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르노빌의 사라지는 로고, 살아나는 기억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가 폭발한 지 35년이 지난 지금, 이 사건을 잊지 않기 위해 디자인된 체르노빌의 새로운 로고가 눈길을 끈다. 디자인의 주인공은 우크라이나 키예프에 위치한 ‘반다 디자인 에이전시(Banda design agency’s offices)’다. 이들은 차로 2시간 거리에 위치한 체르노빌을 방문한 후, 우크라이나 정부에 이 사건의 중대성을 기억할 수 있는 시각 이미지를 제안했다.

이 체르노빌 로고는 폭발이 있었던 1986년부터 원상 복구에 대한 희망 연도인 2064년까지, 총 78년 동안 매년 조금씩 사라지는 것을 나타낸다. 이들은 무엇보다, 일부 출입 금지 구역이 자연에 묻히면서 장소에 대한 기억이 사라지는 점에 주목했다. 그 끔찍한 재앙의 결과를 확인할 수 없다는 점에서 착안하여, 서서히 사라지는 이미지로 경각심을 불러 일으키는 데 중점을 두었다. 또한 과거와 미래를 한 번에 볼 수 있게 하여, 과거가 현재와 미래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나타냈다.

‘반다 디자인 에이전시’의 체르노빌 로고. ⓒ Banda design agency’s offices

이들은, 현재 국제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방사선 마크로는 의미를 충분히 담을 수 없다고 생각하고, 폐허가 된 원자로의 모습을 기반으로 강렬한 이미지를 창안했다. 팔각형의 로고는 2021년 현재, 55%가 남아 있고, 내년에는 53%로 줄어들 것이다.

폐허가 된 원자로. ⓒ Banda design agency’s offices
사라지는 체르노빌 로고. ⓒ Banda design agency’s offices

thebulletin.org
banda.agency.com

ⓒ designflux.co.kr

박지민

손으로 느껴지는 감각이 좋아 만들기 시작했고, 만드는 것이 좋아 디자인을 시작했습니다. 그렇게 시작했던 디자인은 만드는 것 외에도 다양한 재미를 느끼게 합니다. 만드는 것을 넘어서 현재는 타자치는 제 손의 감각도 즐기고 있습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디자인 스터디즈〉(Design Studies) 환경과 도구는 디자인 과정에 영향을 미칠까?

우리의 생각은 ‘상황지어진(situated)’ 혹은 ‘체화된(embodied)’ 환경과 도구에 영향을 받는다. 이것은 우리의 존재가 독립되거나 분절된...

물 재사용

이케아의 디자인 연구소인 스페이스 10(Space 10)과 델프트 공과대학교(TU Delft)가 물을 재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프로젝트를...

2010-07-21 | 머스 커닝엄 이벤트

시각 및 퍼포먼스 예술을 지원해온 트와이스 예술 재단의 저널 <트와이스>가 처음으로 디지털 태블릿을 매체로 삼았습니다. ‘트와이스: 머스 커닝엄 이벤트’는 아이패드 앱의 형식으로 전설적인 무용가이자 안무가인 머스 커닝엄의 작업을 제시합니다. 춤이라는 예술을 어떻게 재현하고 전달할 것인가라는 트와이스의 오랜 고민을 당시 급부상한 태블릿 환경을 기회 삼아 시험했던 사례입니다. 

2011-06-14 | 캄파나 형제의 러그 디자인

브라질을 대표하는 형제 디자이너 움베르투 & 페르난두 캄파나의 2010년도 러그가 2011년 디자인 마이애미/ 바젤을 찾았습니다. 풀밭 위에 누워 있는 듯한 사람들의 모습이 평면이 아닌 입체로, 그러니까 봉제 인형들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왜 하필이면 봉제 인형일까요. 또 그것에 담긴 함의는 무엇일까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