 아울러 ‘프로토타이핑’이라 부르며, 그러한 허구의 디자인에 담긴 가능성을 이야기하였습니다. 

외계인 대사관

네덜란드와 대만에서 활동하는 디자이너 찬 훙 루(Hung Lu Chan)의 인터랙티브 설치 작품 ‘외계인 대사관(The...

2009-06-29 | 하비에르 마리스칼, 삶을 그리다

“전위적인 디자인을 시도했는데, IOC에 가장 높은 수익을 안긴 올림픽 마스코트가 되었다.”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마스코트 ‘코비’의 이야기입니다. 귀엽겠다고 애쓰지 않는데 친근하게 마음을 끌고, 너무 단순한가 싶으면서도 미묘합니다. 정면과 측면이 공존하는 얼굴처럼요. 2009년 오늘의 소식은 코비의 디자이너 하비에르 마리스칼의 회고전입니다. 영국에서는 처음으로 열린 전시로, 그래픽과 일러스트레이션에서 가구, 인테리어에 이르는 마리스칼의 세계를 조망했습니다. 2013년에는 한국에서도 그의 전시회가 열렸지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