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7-26 | 위 메이크 카펫

Editor’s Comment

“우리는 카펫을 만듭니다.” 하지만 아마도 그들의 카펫 위를 거닐거나 뒹굴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일회용 포크, 빨래집게, 파스타… 위 메이크 카펫은 실 대신에 소비 제품으로 카펫을 만들었습니다. 말하자면 소비 사회의 카펫이라고 할까요. 네덜란드의 이 3인조 디자이너 그룹은 지금도 휴지심, 주름 종이, 연필 등의 일상적인 물건들을 가지고 작품들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우리는 카펫을 만든다.” 위 메이크 카펫(We Make Carpet)은 평범한 그러나 의외의 소재로 카펫을 짠다. 멀리서 보면 하나의 장식용 카펫이지만, 가까이 다가가면 의외의 면모가 눈에 들어온다. 일회용 포크, 장난감 병정 인형, 클립, 빨래집게, 파스타… 익숙한 매일의 물건들이 실을 대신하고 있다. 대부분 한 번 사용되고 나면 그 가치를 잃는, 현대의 소비용품들이 카펫의 주 소재가 된다. 위 메이크 카펫의 마르시아 놀테(Marcia Nolte), 스테인 판데르 플뢰턴(Stijn van der Vleuten), 봅 바르덴뷔르흐(Bob Waardenburg)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카펫이라는 오래된 매체에 소비사회에 대한 비판적인 시선을 짜넣는다. 

지금 브레다 그래픽 디자인 뮤지엄에서 그들의 또 다른 카펫이 전시되고 있다. 이름하여 ‘빨래집게 카펫(Peg Carpet)’은 600미터의 빨래줄과 3만 개의 빨래집게로 만든 카펫 시리즈이다. 언제나처럼 선택된 소재의 형태가 패턴을 유도하여 인상적인 그래픽 패턴을 만들어내고 있다. 전시회 ‘위 메이크 카펫’은 다음 달 28일까지 열린다. 

‘빨래집게 카펫’ – 그래픽 디자인 뮤지엄 전시장 
photos: Boudewijn Bollmann

wemakecarpets.wordpress.com
http://www.wemakecarpets.nl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8-08-19 | 그들의 몰스킨 노트 속

2006년 70권의 몰스킨 노트가 예술가, 작가, 디자이너에게 전해졌고, 그렇게 각각의 몰스킨이 경험한 우회의 여정이 다시 한자리에 모여, 전시의 형태로 다시 런던, 뉴욕, 파리, 베를린, 이스탄불, 도쿄, 베니스, 상하이, 밀라노를 여행했습니다. 2008년 오늘의 소식은 전시회 ‘우회’의 이야기입니다. 

사무 공간의 구성: ‘원칙들(PRINCIPLES)’

렘 콜하스(Rem Koolhaas)의 건축 설계 사무소 OMA는 최근 이탈리아 사무용 가구 제조기업 유니포(UniFor)와의 협업을...

2010-04-13 | 엔초 마리 ‘자급자족 디자인’ 부활

작년 한 해 코로나19가 안긴 수많은 부고 가운데 안타깝게도 엔초 마리와 그의 부인 레아 베르지네의 타계 소식이 있었습니다. 그것도 밀라노 트리엔날레에서 열린 회고전의 개막 직후의 일이었습니다. 오늘의 뉴스는 엔초 마리의 ‘자급자족 디자인’입니다. “디자인은 지식을 전할 때 오로지 디자인이다.” 엔초 마리의 ‘자급자족 디자인’은 완성품으로서의 가구가 아니라 지식으로서의 가구를 전했습니다. 2010년 아르텍은 그 ‘자급자족 디자인’의 첫 번째 가구인 ‘의자 1’을 다시 소개하며 엔초 마리에게 경의를 표했습니다. 기사에 언급된 짤막한 다큐멘터리에서 그의 모습과 그가 믿는 디자인 이야기도 다시 만나봅니다.

2011-05-20 | 실패에 대한 두려움

2011년 스웨덴의 베리스 커뮤니케이션 스쿨이 졸업전시회를 선보이며 내건 표제는 다름아닌 ‘실패’였습니다. “실패 좀 하면 어때. 누구나 다 실패를 겪어. 핵심은 이거지. 실패가 무섭지 않다면 무얼 해보고 싶어?” 그리고 각계 분야에서 이미 수많은 실패를 겪었고 또 두려움을 이겨냈을 12인의 인사들의 입을 통해 그러한 메시지를 전했죠.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