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0-22 | 긴축, 긴축, 긴축

Editor’s Comment

쾅고(quango)는 정부가 상급 인사를 임명하고 재정지원도 하지만 자율적으로 운영되는 반관반민의 기관들을 가리키는 단어입니다. 다만 여기에는 다소 경멸적인 어감이 깔려 있지요. 가령 국내 일간지의 칼럼에서 이 단어는 이렇게 등장합니다. “우리나라 같은 공공기관을 쾅고라고 조롱기 섞어 부르는 영국에선 같은 날 192개의 쾅고를 없앴다고 발표했다. 쾅고는 유사자치 비정부기구라는 뜻이다.” 국내의 공공기관 운영이 방만하다며, 영국의 쾅고 폐지를 속시원하다는 뉘앙스로 언급한 것이죠. 그런데 이때 사라진 기관 중 하나가 바로 영국 건축·건축환경위원회(CABE)입니다. 긴축의 칼바람 앞에서 문을 닫거나 허리띠를 졸라매야 했던 기관들의 사정이 남의 나라에서 소위 ‘사이다’ 삼을 만한 일이었을까요.

지난 달 말, BBC가 입수한 영국 국무조정실의 문서 하나가 공개되었다. 독립 공공기관들에 대한 심사용 문건으로, 대상 기관들의 폐지 또는 통합 여부가 심사 결과에 따라 가려질 것이었다. 심사 대상 가운데는 디자인 카운슬과 건축·건축환경위원회(CABE) 등 디자인 관련 독립공공기관들도 포함되어 있었다.

그리고 지난 20일, 영국 문화미디어체육부가 재정지출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25%의 예산이 감축됨에 따라, 독립공공기관들에 대한 지원 역시 축소되었다. 문화미디어체육부는 총 55개 독립기관들 가운데 19개 기관을 폐지 또는 개선한다고 밝혔다. 

CABE(+웹아카이브)는 이번 심사 결과 직격탄을 맞았다. 문화미디어체육부는 CABE에 대한 예산 지원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CABE 측은 지난 몇 달 간 정부 측과 함께 예산 감축 방안을 논의해왔음에도 불구하고, 지원 철회라는 결과를 맞이한 데 대해 “쓰라린 실망감”을 느낀다고 밝혔다. 

디자인 카운슬은 조금 더 상황이 나은 편이다. 앞으로 문화미디어체육부 대신 비즈니스혁신기술부의 지원을 받게 된 것. 디자인 카운슬은 이제 공식적으로 비정부공공체(NDPB)가 아니라, 왕실 칙허에 따른 자선단체의 지위를 얻어, 앞으로 비영리 독립기관으로서 운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BIS가 운영하는 비정부공공체 및 독립기관에 대한 지원을 받게 될 것이라고.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8-01-03 | 안녕히, 에토레 소트사스

2008년의 첫 소식은 애석하게도 부고였습니다. 2007년의 마지막 날, 디자이너 에토레 소트사스가 90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레스가 모어였던 20세기의 디자인 흐름을, 레스는 레스일 뿐이라며 정면으로 거슬러 또 다른 20세기의 디자인을 만들어냈던, 그의 타계 소식이 오늘의 옛 뉴스입니다.

2011-08-09 | 세계 ‘최대’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으로 유명한 아드만 스튜디오에는 ‘최대’의 기록과 ‘최소’의 기록이 있었습니다. 2011년작 <걸프>는 기네스북에 “세계 최대의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세트”에서 제작된 작품으로, 2010년작 <도트>는 “세계 최소의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캐릭터”가 주인공인 작품으로 기록되었습니다. 지금은 <걸프>만이 타이틀을 지키고 있습니다. 2018년, 9mm 캐릭터를 제치고 0.3mm 캐릭터가 등장했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에는 광활 그 자체인 300여 평의 야외 공간에서 촬영된 <걸프>를 능가하는 작품은 아직 나오지 않았습니다.

2011-05-12 | OCAD U 시각 아이덴티티

2011년 새단장한 온타리오미술디자인대학의 시각 아이덴티티가 공개되었습니다. 흑백의 창들로 이뤄진 가변형의 로고 디자인이 핵심입니다. 고정형에서 가변형으로 또 더 나아가 반응형에 이르기까지, 2010년을 전후로 운신의 폭을 넓힌 아이덴티티 디자인들이 속속 등장하며 하나의 추세를 이루었습니다. 2009년의 멜버른 시 아이덴티티, 2011년의 BMW 구겐하임 랩 아이덴티티, 2013년의 휘트니 미술관 그래픽 아이덴티티 같은 사례처럼요. 변화하는 디지털 미디어 환경과 시기적으로 궤를 같이 한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동적’ 변화입니다.

2007-03-16 | 주버트 공원의 벤치

2007년 당시 요하네스버그에서는 3년 뒤 열릴 월드컵을 준비하며 개발과 정비가 한창이었습니다. 그 시기 도심에서 100년 넘게 쉼터 역할을 해온 오랜 공원 한 곳도 새단장을 하게 되었죠. 이름하여 ‘주버트 공원 프로젝트’를 위해 남아공 국내외의 예술가, 건축가, 디자이너들이 머리를 모았습니다. 15년 전 오늘 소개한 소박하면서도 영리한 벤치 디자인도 바로 이 공원을 위해 태어났죠.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