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5-24 | 런던의 새 버스

Editor’s Comment

런던의 상징이었던 이층버스가 새롭게 태어났습니다. 2005년 12월 9일 루트마스터가 마지막으로 정규 노선 주행을 마친 지 약 5년 만에, ‘런던의 새로운 버스’의 모습이 공개되었습니다. 헤더윅 스튜디오가 디자인한 이 새로운 루트마스터는 2012년부터 런던의 거리를 달렸는데요. 하지만 생각보다 이른 2017년 런던시가 가격 문제를 이유로 뉴 루트마스터의 구입을 중단하였고, 그 자리는 헤더윅 스튜디오의 디자인에 바탕을 둔 또 다른 ‘새’ 루트마스터가 이어 받았습니다. 

런던의 명물이었던 이층버스가 21세기를 맞아 환골탈태에 나선다. 런던 시는 2008년 ‘런던을 위한 새로운 버스’ 공모전을 개최하는 등 새 버스 도입을 위한 준비를 진행해왔고, 2010년 1월 라이트버스(Wrightbus) 사와 새 버스의 디자인 및 생산 계약을 체결하며, 본격적인 개발 단계에 돌입했다. 그리고 지난 17일, 새 버스의 최종 디자인 모습을 드러냈다. 

런던교통국(Transport for London)과 라이트버스(Wrightbus)사는 헤더윅 스튜디오(Heatherwick Studio)를 디자인 파트너로 영입, 새로운 디자인의 버스 모델을 선보였다. 새 버스는 친환경과 미래적 디자인이라는 두 가지 목표에 초점을 맞추었다. 공개된 최종 모델은 첨단의 친환경 기술을 채택한 하이브리드 버스로서, 일반 디젤 이층버스보다 연료 효율성이 40%나 높고, 기존의 다른 하이브리드 버스와 비교해도 연료 효율이 15% 높다. 

헤더윅 스튜디오는 루트마스터의 전통에 기반하여, 버스에 미래적인 외관을 선사했다. 유리창 부분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바, 전면부의 비대칭 디자인과, 사선을 이루는 측면 및 후면의 유리창 디자인이 버스 전반에 새로운 인상을 부여한다. 새 버스에는 두 개의 층계와 두 개의 출입구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 루트마스터의 개방형 플랫폼을 더해 승하차 편의를 강화하였으며, 동시에 전통과의 공존을 도모했다. 

“21세기 런던의 상징.” 런던 시는 새 버스가 새로운 세기, 런던의 또 다른 명물로 자리잡길 기대하고 있다. 런던의 새로운 버스는 내년 첫 프로토타입 생산을 앞두고 있으며, 런던 올림픽이 개최되는 2012년부터 운행을 시작한다. 

www.tfl.gov.uk
www.london.gov.uk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6-03 | 벨-오르골

사토 오키가 이끄는 디자인 회사 넨도의 작업은 작은 열쇠에서 11층 건물에 이르기까지 그야말로 다양합니다. 2002년 도쿄에 사무실을 연 이래, 넨도는 한 해에만도 수백 개의 프로젝트를 동시다발적으로 진행하는 디자인 회사가 되었지요. 그중에서도 2011년 넨도가 선보인 감미로운 소품이 오늘의 소식입니다. 편백나무를 종 모양으로 깎아 만든 오르골. 여기에 손잡이나 고리 같은 요소들을 응용해 작동 방식을 달리한 점이 흥미롭습니다.

2011-07-15 | 도자 종이컵

어떤 물건은 소재가 너무 중요해 그것이 이름이 되기도 합니다. 종이컵도 그런 것들 중 하나죠. 종이컵은 또 일회용 문화를 대표하는 물건이기도 합니다. 스코틀랜드의 도예 디자이너 레베카 윌슨은 이 종이컵에 웨지우드 재스퍼웨어와 델프트 자기의 외양을 입혔습니다. 다만 하나는 오로지 수제 종이로 된 시트로, 다른 하나는 포슬린과 펄프 혼합 용액으로 만든 시트로요. 윌슨은 두 가지 방식으로 ‘최상급’ 종이컵이라는 역설을 보여줍니다.

2008-10-14 | 킨, 권오상을 만나다

사진-조각이라는 새로운 유형을 만들어낸 미술가 권오상과 영국의 밴드 킨이 만났습니다. 킨의 세 번째 앨범 에는 권오상의 ‘데오드란트 타입’화된 멤버들의 모습이 담겼습니다. 수천 장의 사진으로 빚은 인물 조각의 형상으로요. 

2011-06-08 |  음반, 당신 뜻대로

2011년 6월 3일, 영국의 록 밴드 카이저 칩스의 새 음반이 그들의 홈페이지를 통해 발매되었습니다. 다만 음반에 어떤 노래가 수록될지 음반 표지는 어떤 모습일지 결정하는 주체는 카이저 칩스가 아니었습니다. 음반을 사러 온 이의 몫이었죠. 표지 디자인에서 선곡 그리고 수익의 배분까지, 정말로 ‘당신 뜻대로’의 앨범이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