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10-28 | 미생물의 집

Editor’s Comment

디자인 프로브는 필립스가 운영했던 미래 라이프스타일 연구 프로그램입니다. 이미 소개했던 2010년의 ‘메타모포시스’에 이어 2011년 필립스가 구상한 미래의 집은 미생물을 이용한 자급자족의 집입니다. ‘미생물의 집’이 그리는 아직 오지 않은 미래의 집에서 특히 눈에 띄는 것은 오래된 요소들입니다. 토기로 된 증발식 냉장고라던가 벌통 그리고 쪼그려 앉는 재래식 변기처럼요. 

필립스가 2011 네덜란드 디자인 위크에서 ‘미생물의 집(Microbial Home)’ 콘셉트를 공개했다. 미래 생활양식 연구 프로그램 ‘디자인 프로브(Design Probes)’의 일환으로, ‘미생물의 집’은 순환적 생태계로서의 집을 제시한다. 음식 준비, 에너지, 폐기물, 개인 위생, 배설물 관리의 순환적 연결. 가령 부엌의 음식물 쓰레기와 화장실의 배설물이 가스레인지, 온수기를 작동시키는 에너지원이 된다. 미래의 집을 그린 콘셉트이지만, 필립스는 화려한 기술과 편의를 약속하기보다 자연에 더 가까운 생활을 제안한다. ‘미생물의 집’은 에너지는 덜 소모하고 환경 오염을 줄이는 미래 생활의 전략들로 이뤄져 있다.  

필립스 디자인 프로브의 최신 연구, ‘미생물의 집’은 오는 30일까지 피트 헤인 에이크 갤러리에서 전시된다. 아래 디자인 프로브 커뮤니티 사이트를 방문하면, ‘미생물의 집’에 대한 정보와 함께, 콘셉트에 대한 사람들의 의견을 확인할 수 있다. 

designprobes.ning.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6-09-13 | 브라질의 이색 공중전화 부스

공중전화 부스 앞으로 차례를 기다리며 사람들이 줄지어 서던 시절도 있었습니다. 누군가에게는 먼 기억의 풍경이고 누군가에게는 한 번도 보지 못한 풍경이겠지요. 2006년 오늘, 디자인플럭스는 브라질의 별난 공중전화 부스들을 소개했습니다. 앵무새, 과일을 닮은 원색의 부스부터 현대적인 파이버글래스 소재의 부스까지, 브라질의 사진 제작 회사 로스트 아트가 모은 이색 전화부스들을 만나봅니다.

2009-05-06 | 2009 내셔널 디자인 어워드

매년 찾아오는 연례 디자인 시상 행사 소식 중에는 미국 쿠퍼 휴잇 스미소니언 디자인 뮤지엄(2014년부터 이름이 이렇게 바뀌었습니다)의 ‘내셔널 디자인 어워드’가 있었습니다. 특히 2009년에는 시상 부문이 신설되었는데요. 바로 인터랙션 디자인입니다. 그에 발맞추듯 평생공로상도 빌 모그리지에게 돌아갔습니다. 참고로 빌 모그리지는 이듬해부터 2012년까지 3년간, 이곳 디자인 뮤지엄의 관장을 맡았습니다.

〈디자인 이슈〉(Design Issues) Autumn 2021: 디자인은 미학인가 수사학인가?

<디자인 이슈(Design Issues)> Autumn 2021, Volume 37, Issue 4 표지 ‘디자인의 설득?: 미학과 수사학 사이의 디자인론(Persuasion by...

2009-12-31 | 2009 디자인플럭스 뉴스 리뷰

한 해의 마지막 날답게, 2009년 디자인플럭스의 12월 31일자 뉴스는 저무는 한 해를 돌아보는 리뷰의 형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매달의 주요 뉴스들로 돌아본 2009년 12개월의 이야기. 이 리뷰를 빌어, 디자인플럭스 2.0도 새해 인사를 전합니다. 2022년은 올해보다 다정한 해가 되기를 또 건강과 평화가 함께 하는 한 해가 되기를 희망합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