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10-27 | 파워 오브 메이킹

Editor’s Comment

2010년 YBCA의 ‘테크노크래프트’도 여기 2011년 V&A의 ‘파워 오브 메이킹’도 모두 ‘만들기’를 화두로 삼은 전시였습니다. 대량생산사회의 도래로 미술공예운동이 일어났고, 모두가 소비자인 시대에 DIY 문화가 등장했듯, 만들기는 만들 이유가 없어진 사회에서 거꾸로 의미를 얻었습니다. 그리고 2000년대 다시 한 번 만들기가 부상했지요. 기술과 결합된 만들기의 양상이 특히 두드러졌던 이 시기, 전시 ‘파워 오브 메이킹’도 오래된 만들기와 새로운 만들기를 고루 조명합니다. 

‘파워 오브 메이킹(Power of Making)’
© V&A images 

빅토리아 & 앨버트 뮤지엄(Victoria & Albert Museum)과 공예 위원회(Crafts Council)가 함께 전시회 ‘파워 오브 메이킹(Power of Making)’(+대체 링크)을 개최하였다. 오늘날 공예나 기술(skill)과 같은 말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일까? 100여 점의 핸드메이드 전시작들이 이에 답한다. 코바늘 뜨개질로 짠 실물 크기의 곰에서 3D 프린터로 만든 구두까지, 전시는 만들기의 오래된 방식들을 기리는 한편, 현재 진행중인 변화의 양상들을 동시에 조명한다. 그리하여 ‘파워 오브 메이킹’은 오래되면서도 새로운 오늘의 ‘만들기’ 풍경을 그리고 있다. 

만들기’라는 주제에서 짐작할 수 있듯, 전시의 관심은 결과물만이 아닌 과정에도 향해 있다. 체험 및 시연을 위해 팅커 스페이스(Tinker Space)를 마련하였고, 세계 곳곳의 ‘메이커’들이 보내온 단편 비디오들도 상영하고 있다. 아래 비디오에서는 4인의 메이커가 등장한다. 구두 디자이너 마를루스 텐 브회머르, ‘뜨개질-박제사’ 쇼나 리처드슨(Shauna Richardson), 미술가 겸 큐레이터 겸 유리 디자이너인 맷 듀런(Matt Durran), 플루트 제작가 스테픈 웨셀(Stephen Wessel)이 말하는 작업 이야기를 들어보시길.

www.vam.ac.uk
www.craftscouncil.org.uk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2-09 | 안전한 맥주잔 디자인

범죄라는 심상치 않은 문제를 다루는 디자인이 있습니다. 범죄에 맞서는 디자인(design against crime)이라는 표현으로 대표되는 실천들입니다. 어떤 디자인은 범죄의 예방에, 또 어떤 디자인은 범죄의 여파의 축소에 무게를 두기도 합니다. 2010년 오늘의 소식은 후자에 가까운 사례인데요. 음주와 폭력의 불행한 조합 속에서 위험천만한 흉기가 되곤 하는 맥주잔을 더 안전하게 만들기 위한 시도입니다.

Designs for the Pluriverse: Radical Interdependence, Autonomy, and the Making of Worlds

무엇 무엇을 위한 디자인이라는 제목을 붙인 책이 한 둘인가. <사회를 위한 디자인>, <인간을 위한...

2009-08-25 | 그 미용실 황량하다

철거 중인지 완성된 것인지 아리송한 실내의 상점들이 부쩍 늘어나던 시기가 있었습니다. 매끈함의 정반대에 선 반폐허의 미감이 사람들의 발길을 이끌었지만, 미감을 논하기 이전에 위생을 걱정해야 할 곳들도 적지 않았지요. 2009년의 어느 ‘황량한’ 미용실 인테리어 소식을 보며, 오늘 여기의 어떤 상점들을 생각해 봅니다.

2010-10-22 | 긴축, 긴축, 긴축

쾅고(quango)는 정부가 상급 인사를 임명하고 재정지원도 하지만 자율적으로 운영되는 반관반민 기관들을 가리키는 단어입니다. 다만 여기에는 다소 경멸적인 어감이 깔려 있지요. 가령 국내 일간지의 칼럼에서 이 단어는 이렇게 등장합니다. “우리나라 같은 공공기관을 쾅고라고 조롱기 섞어 부르는 영국에선 같은 날 192개의 쾅고를 없앴다고 발표했다. 쾅고는 유사자치 비정부기구라는 뜻이다.” (...)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