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1-03 | 안녕히, 에토레 소트사스

Editor’s Comment

2008년의 첫 소식은 애석하게도 부고였습니다. 2007년의 마지막 날, 디자이너 에토레 소트사스가 90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레스가 모어였던 20세기의 디자인 흐름을, 레스는 레스일 뿐이라며 정면으로 거슬러 또 다른 20세기의 디자인을 만들어냈던, 그의 타계 소식이 오늘의 옛 뉴스입니다.

포스트모던 디자인의 핵심적 인물 에토레 소트사스(Ettore Sottsass)가 지난 월요일 90세를 일기로 숨을 거두었다. 디자이너 겸 건축가인 그는 20세기 이탈리아 디자인이 낳은 걸출한 인물 중 한 사람이다. 또한 디자인 계에 널리 영향을 떨쳤던 ‘멤피스’ 그룹의 설립자이자, 올리베티 타자기의 디자이너로도 잘 알려져 있다. 이탈리아의 문화부 장관 프란체스코 루텔리는 에토레 소트사스의 타계 소식에 “한 세기를 관통할 수 있었던 뛰어난 재능의 소유자로, 생애 마지막 나날까지 끊임없이 우리를 즐겁게 했다.”는 말로 조의를 표했다. 

최근 몇 년간, 세계 곳곳의 뮤지엄에서는 에토레 소트사스의 작업을 조명하는 전시회를 잇달아 개최해왔다. 2006년에는 LA 주립미술관의 주최로 미국 내 최초의 메이저급 전시회가 개최된 이래, 2007년에는 런던 디자인 뮤지엄의 ‘Work in Progress’ 전을 비롯, 미국 필라델피아 미술관 및 프리드먼 벤다 갤러리에서도 작품 전시가 열렸다. 그리고 공교롭게도 지난 12월부터 이탈리아 트리에스테에서 소트사스의 회고전 ‘I Want to Know Why’이 한창인 가운데, 디자이너의 부고 소식을 맞게 된 것이다. 

“삶은 영원한 프로젝트이고, 하나에서 또 다른 곳으로 이행하는 과정이다.” 가장 만족스러운 프로젝트가 무엇인지 묻는 질문에, 그는 이러한 대답을 남긴 바 있다. 이제 그 영원한 이행의 프로젝트와도 작별을 고한 셈이니, R.I.P. 에토레 소트사스. 

에토레 소트사스 인터뷰 
멤피스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4-23 | 탑승권 리디자인 릴레이

코로나19를 지나며 가장 먼저 여행이 ‘멈춤’에 돌입했고, 어느 머나먼 곳으로 떠나는 항공권을 들던 때가 그리울 정도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오늘의 뉴스로 ‘항공권’ 이야기를 골라보았습니다. 어째서 항공권을 손에 들고서도 우왕좌왕하게 될까. 표를 언제 왜 들여다보게 되는가를 중심으로, 탑승권의 정보에 순서와 강조점을 부여한 어느 개인의 리디자인 제안과 그에 이어지는 릴레이입니다.

2009-08-25 | 그 미용실 황량하다

철거 중인지 완성된 것인지 아리송한 실내의 상점들이 부쩍 늘어나던 시기가 있었습니다. 매끈함의 정반대에 선 반폐허의 미감이 사람들의 발길을 이끌었지만, 미감을 논하기 이전에 위생을 걱정해야 할 곳들도 적지 않았지요. 2009년의 어느 ‘황량한’ 미용실 인테리어 소식을 보며, 오늘 여기의 어떤 상점들을 생각해 봅니다.

공병으로 만든 시상대: 2020 도쿄올림픽

2021년 8월에 열리는 2020 도쿄올림픽에서는 지속가능성을 컨셉으로 트로피, 메달과 같은 다양한 오브제를 보여주고 있다. 그...

2009-06-30 | 쿠션을 구하는 스툴

보통 소파나 안락의자에 놓던 쿠션을, 가장 단순한 의자인 스툴에 선사했습니다. 5.5 디자이너스의 스툴 ‘탭’은 쿠션을 놓기 좋게 오목한 시트를 가지고 있습니다. 실내에 조화를 불러오는 쿠션의 힘을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든 스툴. 5.5 디자이너스가 제공하는 것은 거기까지입니다. 실제로 쿠션을 구해 얹는 일은 사용자의 몫이었죠. 5.5 디자이너스가 이 의자를 두고 “미완성 상태에 놓인 절반의 물건”이라고 했던 까닭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