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11-16 | 코로플롯 디자이너 연봉 조사 결과

Editor’s Comment

구직 활동에 있어 급여는 중요한 척도지만, 개인이 접근하기에 쉽지만은 않았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코로플롯이 2001년부터 매년 공개해온 디자이너 연봉 조사 결과는 현업인에게도 지망생에게도 유용한 정보였습니다. 이제 디자인 업계의 급여 정보는 각종 잡보드에서도 확인할 수 있고, 코로플롯도 더이상 연 단위 보고서를 내놓지 않지만, 코로플롯에서 급여는 여전히 주요 메뉴 중 하나입니다. 오늘의 옛 뉴스는 지금으로부터 15년 전의 디자인 업계의 연봉 설문 결과입니다. 

코어77이 운영하는 포트폴리오 사이트 코로플롯(coroflot.com)에서 실시한 2006 디자이너 연봉 설문조사의 결과가 발표되었다. 총 64개국, 2,979명의 디자이너들이 설문에 참가하였고, 디자인 경영, 그래픽, 산업, 인터랙티브/웹, 인테리어, 그리고 올해 처음으로 건축과 패션 분야 종사자들까지 참여했다. 

그래프를 한눈에 봐도 전반적으로 연봉 수준이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인테리어와 그래픽 분야에서 작년에 비해 크게 상승한 것이 눈에 띈다. 올해 처음으로 설문에 참여한 패션과 건축 분야는 전년도 비교치가 없긴 하지만 타 분야에 비해 (특히 패션은) 연봉이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여전히 디자인 경영 분야는 최고 연봉 수준임을 과시했다. 

경력과 지위에 따른 분야별 연봉의 차이를 나타낸 그래프도 나와 있다. 신입, 과장급, 팀장급, 디렉터급으로 나누었을 때 그래픽 분야의 경우 지위별 연봉 차이가 대체로 고른 반면, 인터랙션/웹 분야는 신입에서 과장급까지는 별 차이를 보이지 않다가 팀장, 디렉터로 올라가면서 급격히 연봉이 상승, 마침내 디레터급에서는 타 분야를 모두 제친 것을 알 수 있다. 연차에 따라 고른 상승폭을 보이면서도 가장 연봉이 높은 분야는 패션계이고, 최고 지위까지 올라도 가장 연봉이 낮은 분야는 그래픽과 건축으로 나타났다. 

위 그래프는 14개국의 평균 연봉을 이코노미스트 빅맥 지수(The Economist’s Big Mac Index)로 분석, 소비자 구매력 지수(PPP: purchasing power parity)로 표시한 것이다. 이를 통해 각국에서 디자이너가 차지하는 역할의 비중을 비교해볼 수 있다.

아무래도 미국과 유럽 디자이너들이 다수 참여한 설문 결과여서 절대적인 기준이 될 수는 없겠으나, 세계 디자인계의 동향을 파악하는 참고자료가 될 만하다. 

2006 디자이너 연봉 조사 결과 보기
https://www.coroflot.com/designsalaryguide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10-11 | 현수교의 원리를 의자에

허먼 밀러의 ‘세일’은 국내 소비자들에게도 익숙한 제품이죠. 2010년 첫선을 보인 ‘세일’은 샌프란시스코의 랜드마크인 금문교에서 착안하여, 현수교의 구조를 의자에 옮긴 제품이었습니다. 2010년 오늘 디자인플럭스는 퓨즈프로젝트와 허먼 밀러가 2년 반의 준비 끝에 내놓은 ‘세일’의 디자인 과정을 소개했습니다.

2007-11-29 | 당신의 기억보다 나은

2007년 디자인 마이애미/의 ‘디자인 퍼포먼스’ 현장. 그곳에 디자이너 제이슨 밀러는 최면술사와 함께 등장했습니다. 지원자에게 최면을 걸고 인터뷰를 진행하여, 마음 속에 잠든 의미 있는 과거의 오브제를 찾아내, 새 디자인의 바탕으로 삼겠다는 것이었지요. 정말로 “더 나은” 결과물이 나왔는지는 알 수 없지만, 적어도 그의 퍼포먼스가 말 그대로 클라이언트의 “마음을 읽는” 디자인을 겨냥했다는 것만은 분명합니다.

User Friendly : How the Hidden Rules of Design Are Changing the Way We Live, Work, and Play

<유저 프렌들리>라는 400쪽이 넘는 책부터 시작해 보련다. 한때 무슨무슨 프렌들리 식의 말이 유행했던 터라...

15%를 위한 보라색: #WeThe15

2021년 8월 19일, 디자인 스튜디오 펜타그램(Pentagram)에서 새로 출범하는 인권 운동 ‘#위더15(#WeThe15)’의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공개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