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10-19 | BCXSY의 못

Editor’s Comment

디자인 듀오 BCXSY는 금속과 주조 기술을 활용한 전시에 참여하면서, 이를 못이라는 물건을 다시금 생각할 기회로 삼았습니다. 전시회 ‘자연 복제 #2’에서 그들은 조금 색다른 형태의 못을 만들었고, 이를 이용해 탁상과 촛대를 완성했습니다. 물론 주인공은 못이니 만큼, 그 존재를 멋지게 드러냈죠.

디자인 기관 오노마토페이(Onomatopee)와 금속주조소 베일덴스토름(Beeldenstorm)은 함께 ‘자연 복제 #2(Copy Nature #2)’라는 이름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금속 + 1”을 주제로, 열 팀의 디자이너/스튜디오들이 참여하여, 금속 및 그 주조 기술을 활용한 디자인을 선보인다.  

디자이너 듀오 BCXSY는 ‘자연 복제 #2’를 못을 연구해보는 기회로 삼았다. 못이란 목재를 연결하고 조립하는 가장 오래된 수단 가운데 하나이다. BCXSY는 ‘못(Nails)’에서 못의 ‘다른’ 형태와, 다양한 조립 방식들을 살펴본다. 

모래 거푸집으로 만든 인청동 소재의 못. 그 자체로 연결부를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보통의 못과는 다른 모습이다. 못 하나 하나를 만들고 갈고 광택 내는 작업 모두, 일일이 사람의 손이 닿았다. 이렇게 탄생한 못들은 탁상과 양초꽂이에 사용되었다. 못이 주인공인 만큼, 못이 사용된 부분을 훤히 드러내어, 분해조립도와 같은 모습을 선사하였다. 

BCXSY의 ‘못’을 비롯하여, ‘자연 복제 #2’의 디자인들은 2011 네덜란드 디자인 위크 기간 동안 오노마토페이 전시장에서 선보인다. 

www.bcxsy.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03-31 | 리처드 로저스, 프리츠커상 수상

속을 뒤집어 내보인 듯한 모습으로 충격을 안겼던 파리 퐁피두 센터가 완공된 지 30년이 되던 그해, 그 건물의 건축가 리처드 로저스가 프리츠커상을 수상했습니다. 오래된 소식을 다시 전하며, 지난 12월 18일 전해진 그의 부고에도 늦게나마 애도를 표합니다. 참고로 2022년 프리츠커상은 부르키나파소 출신의 건축가 디에베도 프랑시스 케레에게 돌아갔습니다. 

2011-09-26 | 레드드레스

이 붉은 드레스 한 벌을 짓는 데 원단만 550m가 들었습니다. 그러니 얼마나 거대한 드레스였을까요. 지름 20m에 높이 3m에 달하는 이 의상은 분명 옷이면서 동시에 공연장이기도 했습니다. 드레스 안에 자리한 계단을 올라 공연자가 옷을 입으면, 이제 층층의 치마폭이 관객석이 되니, 총 238명의 관객을 품을 수 있었죠. 디자이너 아무 송과 요한 올린의 컴퍼니가 선보인 초대형 ‘레드드레스’입니다. 

2006-11-22 | 탄소중립적 음반

‘탄소중립’이라는 말이 어느 때보다 자주 들려오는 요즘, 이 말을 2006년의 뉴스에서 다시 마주하는 기분이 씁쓸합니다. 옥스포드 사전이 선정했던 2006년 올해의 단어. 그러나 15년이 훌쩍 지난 지금, 탄소중립이라는 말에 시급함만 더해졌을 뿐입니다. 오늘의 옛 디자인플럭스 뉴스는 콜드플레이와 부에나 비스타 소셜 클럽의 ‘탄소중립적 음반’ 소식입니다. 참고로 최근 콜드플레이는 3년만에 재개하는 월드투어도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진행한다고 발표했지요.

2008-01-04 | 허구의 디자인에 주목하라

제품이 되기 위한 전 단계로서가 아니라, 어떤 이야기를 전면화한 가상 또는 허구의 디자인. 2008년, 코어77의 수석 에디터 앨런 초치노프는 생산가능성과 무관한 상상과 아이디어를 담은 디자인 혹은 사물의 개념에 집중하여 그 자체를 소비의 대상으로 담은 디자인을 모두 아울러 ‘프로토타이핑’이라 부르며, 그러한 허구의 디자인에 담긴 가능성을 이야기하였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