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완의 건축(세미 아키텍처)

스키마타 건축, 무사시노 미술대학 건물 16, 2021 ⓒ Schemata architects

도쿄의 스키마타(Schemata architects) 건축 사무소가 디자인한 무사시노 미술대학 실내디자인과 건물 16 ‘세미 아키텍처(Semi-architecture)’가 완성된 모습을 드러냈다. 이 세미 아키텍처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직접 수정하면서 변화해가는 미완의 건축을 일컫는다. 건물 16은 디자인, 제작, 전시 등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다. 그래서 학생들의 창의력에 따라 변용이 가능하게끔 건물 전체에 공통된 규격을 적용하고, 특히 전시마다 적절히 칸막이와 가구를 유동적으로 옮길 수 있는 시스템으로 설계했다. 표면의 오염을 걱정해야 하는 ‘화이트 큐브’ 공간과는 물론 거리가 멀다.

무사시노 미술대학 건물 16 내 전시 풍경, 2021. ⓒ Schemata architects
무사시노 미술대학 건물 16의 작업 공간과 전시 공간, 2021. ⓒ Schemata architects

학생들이 필요에 따라 마감재를 덧입힐 것을 가정해 석고보드에 퍼티 마감재, 스틸에 녹 방지 페인트 등 최소한의 마감재만 적용했다. 벽면 표지판은 스텐실과 스탬프를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도록 디자인되었다.

무사시노 미술대학 건물 16의 스탬프 벽 표지판 ⓒ Schemata architects

건물 16의 디자인 아이디어는 스키마타 건축 사무소가 파리를 방문하면서 구상되었다. 파리 시내에 위치한 역사적 건축물들은 외관의 변경이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도시는 언제나 다양한 사람들의 활동과 활기로 가득하다. 이러한 파리의 모습을 관찰하던 중, 장대를 이용해 바로 설치할 수 있는 장터 천막 시스템, 이동형 벤치와 화분, 오픈 카페 등 기발한 임시 구조물과 시스템을 발견하고 ‘세미’ 건축 개념을 착안했다.

스키마타 건축 사무소의 이러한 아이디어는 무사시노 미술대학 건물 16에 앞서 교토 시립 예술대학과 HAY 도쿄에도 구현되었다.

Schemata.jp

ⓒ designflux.co.kr

박지민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08-31 | 풍경을 러그 위에

발리의 계단식 논, 리세의 튤립 농원, 스트래스모어의 전원… 디자이너 리즈 유웨스가 러그 위에 올린 풍경들입니다. 정확히 조감의 시점으로 내려다 본 지상의 모습이 러그에 재현되었습니다. 그의 이 러그 시리즈는 2009년 100% 퓨처 전시에서 소개되었죠. 

2011-04-18 | 디자인 마이애미/ 바젤 선정 ‘미래의 디자이너’

2011년 디자인 마이애미/ 바젤의 첫 소식은 ‘미래의 디자이너’ 발표였습니다. 그해의 수상자는 총 세 팀입니다. 영국의 아시프 칸, 오스트리아의 디자인 듀오 미셔’트락슬러 그리고 싱가포르의 스튜디오 주주가 그 주인공이었죠. 그리고 두 달 뒤 이들의 수상 기념 신작이 디자인 마이애미/ 바젤에서 전시되었습니다.

숲 속의 회의장

영국 디자이너 에스 데블린(Es Devlin)은 2021년 10월 31일부터 스코틀랜드 글래스고에서 열리고 있는 COP26(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2011-05-27 | 앰네스티 x 마르턴 바스

2010년도 노벨평화상 시상식장에 막상 수상자 류 사오보는 수감되어 참석할 수 없었습니다. 시상식장에 주인 없이 남아 있어야 했던 의자를 상징 삼아, 앰네스티는 ‘빈 의자’라는 이름의 캠페인을 펼쳤습니다. 디자이너 마르턴 바스는 비어 있으되 하늘 높이 솟은 사다리와도 같은 의자로 현실과 희망을 동시에 보여주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