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10-25 | 타일러 브륄레, 〈모노클〉 창간

Editor’s Comment

기자였던 그는 <월페이퍼> 매거진을 창간하며 발행인으로 변신했습니다. 그리고 11년 뒤 새로운 잡지와 함께 업계에 귀환했지요. 바로 <모노클>입니다. 타일러 브륄레는 비즈니스와 라이프스타일 모두를 아우르는 국제적인 감각의 인쇄 잡지를 선보였고, 그 이후의 이야기는 아시는 것과 같습니다.

타일러 브륄레

<월페이퍼*>를 발행하며 1990년대 미디어 거물로 떠오른 타일러 브륄레(Tyler Brule)이 또 하나의 잡지를 창간한다. 옵저버의 보도에 따르면2007년 초 부유한 엘리트 지성인(여기에서 방점은 물론 ‘부유한’에 찍혀야 할 것이다)을 위한 럭셔리 매거진 <모노클(Monocle)>이 창간된다. 이는 한동안 잡지/출판계를 떠나있던 타일러 브륄레의 복귀를 알리는 신호탄이나 다름없다. 

<모노클>은 비즈니스 리포트, 문화 비평은 물론 고급스러운 상품을 다루게 된다. 동시에 세계의 대도시를 누비는 성공한 비즈니스맨의 입맛에 맞는 국제적인 감각의 정보를 현장감있게 다루기 위해 런던은 물론 뉴욕, 도쿄, 취리히에 오피스를 열 계획이라고도 한다. 

타일러 브륄레은 캐나다 출신으로 1989년 영국으로 건너와 BBC TV의 리포터, ‘가디언’, <스턴>, ‘선데이 타임즈’, <배니티 페어>의 기자로 활동했다. 하지만 언론인으로서의 커리어보다 매거진 <월페이퍼*>의 발행인으로 우리에게 더욱 잘 알려져있다. 

1996년 발행된 <월페이퍼*>는 하나의 사건이라 할 만큼 크나큰 성공을 거두었다. 국제적인 감각과 디자인, 개성넘치는 타이포그래피 등으로 독자는 물론 잡지 디자인에 있어서도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월페이퍼*>가 펼쳐낸 세계는 말 그대로 ‘스타일의 천국’이었다. 

그렇다면 <모노클>은 과연 어떠한 잡지가 될 것인가? 타일러 브륄레은 이렇게 설명한다. “<이코노미스트>와 BBC가 북미에서 거둔 성공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하지만 <모노클>은 <이코노미스트>와는 다른, 그러니까 한 발 앞선 시각이 담긴 아티클과 리포트로 독자의 삶에 풍부한 스토리를 전하는 잡지가 될 것이다.” 

그의 목표는 오피니언 형성층에 어필하는 또 하나의 <월페이퍼*> 신화를 창조하는 것이다. <모노클>은 1년에 10회 발행되며, 가격은 5파운드로 책정되었다. 목표 발행부수는 15만 부로 잡고 있는데, 이는 <월페이퍼*>의 발행 부수와 비슷한 수준이다. 2000년대에도 타일러 브륄레의 성공 신화는 계속될 것인지? 물론 그 해답은 내년이면 확실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모노클> 창간호, 2007년 3월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04-30 | 벌들의 도움으로

쾌속조형의 반대에 서 있는 완속조형의 사례. 혹은 동물의 힘을 빌린 디자인. 토마시 하브스딜의 ‘벌들의 도움으로’는 일주일 동안 4만 마리의 꿀벌이 빚어낸 꽃병입니다. 하이테크와 대비되는 로우테크, 인간의 공예가 아닌 동물의 공예. 또 꽃을 매개로 한다는 점에서 벌과 꽃병은 멋진 한 쌍이기도 하지요.

2009-09-01 | 2009 인덱스 어워드 놀이 부문 수상작:

인덱스 어워드는 2년에 한 번씩 열리는 디자인 시상 행사입니다. ‘몸’, ‘집’, ‘일’, ‘놀이와 배움’, ‘공동체’의 다섯 가지 부문 별로 “삶을 개선하는 디자인”을 선정해 발표하는데요. 2009년 ‘놀이’ 부문상은 네덜란드의 디자이너 크리스틴 메인데르츠마에게 돌아갔습니다. 그는 05049번이라 불리던 돼지가 도축되고 187개 제품이 되기까지, 그 쓰임새의 면면을 3년에 걸쳐 연구하여 한 권의 책에 담았습니다.

재활용 플라스틱 벽돌 ‘바이블록’

“플라스틱은 무죄입니다. 문제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제대로 처리할 계획이 없다는 점이죠.” 2017년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문을 연 바이퓨전(ByFusion...

2010-07-22 | 지금 멕시코만은

멕시코만 최악의 원유 유출 사건이 일어나고 3개월 후, 과연 수면 아래에서는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었을까요. 2010년 7월, 천연자원보호협회가 심각한 바닷 속 상황을 담아 인터랙티브 인포그래픽을 공개했습니다. 디자인을 맡은 제이슨 비숍은 “수면에서 해저까지 잠수하듯 스크롤하여 내려가는 구성으로, 정보에 몰입할 수 있도록 했다”고 이야기합니다. 아쉽게도 2010년의 이 인포그래픽은 더 이상 볼 수 없지만, 대신 그로부터 10년 뒤의 현실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