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7-22 | 까르띠에 타임 아트

Editor’s Comment

까르띠에의 대표적인 시계들이 취리히의 한 뮤지엄에 모였습니다. ‘까르띠에 타임 아트’는 1929년의 ‘토르튀’에서 최근의 ‘산토스 100 스켈레톤’에 이르기까지, 총 100여 점의 까르띠에 시계가 관람객을 맞이했습니다. 전시의 아트 디렉팅은 2009년 도쿄국립박물관에서 있었던 ‘이야기… 까르띠에 작품에 관한 기억들’로 이미 까르띠에와 인연을 맺었던 토쿠진 요시오카가 맡았습니다.

Tokujin Yoshioka Design © Tokujin Yoshioka/Cartier

까르띠에(Cartier)의 시계들이 뮤지엄 벨레리베(Museum Bellerive)에 모인다. 전시회 ‘까르띠에 타임 아트(Cartier Time Art)’가 다음 달 막을 연다. 전시는 보는 이들을 까르띠에 시계 생산의 심장부로 인도한다. 1929년의 ‘토르튀(Tortue)’에서 오늘날의 ‘산토스 100 스켈리톤(Santos 100 Skeleton)까지, 기원이라 할 만한 유서 깊은 모델에서 최근의 모델까지, 총 100여 점의 시계들이 한 자리에 모인다. 전시의 아트 디렉팅은  디자이너 토쿠진 요시오카(Tokujin Yoshioka)가 맡았다. 지난 2009년 ‘이야기… 까르띠에 작품에 관한 기억들’에 이은 또 한 번의 전시 작업이다. 그는 역사적 전통과 미래를 향한 전위적인 생각이 결합하여 만들어낸 까르띠에 시계의 독특한 아름다움을 전시를 통해 조명할 것이라고. ‘까르띠에 타임 아트’는 8월 26일부터 11월 6일까지 열린다. 

Tokujin Yoshioka Design © Tokujin Yoshioka/Cartier
‘로통드 드 까르띠에 아스트로레귈라퇴르 칼리브르 9800 MC(Rotonde de Cartier Astrorégulateur watch Calibre 9800 MC)’
photo: Laziz Hamani
Cartier Collection 2010 © Cartier

www.museum-bellerive.ch 
www.tokujin.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03-16 | 주버트 공원의 벤치

2007년 당시 요하네스버그에서는 3년 뒤 열릴 월드컵을 준비하며 개발과 정비가 한창이었습니다. 그 시기 도심에서 100년 넘게 쉼터 역할을 해온 오랜 공원 한 곳도 새단장을 하게 되었죠. 이름하여 ‘주버트 공원 프로젝트’를 위해 남아공 국내외의 예술가, 건축가, 디자이너들이 머리를 모았습니다. 15년 전 오늘 소개한 소박하면서도 영리한 벤치 디자인도 바로 이 공원을 위해 태어났죠. 

2008-12-30 | 디자인 옥션 하이라이트

디자인플럭스가 문을 연 2006년은 마크 뉴슨의 ‘록히드 라운지’가 소더비 경매에서 160만 달러라는 기록적인 가격에 판매되었고, 전년 ‘디자인.05’라는 이름으로 출범했던 행사가 디자인 마이애미/라는 익숙한 이름으로 찾아온 해이기도 합니다. 2008년 오늘은 크리스티, 소더비 등 주요 디자인 경매 6개 행사의 결과를 소개합니다. 최근 몇 년간 이어진 이탈리아 디자인에 대한 선호 흐름을 예견하듯, 카를로 몰리노의 ‘보조 탁자’가 가장 비싼 값에 낙찰되었습니다. 작품으로서 수집의 대상이 된 디자인. 그에 부응하듯, 2008년 아트넷도 온라인 디자인 마켓플레이스를 열었습니다. 

2009-06-30 | 쿠션을 구하는 스툴

보통 소파나 안락의자에 놓던 쿠션을, 가장 단순한 의자인 스툴에 선사했습니다. 5.5 디자이너스의 스툴 ‘탭’은 쿠션을 놓기 좋게 오목한 시트를 가지고 있습니다. 실내에 조화를 불러오는 쿠션의 힘을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든 스툴. 5.5 디자이너스가 제공하는 것은 거기까지입니다. 실제로 쿠션을 구해 얹는 일은 사용자의 몫이었죠. 5.5 디자이너스가 이 의자를 두고 “미완성 상태에 놓인 절반의 물건”이라고 했던 까닭입니다.

2007-02-22 | 벨크로의 힘

특정 제품의 이름인 고유 명사가 그런 물건 일반을 통칭하는 보통 명사가 되기도 합니다. 벨크로도 그런 경우죠. 생활 속 익숙한 물건이 된 벨크로는 또 생체모방 디자인의 대표적인 사례로 언급되기도 합니다. 2007년 런던 디자인 뮤지엄의 아트리움은 벨크로에 습격된 듯한 모습이었습니다. 스페인의 신진 디자이너 루이스 에슬라바는 이 저렴하고 익숙한 물건으로 조명과 벽장식을 선보이며 여러 모로 큰 인상을 남겼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