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완의 건축(세미 아키텍처)

스키마타 건축, 무사시노 미술대학 건물 16, 2021 ⓒ Schemata architects

도쿄의 스키마타(Schemata architects) 건축 사무소가 디자인한 무사시노 미술대학 실내디자인과 건물 16 ‘세미 아키텍처(Semi-architecture)’가 완성된 모습을 드러냈다. 이 세미 아키텍처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직접 수정하면서 변화해가는 미완의 건축을 일컫는다. 건물 16은 디자인, 제작, 전시 등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다. 그래서 학생들의 창의력에 따라 변용이 가능하게끔 건물 전체에 공통된 규격을 적용하고, 특히 전시마다 적절히 칸막이와 가구를 유동적으로 옮길 수 있는 시스템으로 설계했다. 표면의 오염을 걱정해야 하는 ‘화이트 큐브’ 공간과는 물론 거리가 멀다.

무사시노 미술대학 건물 16 내 전시 풍경, 2021. ⓒ Schemata architects
무사시노 미술대학 건물 16의 작업 공간과 전시 공간, 2021. ⓒ Schemata architects

학생들이 필요에 따라 마감재를 덧입힐 것을 가정해 석고보드에 퍼티 마감재, 스틸에 녹 방지 페인트 등 최소한의 마감재만 적용했다. 벽면 표지판은 스텐실과 스탬프를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도록 디자인되었다.

무사시노 미술대학 건물 16의 스탬프 벽 표지판 ⓒ Schemata architects

건물 16의 디자인 아이디어는 스키마타 건축 사무소가 파리를 방문하면서 구상되었다. 파리 시내에 위치한 역사적 건축물들은 외관의 변경이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도시는 언제나 다양한 사람들의 활동과 활기로 가득하다. 이러한 파리의 모습을 관찰하던 중, 장대를 이용해 바로 설치할 수 있는 장터 천막 시스템, 이동형 벤치와 화분, 오픈 카페 등 기발한 임시 구조물과 시스템을 발견하고 ‘세미’ 건축 개념을 착안했다.

스키마타 건축 사무소의 이러한 아이디어는 무사시노 미술대학 건물 16에 앞서 교토 시립 예술대학과 HAY 도쿄에도 구현되었다.

Schemata.jp

ⓒ designflux.co.kr

박지민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8-12 | 좋은 날씨

2011년 시각 예술가이자 일러스트레이터인 사라 일렌베르거의 개인전이 열렸습니다. ‘좋은 날씨’는 그의 작업을 망라한 첫 모노그래프 출간을 기념하여 열린 전시이기도 합니다. 그가 택하는 작업의 재료는 대체로 입체의 사물입니다. 그것을 그대로 설치하거나 아니면 사진을 찍어 이미지로 만들지요. 어떤 매체의 표현을 빌리자면 “3D 일러스트레이터”라고 할까요. 사라 일렌베르거의 시각 세계를 다시 만나봅니다. 

2010-05-20 | 바바라 크루거의 런던 지하철 노선도

2010년 5월 21일 이후 런던의 지하철역에서 포켓형 노선도를 집어들었다면, 표지에서 어딘가 이상한 점이 눈에 띄었을 것입니다. 노선도의 모습은 그대로인데, 역의 이름이 다릅니다. 가령 피카딜리 서커스 역은 ‘역설’, 웨스트민스터 역은 ‘이성’, 러셀 스퀘어 역은 ‘의심’, 템플 역은 ‘웃음’이 되었습니다. 바바라 크루거는 런던 도심의 지하철역에 어떤 상태, 개념, 감정의 단어를 붙였고, 그렇게 바뀐 노선도는 마음의 여정을 그린 마인드맵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

BBC ‘새’ 로고 디자인 논란

2021년 상반기, BBC가 새 로고를 공개한 후, 세금 낭비라는 항의와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영국...

2011-07-06 | 영수증 다시 보기

2011년 〈아이콘〉 매거진 97호에서 ‘다시 생각해 본’ 대상은 영수증입니다. 보통은 들여다 볼 일 없는 이 작은 종이 조각을, 런던의 디자인 컨설턴시 버그는 정보 매체로 보았습니다. 버그가 디자인한 가상의 식당 영수증에는 응당 담겨야 하는 정보 외에도, 꼭 필요하지 않아도 읽어볼 만한 거리들이 담겨 있습니다. 가령 당신이 먹은 음식이 하루 중 언제 가장 잘 나가는지, 영양성분은 어떤지, 또 식당 주변의 가볼 만한 전시 정보라던지요. (...)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