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6-18 | 디자인 프로브 ‘메타모포시스’

Editor’s Comment

2020년 팬데믹의 한 해를 지나며, 집은 그야말로 피난처이자 안식처가 되었습니다. 감염의 위험을 안은 외부로부터 나를 보호하기 위해, 때로 자신을 집에 가두어야만 했습니다. 아직 진행형인 팬데믹의 와중에, 지금으로부터 11년 전 상상된 근미래의 집을 되돌아봅니다. 디자인 프로브의 ‘메타모포시스’는 집을 일종의 필터로 규정하며, 외부의 나쁜 요소를 걸러내면서도 자연을 안으로 들이는 주거공간의 변형태를 연구했습니다. 인간과 자연의 분리를 극복한다는 다소 추상적인 주제가 조금은 더 가깝게 다가오는 요즘입니다.

필립스 디자인(Philips Design)의 ‘근미래’ 디자인 연구 프로그램, 디자인 프로브(Design Probe). 그 최신 연구 ‘메타모포시스(Metamorphosis)’는 인간과 자연의 분리를 극복하는 주거공간을 겨냥한다. 

“집은 일종의 필터로서, 오염된 공기나 전자기 스모그, 산업 소음을 걸러내는 것이다. 하지만 동시에 자연광, 공기, 자연의 소리 역시 차단된다. ‘메타모포시스’는 좀 더 유연한 필터로서의 집, 주거공간을 생각한다. 가령 ‘희미한 빛(Shimmer)’은 유연한 건축물로서, 플렉서블한 띠들이 형태를 바꾸며 자연의 빛과 공기를 실내로 들인다. 이처럼 외부의 ‘나쁜’ 요소들은 제한하면서, 동시에 자연을 들이는 주거공간의 ‘변형’이 이번 프로젝트의 주제다. 

“건축 환경은 우리를 자연의 리듬으로부터 떨어뜨려 놓았다. 계절과 시간은 우리에게 내재한 본능적 반응을 일깨우지만, 오늘날 우리가 살고 일하는 공간들은 바깥의 변화를 반영하지 않는다. ‘메타모포시스’는 자연과 인간 사이의 거리가, 우리의 감각적 경험과 생활양식에 미친 효과를 보여준다.” 필립스 디자인 내 디자인주도 혁신 팀 수석 디렉터, 클리버 판 헤이르던의 말이다. 

자연의 리듬을 받아들이는 주거 공간을 상상하며, ‘메타모포시스’에서 필립스 디자인은 빛, 공기, 소리, 신체라는 네 가지 대상을 다룬다. 

‘치유 침대(Healing Bed)’ – 광섬유 캐노피가 바깥의 햇빛, 달빛을 침대로 전송한다. 자외선, 적외선 등 주파수에 따라 특정 빛을 선별하여, 치료 목적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공기 나무(Air Tree)’ – 자연 기류의 리듬에 따라, 외부 공기를 여과하고 습도를 조절한다. 
‘태양광 블로봇(Solar Blowbot)’ – 태양광으로 작동하는 로봇으로, 실내를 움직이며 바람을 생성한다. 공기주입식 주머니가 부풀었다 오그라들며 바람을 만들어낸다. 
‘소리 장벽(Sound Barrier)’ – 소음 필터인 동시에, 외부의 화학물질, 원치 않는 빛 등을 걸러낸다. 

www.design.philips.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05-10 | 달빛 감응 가로등

에너지 절약과 가로등이라는 주제의 공모전이라고 하면 이라면 예상 가능한 제안은 아마도 태양광 발전 가로등일 테죠. 하지만 여기 2007년 〈메트로폴리스〉지의 차세대 디자인 공모전의 수상작은 오히려 달빛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달빛에 감응해 가로등의 밝기를 조절하는 가로등. 에너지도 절약하면서 조명 공해에서도 한발 물러선 영리한 제안입니다.

먹거리 도구: 숨겨진 이야기

주방 도구의 역사를 다룬 책 <먹거리 도구: 먹거리와 먹는 방법에 영향을 주는 사물 이야기(Tools...

2011-07-25 | 전쟁의 창: 소비에트 타스 포스터 1941-1945

1941년 독일이 불가침 조약을 깨뜨리며 소비에트를 침공하면서, 장장 4년의 독일소련전쟁이 시작되었습니다. 그 길고 참혹한 전쟁은 전선에서만 이뤄진 것은 아니었습니다. 선 뒤에서도 치열한 이미지 전쟁이 펼쳐졌지요. 2011년 시카고미술관에서 열린 ‘전쟁의 창: 소비에트 타스 포스터 1941-1945)’는 포스터라는 매체를 통해 소비에트의 “대조국전쟁”의 또 다른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2011-03-04 | 부어 만들었습니다

콘크리트 액을 부어 탁자의 상판을 만든다면, 아마도 거푸집의 존재가 예상되겠지만, 스튜디오 글리테로의 ‘푸어드 바’의 경우에는 이야기가 다릅니다. 콘크리트 용액을 세 번에 걸쳐 층층이 부어 태어난 테이블의 상판은 그 모양도 질감도 자신이 어떻게 만들어진 것인지를 고스란히 보여줍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