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3-24 | MoMA, @를 소장하다

Editor’s Comment

탄생은 멀리 6~7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오늘날 같은 기능으로 이처럼 널리 쓰이게 된 것은 1970년대 이후의 일입니다. 2010년 MoMA의 건축·디자인부가 부호 ‘@’를 영구 소장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누구의 것도 아니며 실물로 존재하지도 않지만, “소장에 요구되는 다른 기준들을 만족”하며, 더불어 기존의 부호를 전유해 새로운 쓰임을 부여했다는 점에서 “디자인 행위”를 보여준다고, 수석 큐레이터 파올라 안토넬리는 설명합니다.

레이 톰린슨(Ray Tomlinson), ‘@’, 1971
– ITC 아메리칸 타자기 서체 버전. 1970년대 초 ‘모델 33 텔레타입’에 사용된 서체와 가장 유사한 것이다.

이메일 주소마다 반드시 들어 있으며, “골뱅이”라는 애칭으로 불리는 부호. MoMA의 건축·디자인부가 ‘@’를 영구 소장품 목록에 올렸다. 3월 22일 수석 큐레이터 파올라 안토넬리(Paola Anotnelli)가 MoMA 블로그에 이 사실을 알렸다. 

하지만 부호를 소장한다니? 혹여 그렇다고 해도 @를 과연 디자인이라 할 수 있을까? 파올라 안토넬리는 이번 소장 결정의 배경을 차근히 설명한다. 설치작품은 물론이고 퍼포먼스까지도 소장의 대상이 되는 만큼, 어떤 오브제의 실제 소유가 소장의 필수조건은 아니라는 것. 덕분에 이제 큐레이터들은 너무나 거대해서, 또 그 누구의 소유도 아니기에 소장할 수 없었던 것들에도 눈을 돌리고 있다. “@는 소장에 요구되는 다른 기준들을 모두 만족한다. 그저 실제의 물건이 아닐 뿐이다.”

그리고는 @의 역사에 대한 설명이 이어진다. 본래 @은 6~7세기부터 사용되었던 부호로, 당시 ‘at, to, toward’ 등 여러 가지의 의미를 축약하였다. 이후 1885년 아메리칸 언더우드 타자기 자판에 등장하였고, 1963년에는 ASCII 코드에도 포함되어, ‘at, at the rate of’ 등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이때까지만 해도 @는 그리 잘 사용되지 않는 부호의 하나였을 뿐이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는 전적으로 다른 기능을 부여받게 된다.

파올라 안토넬리는 @의 역사에 있어 결정적인 인물로 레이 톰린슨을 꼽는다. 인터넷의 전신 ‘아르파넷(ARPAnet)’ 개발에 참여했던 그는 특히 메시지 전송과 관련된 작업을 맡고 있었다. 아르파넷을 통해 여러 대의 컴퓨터들이 처음으로 서로 메시지를 주고 받게 된 것이다. 1971년 10월 그는 최초의 이메일에 @ 부호를 사용했다. ‘사용자명@기관/컴퓨터/서버명’ 등으로 구성된 이메일 주소 형식이 탄생한 것이다.

기존의 부호를 전유하여 재이용하는 것. MoMA는 이것이 “디자인 행위”라고 단언한다. 톰린슨은 @에 전적으로 새로운 기능을 선사했다. 인터넷이라는 기술 혁신 과정에서 @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 이메일 주소 등에 사용되며 뛰어난 경제성을 자랑했다. 부호 본연의 의미를 유지하면서도 새로운 기능을 수행하게 된 것이다. MoMA의 @ 소장 결정은, 이 부호에 담긴 ‘디자인 행위’를 겨냥한다. 그래서 @은 앞으로 다양한 서체 버전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파올라 안토넬리는 말한다. “기존 소장품에 소재 정보를 기입하듯, 앞으로 @에 해당 서체의 이름을 명기할 것입니다.”

[MoMA] @ at MoMA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전시 ‘빌어먹을 우리 뒷마당 (It’s Our F***ing Backyard)’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스테델릭 뮤지엄(Stedelijk Museum Amsterdam)에서 전시 ‘빌어먹을 우리 뒷마당(It’s Our F***ing Backyard)’이 2022년...

낫플라 페이퍼: 해조류 부산물로 만든 종이

영국의 친환경 패키지 브랜드 ‘낫플라(Notpla)’는 해조류를 사용해 패키지 박스나 봉투에 사용될 종이를 제작했다. 생분해성...

2010-07-08 | 2010 서펀타인 갤러리 파빌리온

2010년은 런던의 서펀타인 갤러리에 의미 있는 해였습니다. 개관 40주년에 매년 여름 선보인 파빌리온 프로젝트 10주년을 맞이한 해였지요. 여러 모로 기념할 만 했던 그 해, 서펀타인 갤러리가 선택한 파빌리온 건축의 주인공은 장 누벨이었습니다. 켄싱턴 가든의 녹음과 대비되는 강렬한 적색의 캔틸레버 구조물이 기하학적 형상을 이루며 존재감을 강변합니다. (...)

2007-09-05 | 접이식 인테리어 오브제

스웨덴의 폼 어스 위드 러브가 2007년 접이식 인테리어 소품 시리즈를 선보였습니다. 플랫팩 디자인의 극한이라고 할까요. 접기 전에는 그저 얇은 철제 평판입니다. 접기 과정을 거쳐야 비로소 옷걸이, 쓰레기통, 시계 등의 소품이 됩니다. 폼 어스 위드 러브는 2007년 당시만 해도 설립 3년 차의 신진 스튜디오였지만, 2020년에는 〈패스트 컴퍼니〉가 선정한 최고의 혁신적 디자인 회사 명단에 올랐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