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르노빌의 사라지는 로고, 살아나는 기억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가 폭발한 지 35년이 지난 지금, 이 사건을 잊지 않기 위해 디자인된 체르노빌의 새로운 로고가 눈길을 끈다. 디자인의 주인공은 우크라이나 키예프에 위치한 ‘반다 디자인 에이전시(Banda design agency’s offices)’다. 이들은 차로 2시간 거리에 위치한 체르노빌을 방문한 후, 우크라이나 정부에 이 사건의 중대성을 기억할 수 있는 시각 이미지를 제안했다.

이 체르노빌 로고는 폭발이 있었던 1986년부터 원상 복구에 대한 희망 연도인 2064년까지, 총 78년 동안 매년 조금씩 사라지는 것을 나타낸다. 이들은 무엇보다, 일부 출입 금지 구역이 자연에 묻히면서 장소에 대한 기억이 사라지는 점에 주목했다. 그 끔찍한 재앙의 결과를 확인할 수 없다는 점에서 착안하여, 서서히 사라지는 이미지로 경각심을 불러 일으키는 데 중점을 두었다. 또한 과거와 미래를 한 번에 볼 수 있게 하여, 과거가 현재와 미래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나타냈다.

‘반다 디자인 에이전시’의 체르노빌 로고. ⓒ Banda design agency’s offices

이들은, 현재 국제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방사선 마크로는 의미를 충분히 담을 수 없다고 생각하고, 폐허가 된 원자로의 모습을 기반으로 강렬한 이미지를 창안했다. 팔각형의 로고는 2021년 현재, 55%가 남아 있고, 내년에는 53%로 줄어들 것이다.

폐허가 된 원자로. ⓒ Banda design agency’s offices
사라지는 체르노빌 로고. ⓒ Banda design agency’s offices

thebulletin.org
banda.agency.com

ⓒ designflux.co.kr

박지민

손으로 느껴지는 감각이 좋아 만들기 시작했고, 만드는 것이 좋아 디자인을 시작했습니다. 그렇게 시작했던 디자인은 만드는 것 외에도 다양한 재미를 느끼게 합니다. 만드는 것을 넘어서 현재는 타자치는 제 손의 감각도 즐기고 있습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03-23 | 합판으로 그리다

공사장 울타리 역할을 하던 낡은 합판들을 거두어 작품의 재료로 삼았습니다. 브라질의 미술가 엔히키 올리베이라는 울타리로 “회화와 건축과 조각이 한데 결합된” 작품 연작을 선보였는데요. 전시회의 이름도 ‘울타리’입니다. 

방호복을 입은 가구와 도자기

베를린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디자인 스튜디오 유이(YUUE)가 중국의 과도한 코로나 바이러스 억제 정책으로 불필요한 인도적...

2010-09-20 | 번역

2010년, 런던을 터전 삼아 활동 중인 젊은 디자이너들이 모여 함께 전시를 열었습니다. 하나의 착상이 물리적 몸체를 얻기까지의 과정에 그들은 ‘번역’이라 이름 붙였죠. 생각이 지나온 경로와 완성된 디자인을, 또 영감의 원천이 무엇이었는지도 함께 보여주는 전시였습니다. 

2010-08-11 | 미소니, 케네스 앵거와 만나다

〈스콜피오 라이징〉으로 유명한 실험영화 감독 케네스 앵거와 이탈리아의 패션하우스 미소니가 만났습니다. 러닝타임 2분 30초의 짤막한 캠페인 필름 〈미소니 바이 앵거〉의 크레딧이 올라올 때, 온통 미소니로 끝나는 이름들을 마주하게 됩니다. 2010년 그해, 미소니 일가는 봄/여름 위르겐 텔러에 이어 가을/겨울 케네스 앵거의 카메라 앞에 서며, ‘직접’ 브랜드 홍보의 전면에 섰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