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7-26 | 위 메이크 카펫

Editor’s Comment

“우리는 카펫을 만듭니다.” 하지만 아마도 그들의 카펫 위를 거닐거나 뒹굴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일회용 포크, 빨래집게, 파스타… 위 메이크 카펫은 실 대신에 소비 제품으로 카펫을 만들었습니다. 말하자면 소비 사회의 카펫이라고 할까요. 네덜란드의 이 3인조 디자이너 그룹은 지금도 휴지심, 주름 종이, 연필 등의 일상적인 물건들을 가지고 작품들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우리는 카펫을 만든다.” 위 메이크 카펫(We Make Carpet)은 평범한 그러나 의외의 소재로 카펫을 짠다. 멀리서 보면 하나의 장식용 카펫이지만, 가까이 다가가면 의외의 면모가 눈에 들어온다. 일회용 포크, 장난감 병정 인형, 클립, 빨래집게, 파스타… 익숙한 매일의 물건들이 실을 대신하고 있다. 대부분 한 번 사용되고 나면 그 가치를 잃는, 현대의 소비용품들이 카펫의 주 소재가 된다. 위 메이크 카펫의 마르시아 놀테(Marcia Nolte), 스테인 판데르 플뢰턴(Stijn van der Vleuten), 봅 바르덴뷔르흐(Bob Waardenburg)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카펫이라는 오래된 매체에 소비사회에 대한 비판적인 시선을 짜넣는다. 

지금 브레다 그래픽 디자인 뮤지엄에서 그들의 또 다른 카펫이 전시되고 있다. 이름하여 ‘빨래집게 카펫(Peg Carpet)’은 600미터의 빨래줄과 3만 개의 빨래집게로 만든 카펫 시리즈이다. 언제나처럼 선택된 소재의 형태가 패턴을 유도하여 인상적인 그래픽 패턴을 만들어내고 있다. 전시회 ‘위 메이크 카펫’은 다음 달 28일까지 열린다. 

‘빨래집게 카펫’ – 그래픽 디자인 뮤지엄 전시장 
photos: Boudewijn Bollmann

wemakecarpets.wordpress.com
http://www.wemakecarpets.nl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미완의 건축(세미 아키텍처)

도쿄의 스키마타(Schemata architects) 건축 사무소가 디자인한 무사시노 미술대학 실내디자인과 건물 16 ‘세미 아키텍처(Semi-architecture)’가 완성된...

2007-10-25 | 메탈 셔터 하우스

뉴욕 웨스트 첼시의 아트갤러리 지구에 자리한 이 11층짜리 주거용 건물은 차분하고 반듯하지만, 동시에 동적인 면모를 지녔습니다. 건물의 전면에 달린 천공을 낸 금속의 셔터가 닫힘과 열림을 통해 건물에 새로운 인상을 부여합니다. 개별 가구에는 프라이버시를 확보하고 빛을 조절하는 실용적인 요소이면서, 건축적으로는 변화하는 외벽이라는 개념의 구현이기도 했죠.

2010-12-27 | 미니멀 패키징 효과 연구

포장 디자인에서 미니멀리즘의 효과를 시험해 봅니다. 안트레포는 익숙한 기존 제품들의 포장을 대상으로 ‘빼기’의 과정을 실행합니다. 일러스트레이션이 사라지고, 색상이 사라지는 식으로요. "맥시멀리스트 시장에서의 미니멀리스트 효과"라 이름 붙인 그들의 시험들을 살펴봅니다. 

2007-08-09 | 앱솔루트 그리치치

지난주에 이어 또 하나의 앱솔루트 관련 소식입니다. 이번에는 앱솔루트가 담겨 나갈 유리잔 이야기인데요. 레스토랑과 바를 위한 이 앱솔루트 글래스웨어의 디자인을 맡은 사람은 콘스탄틴 그리치치였습니다. 한편 이 프로젝트는 디자인 트렌드 블로그 ‘다비드 리포트’의 다비드 카를손이 수퍼바이저로 참여했다는 점에서도 눈길을 끌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