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지속가능한 디자인 연구물은 어디에?

RSA Journal (2021. 2호) 표지 ‘환경과 민주주의’

‘친환경’, ‘지속가능성’은 이제 디자인에서 고려해야할 사항 중에 하나가 아니라 디자인의 기본 조건이 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중요한연구의 주제이긴 하지만 대단히 많은 분야들과 연결되어 있어서 별도의 전문 분야로 다루기보다 각 학계에서 학문적 특성에 맞추어 다루는 토픽 중의 하나가 되었다.

여러 분야 중 특히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경제와 기술적으로 문제 해결책을 찾는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져 왔고, 따라서 이 두 분야의 연구물들에 접근하는 데는 큰 어려움이 없는 편이다. 그러나 친환경/지속가능한 디자인에 관한 연구는디자인 전문 저널(Design Issues, Journal of Design History 등)이나 건축, 도시 관련 저널(Built EnvironmentJournal of Architectural and Planning Research 등)에서 이따금씩 접할 수 있을 뿐이다. 

1990년대 말 네덜란드에서는 The Journal of Sustainable Product Design (1997-99)이 발행되었지만 10호를 마지막으로 출판이 중단되었다. (1-10호까지 온라인에서 접근할 수 있다.) 로열 오스트레일리언 인스티튜트 오브 아키텍처에서는 Environment Design Guide를 1999년부터 2018년까지 상당히 오랜 기간 출판했지만, 현재 웹사이트에서는 비교적 간단한 환경 디자인 관련 소식을 전하고있을 뿐이다. 물론 과거에 출판된 저널 아티클들은 학술DB를 통해 찾아볼 수 있다. 

일찍이 1990년대 중반에 영국의 왕립 예술, 제조, 무역 진흥원(Royal Society for the Encouragement of Arts Manufactures and Commerce)에서는 4년간 RSA Journal (1994-97)을 발행한 후 중단했다가, 최근에 RSA의 활동 방향에 맞는 오피니언 형태의 아티클을 담아내는 저널/매거진의 형태로 새롭게 등장했다. (온라인 무료 다운로드) 예컨대 2021년 2호에서는 코로나19 시대에 두드러지게나타나는 백신 국가주의, 극우파가 친환경 정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지구온난화 음모론, 환경 위기에 대한 느슨한 시각에 기반한친-기업적 정책) 등에 대해 다루면서 환경적 생태와 사회적 생태 이슈를 유기적으로 다룬다. 영국생태협회에서는 7개 주제로 생태 관련저널을 발행하고 있는데, 그 중 Journal of Ecology는 자연 환경 생태에 관한 연구물들을 포괄적으로 담아내고, People and Nature(2019-현재)에서는 북반구 경제 선진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생태연구의 문제점 등을 사회정치적 관점에서 비판한다. 아티클은 무료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고, 2021년부터는 저널을 온라인으로만 발행하기 시작했다.

People and Nature (2020. 12) 표지: ‘소비되는 야생’ (야생 난(蘭)과 농장 생산 난을 함께 판매하는 곳, 중국 광시성. 사진 © Amy Hinsley)

친환경/지속가능한 디자인 학술 저널로는 International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2008-현재, 연 1회)과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 Applied Research (2012-현재, 연1회)가 남아 있다. International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은 ‘바이오기반 디자인에서 성장촉진형태 개념에 관한 연구’나 ‘에코디자인을 위한 환경적 기준: 에코 레이블 프로그램 및 라이프사이클 싱킹’ 같이 공학적 또는 정책적인 개발 측면에 집중한다. 한편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 Applied Research에서는 ‘공동체 환경과 거주민 건강’, ‘에너지 효율적 기기에 있어서 소비 행동에 관한 윤리적 지침’, ‘지속가능성을 학부 디자인 실습에 통합시키는 실험적 방법’ 등 사회적 생태, 구체적 소비 정책과 교육 방법론까지 아우른다. 

아울러 <침묵의 봄>으로 20세기 후반 지구 환경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킨 레이첼 카슨. 그녀를 기념하여 세워진 레이첼 카슨 센터에서발행하는 저널 RCC Perspectives도 기억해둘만 하다. <침묵의 봄>이 1960년대 당시 과학계에서 받아들여지지 않고, 대신 <뉴요커>를 통해 대중을 상대로 발행되었듯이, RCC Perspectives도 본격적 학계의 권위를 버리고 ‘덜 공식적인’(less formal), 개방된 저널, 학계와 일반 대중을 잇는 가교 역할을 지향한다. 2016년에 RCC Perspectives: Transformations in Environment and Society로 이름을변경하고, 환경과 사회적 변화의 상관 관계, 인간 세계와 광범위한 지구 환경 디자인에 대해 다루고 있다.

Perspectives: Transformations in Environment and Society (2020. 1)
아티클: ‘여성과 에너지’ 아비게일 해리슨 무어, 루스 샌드웰

Prince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08-10 | 어둠 속 빛나는 아이디어

브루케타 & 지니치는 1995년 설립된 크로아티아의 디자인 회사로, 브랜딩, 광고 등 커뮤니케이션 분야를 주력으로 활동해왔습니다. 디자인플럭스에서는 이들의 연차 보고서 작업을 두 번 소개했는데요. 하나는 오븐에 구워야 내용이 나타나는 식품 회사의 보고서였고, 두 번째는 여기 어둠 속 빛을 발하는 야광 보고서입니다. 참고로 브루케타 지니치는 2017년 국제적인 광고대행사 그레이 산하에 들어갔고, 2020년 그레이가 디지털 마케팅 회사 AQKA와 합병하면서, 이제 AKGQ 그룹에 속해 있습니다.

2009-06-24 | ‘놀 키즈’ 시리즈

놀이 자랑하는 20세기 모더니즘 고전 가구들이 어린이를 위해 몸집을 줄였습니다. 2009년 놀은 미스 반 데어 로에, 해리 버토이아, 에로 사리넨, 옌스 리솜 등 내로라하는 디자이너들의 가구를 어린이용으로 선보였는데요. 아이의 몸에 맞게 작아진 ‘바르셀로나 의자’, ‘다이아몬드 의자’ 등을 지금도 만나볼 수 있습니다.

2008-09-23 | 허브 스탠드

오늘은 소품 소식입니다. 집에서 간단한 채소를 길러 먹는 홈파머를 위한 주방 소품 ‘허브 스탠드’입니다. 노르만 코펜하겐에서 선보인 이 제품은 여러 종류의 채소를 나눠 기를 수 있는 여러 개의 화분과 수확을 위한 가위가 한묶음을 이룹니다. 홈파밍에 대한 관심은 2020년 팬데믹을 지나며 한층 커졌다고 하지요. 가전 제품의 형태로 나아간 가정용 식물재배기도 낯설지 않은 요즘입니다.

성층권 비행선 ‘넵튠’ , 라운지 디자인 공개

우주 관광 기업 스페이스 퍼스펙티브(space perspective)에서 성층권을 여행하는 비행선 ‘넵튠(Neptune)’의 캡슐 라운지 디자인을 공개했다.'넵튠'의...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