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막의 20cm 농부, 아씨드봇

사막 위 아씨드봇 © Global grad show

메마른 사막 위에 씨앗을 심는 작은 농부, ‘아씨드봇(A’seedbot)’은 사막의 풍경을 가꾸는 자율주행 로봇이다. 약 20cm 길이의 이 로봇은 낮 동안에는 태양열 전지로 전력을 충전하고, 밤에 작동하도록 설계되었다. 해가 진 뒤, 반경 5km 내에서 기름진 땅을 찾아 움직이고, 센서와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통해 검색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씨앗을 심는다.

적절한 모래를 찾고 있는 아씨드봇 © Global grad show

3D 프린팅으로 제작된 다리로 사막 위를 기어다니며 이 로봇은 전면에 장착된 ‘눈’을 통해 씨앗을 심을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수분을 머금은 모래를 찾아낸다. 로봇 몸체에 내장된 센서로 충돌까지 방지하는 이 로봇에게 인간이 해 줄 일은 오직 로봇에 씨앗을 채우는 것뿐이다.

이 로봇을 제작한 마지아르 에테하디(두바이 디자인 혁신 학교 DIDI 학생)는 ‘2021 글로벌 졸업 전시회(Global Grad Show 2021)’에서 미래 식량(The future of good) 부문에 이 작품을 선보였다. “금방 떠올릴 수 있는 아이디어인 듯하지만, 실제로 구상을 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며 간단한 솔루션을 실현한 것에 대해 자부심을 보였다.

아씨드봇의 옆 모습 확대 이미지 © Global grad show

Globalgradshow.com
cnn.com

© designflux.co.kr

이서영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6-08-31 | 자하 하디드의 자동차 디자인

자하 하디드가 자동차를 디자인한다면 어떠한 모습일까요. 그에 대한 대답을 아트 딜러 케니 샥터의 제안으로 태어난 ‘Z-카’ 콘셉트에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수소로 달리는 물방울 모양의 삼륜차. 이 콘셉트카는 2008 서울디자인올림픽에서도 전시된 바 있지요. 하디드의 자동차 디자인은 이후 ‘Z-카 2’ 로까지 이어졌습니다.

2010-06-07 | “BP에 BP다운 로고를”

2010년 4월 20일, 미국 멕시코만에서 BP의 석유 시추시설이 폭발했고, 이후 5개월 간 1억 7천만 갤런의 원유가 바다로 흘러들었습니다. “최악의 원유 유출 사고” 후, 그린피스는 BP에 BP다운 로고를 선사하자며 로고 리디자인 공모전을 전개했습니다. 초록빛 가득한 “로고의 이면”을 드러내기 위함이었지요. 참가자들이 새롭게 디자인한 로고들은 매끄럽지는 못할지라도 ‘석유를 넘어’와 같은 BP의 슬로건이 얼마나 위선적인지를 고발합니다.

2010-07-01 | 아디다스 월드컵 서체

2010년 남아공 월드컵을 위한 아디다스의 커스텀 서체 '유니티'. 디자인을 맡은 브라질의 디자이너 요마르 아우구스투는 월드컵 공인구인 ‘자블라니’에서 서체 디자인이 시작되었다고 말합니다. 공을 장식한 둥근 모서리의 삼각형을 기저로 그 위에 타이포그래피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말이지요. 축구공에서 출발한 2010 월드컵 서체 디자인을 되돌아봅니다.

2010-06-16 | 2010 DMY 어워즈 수상자

DMY 베를린 국제디자인페스티벌의 시상 프로그램인 ‘DMY 어워즈’의 2010년 수상작을 돌아봅니다. 투명 테이프를 거미줄 삼아 지은 ‘건축물’을 선보인 포 유즈/누멘과 증강현실의 가능성을 보여준 전시를 선보인 로잔공과대학과 로잔예술디자인대학의 공동 연구소 EPFL+ECAL랩, 그리고 자신을 비추는 테이블 조명 시리즈를 선보인 다프나 이삭스와 라우렌스 만더르스가 그 주인공이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