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르노빌의 사라지는 로고, 살아나는 기억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가 폭발한 지 35년이 지난 지금, 이 사건을 잊지 않기 위해 디자인된 체르노빌의 새로운 로고가 눈길을 끈다. 디자인의 주인공은 우크라이나 키예프에 위치한 ‘반다 디자인 에이전시(Banda design agency’s offices)’다. 이들은 차로 2시간 거리에 위치한 체르노빌을 방문한 후, 우크라이나 정부에 이 사건의 중대성을 기억할 수 있는 시각 이미지를 제안했다.

이 체르노빌 로고는 폭발이 있었던 1986년부터 원상 복구에 대한 희망 연도인 2064년까지, 총 78년 동안 매년 조금씩 사라지는 것을 나타낸다. 이들은 무엇보다, 일부 출입 금지 구역이 자연에 묻히면서 장소에 대한 기억이 사라지는 점에 주목했다. 그 끔찍한 재앙의 결과를 확인할 수 없다는 점에서 착안하여, 서서히 사라지는 이미지로 경각심을 불러 일으키는 데 중점을 두었다. 또한 과거와 미래를 한 번에 볼 수 있게 하여, 과거가 현재와 미래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나타냈다.

‘반다 디자인 에이전시’의 체르노빌 로고. ⓒ Banda design agency’s offices

이들은, 현재 국제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방사선 마크로는 의미를 충분히 담을 수 없다고 생각하고, 폐허가 된 원자로의 모습을 기반으로 강렬한 이미지를 창안했다. 팔각형의 로고는 2021년 현재, 55%가 남아 있고, 내년에는 53%로 줄어들 것이다.

폐허가 된 원자로. ⓒ Banda design agency’s offices
사라지는 체르노빌 로고. ⓒ Banda design agency’s offices

thebulletin.org
banda.agency.com

ⓒ designflux.co.kr

박지민

손으로 느껴지는 감각이 좋아 만들기 시작했고, 만드는 것이 좋아 디자인을 시작했습니다. 그렇게 시작했던 디자인은 만드는 것 외에도 다양한 재미를 느끼게 합니다. 만드는 것을 넘어서 현재는 타자치는 제 손의 감각도 즐기고 있습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05-07 | 버크민스터 풀러 공모전 수상작

MIT 학생들이 제안한 도시형 모빌리티 디자인이 2009년 버크민스터 풀러 챌린지에서 최고상을 받았습니다. 스쿠터, 미니카 등 개인용 교통 수단을 중심으로 대여 시스템과 충전 설비에 이르는 너른 시야가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10년을 훌쩍 앞서 ‘공유 모빌리티’의 오늘을 앞서 엿본 ‘SPM/MoD’입니다.

2010-10-22 | 긴축, 긴축, 긴축

쾅고(quango)는 정부가 상급 인사를 임명하고 재정지원도 하지만 자율적으로 운영되는 반관반민 기관들을 가리키는 단어입니다. 다만 여기에는 다소 경멸적인 어감이 깔려 있지요. 가령 국내 일간지의 칼럼에서 이 단어는 이렇게 등장합니다. “우리나라 같은 공공기관을 쾅고라고 조롱기 섞어 부르는 영국에선 같은 날 192개의 쾅고를 없앴다고 발표했다. 쾅고는 유사자치 비정부기구라는 뜻이다.” (...)

2011-07-05 | 랜덤 인터내셔널의 군집 연구, 그 세 번째

런던 빅토리아&앨버트 박물관의 계단참 위로 점점이 LED를 단 청동 막대들이 무리지어 네 개의 육면체를 이루었습니다. 그 자체로 완성된 조명인가 싶지만, 조명은 아래로 오가는 사람들의 움직임에 반응하며 미묘하게 조명의 밀도를 변화하여, 다양한 군집의 진형을 만들어냅니다. 새떼, 벌, 개미 등 자연 속의 무리짓기 행동 패턴을 조명으로 옮긴 설치 연작, 그 세 번째 ‘스웜 스터디 III’입니다.

2011-07-28 | 과일들

디자이너 히사카즈 시미즈는 캐논의 디지털 카메라 ‘익서스’ 시리즈의 수석 디자이너이면서 동시에 사보 스튜디오를 설립해 개인 작업을 병행해왔습니다. 2011년 비비드 갤러리에서 열린 ‘과일들’은 후자의 디자이너로서 연 개인전이었죠. 한편 이 전시의 큐레이팅은 에이조 오카다가 맡았습니다. 디자인 디렉터로서, 또 디자인 블로그 dezain.net의 운영자로서 활동해온 그는 ‘과일들’ 이전에도 몇 차례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한 적이 있었다고 하죠. 그리고 이듬해, 두 사람은 S&O 디자인이라는 산업디자인 스튜디오를 함께 설립하여 지금까지 운영해오고 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