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석에서 유리로’: 원석으로 만드는 천연 색 유리

프로젝트 ‘원석에서 유리로(From Stones to Glass)’. © Salomé Maarek

예루살렘에서 활동하는 디자이너 살로메 마렉(Salomé Maarek)이 원석을 활용하여 천연 색유리를 만드는 프로젝트 ‘원석에서 유리로(From Stones to Glass)’를 선보였다. 마렉은 이스라엘 각 지역의 원석을 수집하여 분석하는 과정에서부터 유리 제조, 가공 공정까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일반적으로 유리를 착색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물질은 환경에 유해하다. 게다가 유리에 한번 색을 입히면 다시 투명한 상태로 되돌릴 수 없어 재활용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마렉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스라엘 각 지역에서 구할 수 있는 천연 재료를 사용하기로 했다.

천연 색유리. © Salomé Maarek

일반적인 유리 착색 공정을 대체할 방법을 찾는 과정에서 마렉은 지질학자 나봇 모래그(Navot Morag)의 도움을 받아 원석으로 천연 색 유리를 제작하는 방법을 발견했다. 이스라엘의 네게브(Negev) 사막, 엘리아트(Eilat) 사막등 각지를 돌아다니며 탄산칼륨, 나무, 구리, 모래, 광물 등을 구했다. 이 재료를 활용하여 다양한 컬러의 천연 색유리를 만드는 과정에서 마렉은 실제 유리와 유사한 질감을 표현하려했다.

천연 색유리. © Salomé Maarek

수집한 원석을 기계로 부수어 가루를 만들면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색상을 발견할 수 있는데, 몰다바이트의 초록, 터키석과 인디고라이트의 파랑, 전기석의 노랑, 호박의 주황색 등이 바로 그 것이다.  

이산화규소, 탄산수소 나트륨, 백운석, 붕사를 용기에 담고 원석 가루를 섞어 유리를 착색한 후 약 1,200℃의 낮은 온도에서 몇 시간 동안 녹이면 천연 색유리가 완성된다. 이 유리는 핸드 블로운 기법으로 모양을 잡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틀을 사용한 블로운 기법을 적용하여 다양한 형태를 만들어낸다.

천연 색유리를 사용한 주얼리 제품. © Salomé Maarek

마렉은 ‘원석에서 유리로’ 프로젝트로 제작한 천연 색유리를 사용하여 주얼리 제품을 디자인했다. 광물로 만든 천연 유리는 모양을 잡거나 깎고, 자르고, 뚫는 것이 자유로워 다루기 어려운 고가의 보석이나 희귀 원석을 대체할 수 있다. 또한 천연 색 유리는 다시 녹일 수가 있기 때문에 재사용이 가능하고 최대 5톤의 충격이나 온도의 변화를 균열 없이 견딜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Designer: Salomé Maarek

© designflux.co.kr

강예린

지구에 이로운 디자인이 있을까요? 우리가 쓰는 모든 것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결국 어디로 버려질까요? 호기심이 많은 초보 연구자입니다. 모든 광고 문구에 빠르고 편리함을 강조하는 세상에서 조금은 느리고 불편한 것, 누군가 소외되지 않는 것에 마음을 씁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8-09-24 | 나오토 후카사와의 ‘종이’ 제품들

일본의 전통 종이 화지에 신기술을 더해 태어난 새로운 종이가 디자이너 나오토 후카사와에게 재료로 주어졌습니다. 그리고 보통이라면 천이 사용될 만한 생활 용품들이 이 새 종이로 만들어졌지요. 바로 나오토 후카사와와 제지회사 오나오의 ‘시와’ 컬렉션입니다. 그렇게 탄생한 ‘시와’는 나오토 후카사와의 손길을 벗어난 지금에도 오나오의 제품 컬렉션으로서, 이제는 마스크로까지 제품군을 확장하며 여전히 자리를 지키고 있습니다.

2010-09-27 | 마크 뉴슨: 운송

신발, 자전거, 자동차, 요트, 제트기, 우주선. 이들의 공통점은 ‘탈것’이라는 점입니다. 신발도 어떤 의미에서는 가장 원시적인 탈것일 테니까요. 2010년 뉴욕 가고시안 갤러리에서 디자이너 마크 뉴슨의 전시회 ‘운송’이 열렸습니다. 그가 디자인하였던 ‘사람을 싣고 어딘가로 가는 것’들을 한자리에 모았습니다. 그곳이 길 위든 저 멀리 우주든 말이지요.(...)

행복한 꿀벌을 위한 벌집 디자인

‘꿀벌의 멸종은 곧 인류의 멸망이다’라는 얘기를 한 번쯤 들어보았을 것이다. 지구에 존재하는 식물의 수분(受粉)은...

Art3: 걸어서 명화속으로

예술 작품 안을 여행할 수 있다면 어떤 기분일까? 생생한 색과 붓놀림 사이사이를 탐험하고, 그림...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