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석에서 유리로’: 원석으로 만드는 천연 색 유리

프로젝트 ‘원석에서 유리로(From Stones to Glass)’. © Salomé Maarek

예루살렘에서 활동하는 디자이너 살로메 마렉(Salomé Maarek)이 원석을 활용하여 천연 색유리를 만드는 프로젝트 ‘원석에서 유리로(From Stones to Glass)’를 선보였다. 마렉은 이스라엘 각 지역의 원석을 수집하여 분석하는 과정에서부터 유리 제조, 가공 공정까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일반적으로 유리를 착색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물질은 환경에 유해하다. 게다가 유리에 한번 색을 입히면 다시 투명한 상태로 되돌릴 수 없어 재활용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마렉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스라엘 각 지역에서 구할 수 있는 천연 재료를 사용하기로 했다.

천연 색유리. © Salomé Maarek

일반적인 유리 착색 공정을 대체할 방법을 찾는 과정에서 마렉은 지질학자 나봇 모래그(Navot Morag)의 도움을 받아 원석으로 천연 색 유리를 제작하는 방법을 발견했다. 이스라엘의 네게브(Negev) 사막, 엘리아트(Eilat) 사막등 각지를 돌아다니며 탄산칼륨, 나무, 구리, 모래, 광물 등을 구했다. 이 재료를 활용하여 다양한 컬러의 천연 색유리를 만드는 과정에서 마렉은 실제 유리와 유사한 질감을 표현하려했다.

천연 색유리. © Salomé Maarek

수집한 원석을 기계로 부수어 가루를 만들면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색상을 발견할 수 있는데, 몰다바이트의 초록, 터키석과 인디고라이트의 파랑, 전기석의 노랑, 호박의 주황색 등이 바로 그 것이다.  

이산화규소, 탄산수소 나트륨, 백운석, 붕사를 용기에 담고 원석 가루를 섞어 유리를 착색한 후 약 1,200℃의 낮은 온도에서 몇 시간 동안 녹이면 천연 색유리가 완성된다. 이 유리는 핸드 블로운 기법으로 모양을 잡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틀을 사용한 블로운 기법을 적용하여 다양한 형태를 만들어낸다.

천연 색유리를 사용한 주얼리 제품. © Salomé Maarek

마렉은 ‘원석에서 유리로’ 프로젝트로 제작한 천연 색유리를 사용하여 주얼리 제품을 디자인했다. 광물로 만든 천연 유리는 모양을 잡거나 깎고, 자르고, 뚫는 것이 자유로워 다루기 어려운 고가의 보석이나 희귀 원석을 대체할 수 있다. 또한 천연 색 유리는 다시 녹일 수가 있기 때문에 재사용이 가능하고 최대 5톤의 충격이나 온도의 변화를 균열 없이 견딜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Designer: Salomé Maarek

© designflux.co.kr

강예린

지구에 이로운 디자인이 있을까요? 우리가 쓰는 모든 것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결국 어디로 버려질까요? 호기심이 많은 초보 연구자입니다. 모든 광고 문구에 빠르고 편리함을 강조하는 세상에서 조금은 느리고 불편한 것, 누군가 소외되지 않는 것에 마음을 씁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04-12 | 독일, 복제품 전시관 오픈

표절, 도용, 복제라는 오랜 문제에 대해 아예 그런 제품을 시상하고 전시하는 방식으로 불명예를 안기는 단체가 있습니다. 2007년 오늘자 뉴스는 독일의 ‘표절 방지를 위한 행동’이 연 표절 제품 전시관 소식입니다.

2010-07-30 | 전기차 충전기 ‘블링크’

자동차 업계가 내연기관과의 예정된 이별을 대비하느라 분주한 요즘, 이제 전기차를 거리에서 마주치는 일도 자연스럽고, 전기차의 주유소라 할 충전소도 익숙해졌습니다. 오늘 소개할 뉴스는 지금으로부터 11년 전 등장한 전기차 충전기입니다. 에코탤리티는 프로그 디자인과 함께 충전기 ‘블링크’를 선보였는데요. 가정용은 계량기를, 공공용은 주유기를 닮은 디자인이 인상적입니다. 그 때만 해도 충전기란 낯익은 것의 외양을 빌려야 했구나 싶기도 하고요. 

2008-08-19 | 그들의 몰스킨 노트 속

2006년 70권의 몰스킨 노트가 예술가, 작가, 디자이너에게 전해졌고, 그렇게 각각의 몰스킨이 경험한 우회의 여정이 다시 한자리에 모여, 전시의 형태로 다시 런던, 뉴욕, 파리, 베를린, 이스탄불, 도쿄, 베니스, 상하이, 밀라노를 여행했습니다. 2008년 오늘의 소식은 전시회 ‘우회’의 이야기입니다. 

2008-10-06 | 파트리시아 우르키올라 x 로젠탈

파트리시아 우르키올라와 로젠탈의 첫 번째 협업으로 탄생한 자기 컬렉션 ‘풍경’과 그 탄생 과정을 한자리에 모아 런던 디자인뮤지엄에서 전시가 열렸습니다. ‘순수 자기’ 전은 특정한 제품 컬렉션에 관한 전시이기도 하지만, 이를 통해 파트리시아 우르키올라라는 디자이너를 바라보는 전시이기도 했습니다. 가령 장식에 대한 그녀의 애정은 이 자기들에서도 유감 없이 표현되었죠.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