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10-19 | BCXSY의 못

Editor’s Comment

디자인 듀오 BCXSY는 금속과 주조 기술을 활용한 전시에 참여하면서, 이를 못이라는 물건을 다시금 생각할 기회로 삼았습니다. 전시회 ‘자연 복제 #2’에서 그들은 조금 색다른 형태의 못을 만들었고, 이를 이용해 탁상과 촛대를 완성했습니다. 물론 주인공은 못이니 만큼, 그 존재를 멋지게 드러냈죠.

디자인 기관 오노마토페이(Onomatopee)와 금속주조소 베일덴스토름(Beeldenstorm)은 함께 ‘자연 복제 #2(Copy Nature #2)’라는 이름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금속 + 1”을 주제로, 열 팀의 디자이너/스튜디오들이 참여하여, 금속 및 그 주조 기술을 활용한 디자인을 선보인다.  

디자이너 듀오 BCXSY는 ‘자연 복제 #2’를 못을 연구해보는 기회로 삼았다. 못이란 목재를 연결하고 조립하는 가장 오래된 수단 가운데 하나이다. BCXSY는 ‘못(Nails)’에서 못의 ‘다른’ 형태와, 다양한 조립 방식들을 살펴본다. 

모래 거푸집으로 만든 인청동 소재의 못. 그 자체로 연결부를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보통의 못과는 다른 모습이다. 못 하나 하나를 만들고 갈고 광택 내는 작업 모두, 일일이 사람의 손이 닿았다. 이렇게 탄생한 못들은 탁상과 양초꽂이에 사용되었다. 못이 주인공인 만큼, 못이 사용된 부분을 훤히 드러내어, 분해조립도와 같은 모습을 선사하였다. 

BCXSY의 ‘못’을 비롯하여, ‘자연 복제 #2’의 디자인들은 2011 네덜란드 디자인 위크 기간 동안 오노마토페이 전시장에서 선보인다. 

www.bcxsy.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8-11 | 미소니, 케네스 앵거와 만나다

〈스콜피오 라이징〉으로 유명한 실험영화 감독 케네스 앵거와 이탈리아의 패션하우스 미소니가 만났습니다. 러닝타임 2분 30초의 짤막한 캠페인 필름 〈미소니 바이 앵거〉의 크레딧이 올라올 때, 온통 미소니로 끝나는 이름들을 마주하게 됩니다. 2010년 그해, 미소니 일가는 봄/여름 위르겐 텔러에 이어 가을/겨울 케네스 앵거의 카메라 앞에 서며, ‘직접’ 브랜드 홍보의 전면에 섰습니다.

2010-12-23 | 음악을 보다

비발디의 바이올린 협주곡 〈사계〉가 네 장의 포스터로 옮겨졌습니다. 모트스튜디오의 라이아 클로스는 음악이라는 정보를 시각화하는 시스템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사계〉의 바이올린 선율과 리듬, 하모니를 도형과 색상으로 옮긴 인포메이션 그래픽을 선보였습니다. 

2010-11-17 | 2010 무토 탤런트 어워드

새로운 관점의 스칸디나비안 디자인을 표방하며 출범한 브랜드답게, 무토는 2009년부터 스칸디나비아 지역의 디자인 학교 재학생이 참여하는 디자인 공모전을 개최합니다. 2010년 두 번째로 열린 공모전의 최고상은 스웨덴 콘스트파크에 재학 중이던 3인조 디자이너 왓츠왓 콜렉티브에게 돌아갔는데요. 이들이 선보인 플로어 조명 ‘풀’은 지금도 사랑받는 무토의 대표적인 제품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2007-05-10 | 달빛 감응 가로등

에너지 절약과 가로등이라는 주제의 공모전이라고 하면 이라면 예상 가능한 제안은 아마도 태양광 발전 가로등일 테죠. 하지만 여기 2007년 〈메트로폴리스〉지의 차세대 디자인 공모전의 수상작은 오히려 달빛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달빛에 감응해 가로등의 밝기를 조절하는 가로등. 에너지도 절약하면서 조명 공해에서도 한발 물러선 영리한 제안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