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2-10 | 2010 터너상 시상식

Editor’s Comment

수잔 필립스는 장소에서 출발해 그곳에 소리를 부여하여, 공간과 맥락과 사람 사이에 새로운 반향을 만들어내는 작업을 선보여왔습니다. 그리고 2010년 사운드 설치작가로서는 사상 처음으로 터너상을 수상했지요. 한편 오늘 뉴스의 제목이 터너상 ‘시상식’인 데에는 수상자 발표 외에도 또 다른 이유가 있었으니, 2010년 터너상 시상식장은 시위의 현장이기도 했기 때문입니다. 지난 10월 22일의 옛 뉴스에서 보았던 재정긴축의 여파에서 미술 부문도 예외가 아니었지요.

수잔 필립스, ‘로우랜즈’, 2008/2010 – 테이트 브리튼의 2010 터너상 전시장 모습 
© courtesy the artist, Tanya Bonakdar Gallery, New York and Isabella Bortolozzi Galerie, Berlin. 
photo: Sam Drake and Lucy Dawkins, Tate Photography 

12월 6일 런던 테이트 브리튼에서 2010 터너상 시상식이 열렸다. 수상자 발표자로 나선 미우치아 프라다(Miucia Prada)는 수잔 필립스를 호명하였다. 26년의 터너상 역사에 있어 처음으로, 사운드 인스톨레이션 작가가 터너상을 수상하는 순간이었다. 1965년 글래스고 출생. 던컨 오브 조던스톤 미술대학과 얼스터 대학에서 수학한 그녀는, ‘로우랜즈(Lowlands)’와 ‘멀리 사라진(Long Gone)’의 두 작품으로 올해 터너상 후보에 올랐다. 

수잔 필립스, ‘로우랜즈’ 
– 2010 글래스고 국제 미술제에서의 설치 모습 
courtesy the artist and Tanya Bonakdar Gallery, New York. 
photo: Eoghan McTigue
수잔 필립스, ‘로우랜즈’
– 2010 글래스고 국제 미술제 설치 현장 영상

한편 이 날의 시상식장은 미술학도들의 시위 현장이기도 했다. 현 정부의 미술 관련 예산 삭감과 등록금 인상 방침에 반대하는 학생과 교사들이 시상식장에 진입하여 구호를 외친 것. 다음은 <가디언>의 보도 일부를 발췌한 것이다. 

테이트의 디렉터 니콜라스 세로타 경은 시위자들이 시상식장에 들어온 것을 알고 있었고, “모두가” 미술 예산 삭감 방침에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미술은 사는 곳이나 빈부와 관계 없이 계속해서 누구에게나 열려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수잔 필립스는 “삭감에 반대하는 미술가들을 지지한다”고 말하며 시위자들에게 보다 직접적인 지지의 뜻을 전했다.

영국은 현재 보수당 정권의 강력한 재정 긴축 방침에 따라 진통을 겪는 중이다. CABE나 디자인 카운슬의 경우에서 보았듯 재정 긴축의 여파는 이미 디자인계에도 당도했다. 미술 역시 이러한 기조에서 예외가 아니다. 게다가 대학의 보조금 삭감에 이어 학비 상한선 인상 방침까지 발표되면서, 지난 달 런던에서는 대규모 학생 시위가 벌어지기도 했다. 

www.tate.org.uk/britain/turnerprize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줌, 가상 아바타 기능 출시

지난 3월, 줌 비디오 커뮤니케이션 (Zoom Video Communications)(이하 '줌')에서 참가자의 실제 모습을 대신해 보여주는...

2021-10-18 | 건축가 키쇼 쿠로카와 타계

건축가 키쇼 쿠로카와가 2007년 10월 12일 세상을 떠났습니다. 급진적인 건축 운동이었던 메타볼리즘 사조의 선구자로서, 대표작인 나카긴 캡슐 타워는 도시의 변화에 유기적으로 대응하는 건축이라는 개념을 유감 없이 보여주었지요. 그가 떠난 지 14년이 된 지금, 이제 나카긴 캡슐 타워도 퇴장합니다. 타워의 철거 계획은 이미 2007년에 전해졌지만, 건축 50주년을 맞은 올해 실제 철거가 시작된다는 소식입니다. 하지만 캡슐들이 그냥 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해체한 캡슐들은 자리를 옮겨 전시, 숙박 등의 다른 용도로 활용될 예정입니다. 또 타워의 마지막을 담은 기록 서적도 내년 2월 출간된다고요.

2008-07-07 | 잔디 사진

헤더 애크로이드와 댄 하비는 자연을 매체로 삼은 작업으로 유명한 미술가 듀오입니다. 특히 잔디를 이용한 사진 작품들이 널리 알려져 있는데요. 청사진과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잔디의 감광성을 이용해 잔디판 위에 사진 이미지를 구현합니다. 2008년 두 사람은 윔블던 테니스 챔피언십의 광고 캠페인에 참여하여 잔디 사진들을 선보였습니다. 잔디 코트의 윔블던과 잔디 사진의 애크로이드 & 하비. 잔디는 그야말로 절묘한 매개체였습니다.

2011-01-25 | MoMA, 디지털 서체 23종 소장

2011년 벽두, 디지털 서체가 대거 뉴욕 현대미술관(MoMA)의 소장품 대열에 합류했습니다. 이전까지만 해도 헬베티카가 MoMA가 소장한 유일한 디지털 서체였지만, 2011년 1월 24일을 기점으로, 23종의 서체들이 이에 합류했죠. 그중에서도 한때 막강한 듀오였으나 껄끄럽게 결별한 조너선 헤플러와 토바이어스 프레르-존스를 비롯해, 매튜 카터의 서체들이 목록의 상당 부분을 차지합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