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tor’s Comment
디자인 듀오 BCXSY는 금속과 주조 기술을 활용한 전시에 참여하면서, 이를 못이라는 물건을 다시금 생각할 기회로 삼았습니다. 전시회 ‘자연 복제 #2’에서 그들은 조금 색다른 형태의 못을 만들었고, 이를 이용해 탁상과 촛대를 완성했습니다. 물론 주인공은 못이니 만큼, 그 존재를 멋지게 드러냈죠.
![](https://designflux.co.kr/wp-content/uploads/2022/10/1019_2011_02_nails_01.jpg)
디자인 기관 오노마토페이(Onomatopee)와 금속주조소 베일덴스토름(Beeldenstorm)은 함께 ‘자연 복제 #2(Copy Nature #2)’라는 이름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금속 + 1”을 주제로, 열 팀의 디자이너/스튜디오들이 참여하여, 금속 및 그 주조 기술을 활용한 디자인을 선보인다.
디자이너 듀오 BCXSY는 ‘자연 복제 #2’를 못을 연구해보는 기회로 삼았다. 못이란 목재를 연결하고 조립하는 가장 오래된 수단 가운데 하나이다. BCXSY는 ‘못(Nails)’에서 못의 ‘다른’ 형태와, 다양한 조립 방식들을 살펴본다.
![](https://designflux.co.kr/wp-content/uploads/2022/10/1019_2011_02_nails_02.jpg)
![](https://designflux.co.kr/wp-content/uploads/2022/10/1019_2011_02_nails_00.jpg)
![](https://designflux.co.kr/wp-content/uploads/2022/10/1019_2011_02_nails_04.jpg)
![](https://designflux.co.kr/wp-content/uploads/2022/10/1019_2011_02_nails_06.jpg)
모래 거푸집으로 만든 인청동 소재의 못. 그 자체로 연결부를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보통의 못과는 다른 모습이다. 못 하나 하나를 만들고 갈고 광택 내는 작업 모두, 일일이 사람의 손이 닿았다. 이렇게 탄생한 못들은 탁상과 양초꽂이에 사용되었다. 못이 주인공인 만큼, 못이 사용된 부분을 훤히 드러내어, 분해조립도와 같은 모습을 선사하였다.
![](https://designflux.co.kr/wp-content/uploads/2022/10/1019_2011_02_nails_11.jpg)
![](https://designflux.co.kr/wp-content/uploads/2022/10/1019_2011_02_nails_09.jpg)
![](https://designflux.co.kr/wp-content/uploads/2022/10/1019_2011_02_nails_12.jpg)
![](https://designflux.co.kr/wp-content/uploads/2022/10/1019_2011_02_nails_10.jpg)
![](https://designflux.co.kr/wp-content/uploads/2022/10/1019_2011_02_nails_18.jpg)
![](https://designflux.co.kr/wp-content/uploads/2022/10/1019_2011_02_nails_17.jpg)
![](https://designflux.co.kr/wp-content/uploads/2022/10/1019_2011_02_nails_21.jpg)
![](https://designflux.co.kr/wp-content/uploads/2022/10/1019_2011_02_nails_19.jpg)
![](https://designflux.co.kr/wp-content/uploads/2022/10/1019_2011_02_nails_22.jpg)
BCXSY의 ‘못’을 비롯하여, ‘자연 복제 #2’의 디자인들은 2011 네덜란드 디자인 위크 기간 동안 오노마토페이 전시장에서 선보인다.
© designflux.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