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7-07 | 아이디어 콘센트 & 플러그 디자인

Editor’s Comment

2009년 RCA 졸업전시회에 등장한 플러그와 콘센트. 각각 다른 사람의 작업이 뜻밖의 한 쌍을 이루었으니, 최민규의 ‘접이식 플러그’와 조지 모어낵의 ‘울트라 리드’입니다. 최민규는 영국의 3핀 플러그를 접이식으로 한층 날렵하게 변모시켰고, 이를 십분 활용한 플러그형 멀티탭도 디자인하였습니다. 조지 모어낵은 각기 다른 형태의 플러그에 대응하는 콘센트를 하나하나 연결하여 연장하는 멀티형 콘센트를 선보였고요. 

최민규의 ‘접이식 플러그’ 소식은 여기에서 끝나지 않았습니다. 이듬해 영국 디자인 뮤지엄이 수여하는 ‘브릿 인슈어런스 디자인 어워즈’에서 제품 부문 수상에 이어 ‘올해의 디자인’으로 선정되었고, 2012년부터는 (Mu)라는 이름으로 제품화되어, 영국식 플러그는 물론 유럽, 미국 등 다른 지역의 플러그까지도 접이식 디자인으로 구현하여 출시했습니다.

RCA의 2009년도 졸업전시회가 한창인 요즘, 몇몇 작품들은 여러 디자인 매체들에 동시에 오르내리며 화제가 되었다. 그 중에서도 비슷한 아이템에 대한 재치 있는 해석이 돋보이는 작품들이 눈에 띄는데, 접이식 플러그와 모듈식 전원 콘센트가 그것이다. 

먼저 최민규의 ‘접이식 플러그(Folding Plug)’는 간결하면서도 실용성 높은 디자인으로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그는 영국에서 사용되는 3핀 플러그를 좀 더 ‘날씬하게’ 리디자인했다. 플러그는 접이식으로, 접어둔 상태의 너비는 단 1cm에 불과하다. 사용시에는 플러그를 펼치고, 두 개의 핀이 달려 있는 부분을 90도로 회전하면 여느 3핀 플러그와 동일한 형태가 된다. 

최민규는 여기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일종의 ‘멀티탭-플러그’까지 선보였다. 그 크기나 형태는 일반 3핀 플러그와 유사하지만, 플러그 옆면에‘접이식 플러그’를 끼울 수 있는 소켓들이 마련되어 있어서, 최대 3개까지 ‘접이식 플러그’를 연결해 사용할 수 있다. 더불어 두 개의 USB 소켓도 유용할 것이다. 

한편 조지 모어낵(George Moanack)은 모듈식 어댑터 시스템을 선보였다. ‘울트라 리드(Ultra Lead)’는 콘센트에 맞는 멀티 플러그 대신, 여러 형태의 플러그를 소화할 수 있는 멀티형 콘센트라 할 수 있다. 영국, 유럽, 미국 등 서로 다른 형태의 플러그 및 USB 등에 맞는 콘센트를, 하나하나 모듈식으로 연결하여 확장하게 된다. 

RCA발 아이디어 플러그와 콘센트. 지극히 일상적인 아이템에 대한 신선한 접근이 돋보이는 작품들이라 하겠다. 

www.minkyu.co.uk
www.g-moanack.com
www.rca.ac.uk

via iconeye,  dezeen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11-02 | 영화 타이틀 스틸 모음

영화가 시작하고 영화의 제목이 스크린에 등장하는 바로 그 순간의 스틸 이미지를 한데 모은 디자이너가 있습니다. 크리스티안 아냐스는 멀리 1920년대부터 가깝게는 2014년까지, 영화의 타이틀 장면을 모아 웹사이트를 열었는데요. 어떤 영화들의 경우, 기본 정보 외에도 오프닝 타이틀 제작사는 어디인지 타이틀 장면에 쓰인 폰트는 무엇인지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옛 영화들의 레터링 스타일을 되돌아보는 즐거움도 빼놓을 수 없지요.

2010-10-05 | 자하 하디드 아키텍츠, MAXXI로 RIBA 스털링상 수상

자하 하디드 아키텍츠가 설계한 로마의 국립21세기미술관(MAXXI)이 2010년 영국왕립건축가협가가 수여하는 스털링상을 수상했습니다. 이때만 해도 스털링상은 RIBA 소속 회원이 설계했다면, 건축물의 소재 지역은 영국은 물론 유럽 연합까지 포괄하였는데요. 2015년부터는 정확히 영국 지역 내 건축물에 한정되었죠. 참고로 자하 하디드 아키텍츠는 이듬해 런던의 에블린 그레이스 아카데미 설계로 2년 연속 스털링상 수상자 명단에 올랐습니다. 

2006-08-31 | 자하 하디드의 자동차 디자인

자하 하디드가 자동차를 디자인한다면 어떠한 모습일까요. 그에 대한 대답을 아트 딜러 케니 샥터의 제안으로 태어난 ‘Z-카’ 콘셉트에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수소로 달리는 물방울 모양의 삼륜차. 이 콘셉트카는 2008 서울디자인올림픽에서도 전시된 바 있지요. 하디드의 자동차 디자인은 이후 ‘Z-카 2’ 로까지 이어졌습니다.

2011-05-27 | 앰네스티 x 마르턴 바스

2010년도 노벨평화상 시상식장에 막상 수상자 류 사오보는 수감되어 참석할 수 없었습니다. 시상식장에 주인 없이 남아 있어야 했던 의자를 상징 삼아, 앰네스티는 ‘빈 의자’라는 이름의 캠페인을 펼쳤습니다. 디자이너 마르턴 바스는 비어 있으되 하늘 높이 솟은 사다리와도 같은 의자로 현실과 희망을 동시에 보여주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