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가스 배관의 변신, 독일 노르드 스트림 3

노르드 스트림 3의 외관 이미지, 2022. © Opposite Office

독일 건축 스튜디오 오포지트 오피스(Opposite Office)가 설계한 ‘노르드 스트림 3(Nord Stream 3)’가 공개되었다. ‘노르드 스트림 3’는 러시아와 독일을 직통으로 연결하는 천연가스 배관인 ‘노르드 스트림 1’을 재구축하여, 세계 시민들의 새로운 만남과 교류의 장으로 탈바꿈한다.

발트해 아래에 위치한 천연가스 배관, ‘노르드 스트림 1’은 2011년부터 러시아의 천연가스를 독일로 수송해왔다. 이후 2018년부터는 10억 달러 규모의 ‘노르드 스트림 2’의 설치가 새로 착수되어 2021년 9월에 완공되었고, 이후 승인 절차를 기다리고 있었다. 그러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로, 지난 2월 독일 정부는 사업 승인 절차를 한시적으로 중단했다.

오포지트 오피스는 노르드 스트림을 쇄신하기 위해 디자인 콘셉트 설계를 의뢰받았다. 독일의 루브민(Lubmin)에 있는 천연 가스 적재장의 용도를 변경하여, 토론, 외국어 교육 기관, 작업 공간 갤러리, 문화적 교류 장소를 만들고 국제적 상호 이해를 도모하기 위한 의사장을 세운다. 또한 ‘노르드 스트림 3’의 건축 자재로는 바다에 묻혀 있던 가스 배관을 채굴하여 사용한다.

‘노르드 스트림 3’ 설계 중에는 길이 1,153m의 파이프를 절단하여 194개의 캡슐 호텔로 개조하는 사항이 포함되어 있다. 총 194개의 침대가 놓여 있는 이 캡슐 호텔은 전 세계인들이 사용할 수 있는 무료 레지던시로, 무작위 추첨을 통해 당첨된 이용자는 한 달 동안 이 공간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곳은 모든 계층, 문화, 종교, 국가, 각기 다른 문화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며 상호의 교류를 통해 편견의 벽을 허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노르드 스트림 3의 내부 이미지, 2022. © Opposite Office
노르드 스트림 3의 외관 측면 이미지, 2022. © Opposite Office

이렇게  ‘노르드 스트림 3’의 궁극적인 목표는 세계 시민 공동체들 사이에 상호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것이다. 기후, 사회, 보건, 경제 정책 문제를 다루는 토론을 통해 참가자들은 아이디어를 모으고, 가치를 위해 행동하고, 동등한 협상을 통해 새로운 영향, 영감, 자극을 각국에 전달하고자 한다.

이 프로젝트의 주체는, 시민 사회의 변혁이 국제적, 다문화적 교류, 네트워킹, 협업 과정을 통해 아래에서부터 이루어진다는 생각에서 출발한다. ‘노르드 스트림 3’에서는 UN의 고위 관계자, 국가 원수들의 모임 대신, 일반 시민들의 총회가 열린다.

노르드 스트림 3의 단면도, 2022. © Opposite Office

oppositeoffice.com

© designflux.ac.kr

이서영

디자인 우주를 여행하던 중 타고 있던 우주선의 내비게이션에 문제가 생겨 목적지를 잃고 우주를 부유하는 중입니다. 이 넓은 디자인 우주에서 어디로 가야할지 몰라 근처에 반짝이는 별이 보일 때마다 착륙해 탐험하고 탐험이 끝나면 떠나기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근데 생각보다 나쁘지 않더군요. 오히려 재미를 느끼기 시작했습니다. 이제 또 다음 별로 출발해보려 합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사물이 말을 한다면 #2 꽃과 함께 피어나 꽃과 함께 지게 된 내 첫 번째 생

운명의 트럭 못~쓰는 냉장~고, 티브~이, 컴퓨~터, 에어~컨 삽니다. 공-일-공-팔-오-삼-팔-오-이…. 아침마다 들었던 이 소리에 나의 운명이 결정될지 몰랐다....

2008-07-11 | “빌바오 효과란 허튼 소리다.”

2008년 서펀타인 갤러리 파빌리온의 건축가는 프랭크 게리였습니다. 의외로 이 임시 건축물이 영국에서는 처음으로 완성된 프랭크 게리의 건물이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파빌리온 공개를 맞아 열린 기자회견에서 다시 한 번 ‘빌바오 효과’에 언급되었죠. “빌바오 효과란 허튼 소립니다.” 그렇게 이야기한 주인공은 다름 아닌 프랭크 게리였습니다. 

2011-03-21 | 구겐하임 아부다비 보이콧

건축 소식은 보통 설계 단계나 완성 단계를 다루곤 합니다. 전자의 경우 누구의 설계인가에 방점을 두는 경우도 많습니다. ‘공모’가 필요한 규모의 설계라면 더욱 그렇죠. 그런데 어느 건물이 설계되어 완성되기까지, 그 사이에는 건설 과정이 존재합니다. 그런데 어떤 건물이 말 그대로 노동자의 피 땀 눈물, 심지어 목숨으로 세워진다면요? (...)

2010-04-22 | 덴버 ‘B-사이클’

2010년 덴버가 도시 차원의 공유 자전거 프로그램을 도입했습니다. B-사이클 사와 손잡고 도시 곳곳에 대여소와 공유 자전거를 설치했지요. 당시에도 공유 자전거는 그리 새로운 일은 아니었습니다. 새롭다면 그것이 자동차의 나라라고 해도 좋을 미국의 소식이었다는 점이랄까요. 2010년 지구의 날에 달리기 시작한 덴버 B-사이클은 덴버 시민의 유용한 발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비판도 있었습니다. 보관소가 주로 백인들이 사는 살림 넉넉한 동네에 설치되어, 막상 이용해야 할 사람과 지역을 외면했다는 것입니다. 덴버 B-사이클은 2020년 1월 운영이 종료되었습니다. B-사이클만이 아닌 여러 업체의 경쟁 입찰 방식으로 하이브리드 자전거, 스쿠터 등으로 프로그램을 전환하겠다는 시의 결정에 따른 결과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