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4-13 | 열 가지 그래픽 디자인 패러독스

Editor’s Comment

그래픽 디자이너이자 저술가인 에이드리언 쇼네시가 일상적인 ‘그래픽 디자인의 역설’ 열 가지를 이야기합니다. 가령 이런 식입니다. ‘전문가인 내가 제일 잘 안다’ 같은 말을 하는 디자이너야말로 전문가답지 못한 디자이너이고, 문외한인 클라이언트에게 디자인을 가르치고 싶다면, 먼저 나부터 클라이언트에 관해 배워야 한다는 것이죠. 10번까지 이어지는 역설의 목록 끝에는 하나의 보너스 역설이 더해져 있습니다. “클라이언트가 ‘완전한 창작의 자유를 주겠다’고 한다면, 절대 그런 뜻이 아니다.”

에이드리언 쇼네시(Adrian Shaughnessy)가 그래픽 디자인 업계에서 마주치는 열 가지 패러독스에 관해 이야기한다. 지난 9일 <디자인 옵저버>에 게재한 ‘그래픽 디자인의 열 가지 패러독스(Ten Graphic Design Paradoxes)’에서, 쇼네시는 최근 그래픽디자인에 관한 책을 쓰던 와중, 새삼 깨닫게 된 역설들을 정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업계의 지혜라 받아들여지는 것과는 정반대의 의견이나 진술이라는 점을 뜻하고자 ‘패러독스’라는 단어를 사용하였다. 여기 일상적인 그래픽 디자인계의 열 가지 역설을 소개한다.”

1. 나쁜 클라이언트란 없다. 나쁜 디자이너만이 있을 뿐.
2. 더 나은 그래픽 디자이너가 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은 클라이언트가 되어보는 것이다. 
3. 클라이언트에게 디자인을 가르치고 싶다면, 먼저 클라이언트에 관해 배워야 할 것이다. 
4. 그래픽 디자이너로서 돈을 벌고 싶다면, 돈이 아니라 작업에 집중해야 한다. 
5. 디자이너에게 이야기 기술은 디자인 기술만큼이나 중요하다. 
6. 아이디어가 좋지 못해 실패한다기보다, 아이디어를 제대로 전달하지 못해 실패한다. 
7. “전문가인 제가 제일 잘 압니다.” 
8. “좋은 일은 다 다른 디자이너한테 가더라.” 
9. 스튜디오는 강압적인 방식으로 운영하는 것이 최고다.
10. 그 무엇도 신뢰하지 않는다면, 남들이 왜 나를 못 믿나 의아해해서는 안 된다. 

이 가운데 어떤 진술은 내용 그대로를 의미하지만, 어떤 경우들은 그렇지 않아서 그 역이 참이 되기도 한다. 어째서인지 좋은 일은 다 다른 디자이너들에게 돌아가는 것 같은데, 나는 오늘도 뭣도 모르는 클라이언트를 가르쳐가며 실랑이를 벌이며, “그냥 돈 때문에 하기로 한 일이니 참는다”며 스스로를 위로하고 있다면? 물론 이러한 비극은 언제라도 벌어질 수 있다. 하지만 그런 일이 매번 반복된다면? 에이드리언 쇼네시는 어쩌면 당신의 관점부터 달라져야 한다고 이야기하는 듯하다. 

아래 <디자인 옵저버>의 원 기사에서 열 가지 패러독스를 살펴보시길. 원 기사 말미에서 (아마도 모두가 공감할 법한) 또 하나의 ‘보너스’ 패러독스도 살펴볼 수 있다. 

[Design Observer] Ten Graphic Design Paradoxes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8-04-29 | 평범한 일상에 근거하라

변화와 혁신을 말하는 목소리야말로 유일하게 변하지 않는 무엇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한 변화와 혁신은 평범하고 지루하기까지한 일상의 행동에서 비롯된다고 웬디 마치는 말합니다. 2008년 미국산업디자인협회의 컨퍼런스에서 그가 이야기했던 “평범한 미래”를 다시 만나봅니다.

2009-05-25 | 디자인과 예술 사이

“디자인은 목적이 있는 표현이고, 만일 충분히 좋은 디자인이기만 하다면 훗날 예술이라 판정될 수도 있다.” 20세기의 거장 찰스 임스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그리고 21세기 하이메 아욘은 이렇게 이야기하죠. “더 이상 제품디자인과 예술 사이에 명확한 경계란 없다.” 디자인과 예술 사이를 유영하는 정체불명의 오브제들. 이를 조명하는 전시 ‘U.F.O. : 예술과 디자인의 흐릿한 경계’가 2009년 NRW-포럼 뒤셀도르프에서 열렸습니다.

2010-03-11 | 책이 된 우표

2008년 말 네덜란드의 우체국 로얄 TNT는 디자이너 리카르트 휘턴에게 우표 디자인을 의뢰합니다. 이듬해에는 그것이 ‘북위크 기념 우표’면 좋겠다고 덧붙였죠. 그리하여 책을 닮은 우표가 태어났습니다. 북위크(Boekenweek)라는 단어를 책으로 만들어 그 사진을 표지로 삼아, 8페이지 분량의 책 모양 우표를 만든 것이죠. 실제로 500 단어 분량의 짧은 이야기가 담겼습니다.

2009-09-23 | 그래피티 x 도자기

포르투갈의 디자인 회사 카브라세가는 거리의 예술가들을 초청해, 그래피티와 도자기라는 있을 법 하지 않은 만남을 이뤄냅니다. ‘올 시티’는 고풍스럽고 우아한 도자기 티세트에 그래피티라는 오늘의 시각문화, 오늘의 현실을 입혔습니다. 가령 미스터데오가 티세트에 유가 상승이라는 현실을 말그대로 ‘담았던’ 것처럼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