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7-01 | 숲을 만들다

Editor’s Comment

EU는 2011년을 ‘숲의 해’로 선포했습니다. ‘메이크 어 포레스트’는 숲의 해를 맞아 기획된 프로젝트로, 세계 곳곳의 도시에서 만들어진 ‘인공’의 나무로 숲을 이루려 했습니다. 그렇게 암스테르담에서 자그레브, 샌프란시스코에서 서울까지, 총 35개 기관이 힘을 모아 ‘메이크 어 포레스트’에 참여했고, 그 결과는 이곳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올해는 유럽연합이 선포한 ‘숲의 해’이다. 이를 맞아 전 세계 도시에서 ‘인공’ 나무들이 만들어진다. 메이크 어 포레스트(Make a Forest)는 숲에 대한 관심을 일깨우기 위해, 실제 나무들을 심는 대신 인공 나무들을 만들어 가상의 숲을 만들려 한다. 나이로비에서, 암스테르담, 서울까지, 세계 곳곳의 도시에서 여러 문화 기관, 교육 기관들이 이 인공의 숲 프로젝트에 합류했다. 이들 기관은 지역의 미술가, 건축가, 디자이너와 함께 나무를 만들어낼 것이다. 

크리스티언 메인데르츠마(Christien Meindertsma)

여기 크리스티언 메인데르츠마의 ‘나무 선로(Tree Track)’도 그 중 하나다. 네덜란드 플레이보폴더르 숲에서 온 너도밤나무 한 그루가 통째로  장난감 선로가 되었다. 그 밖에도 뉴질랜드의 라이언 젠트리(Ryan Gentry), 네덜란드의 2012 아르키텍턴(2012 Architecten) 역시 지역 도시에서 인공 나무 만들기에 나섰다. 자연과 문화를 연계하는 숲 만들기. 현재 레이던, 엑시터, 자그레브 등 여러 도시에서 나무들이 탄생하고 있다. 참고로 서울에서는 서울과학기술대학교가 메이크 어 포레스트에 참여한다. 

2012 아르키텍턴

www.makeaforest.org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전시 ‘해체된 고향(Deconstructed Home)’: 바이오 소재의 재구성

로컬 바이오 소재의 새로운 사용을 보여주는 전시 ‘해체된 고향(Deconstructed Home)’이 멕시코시티에 위치한 갤러리 루트(LOOT)에서...

2009-04-19 | 브랜드로서 케이트 모스

2007년 패스트패션 브랜드 톱숍이 ‘케이트 모스’ 컬렉션을 발표합니다. 이를 위해 ‘브랜드 이름으로서의’ 케이트 모스를 위한 아이덴티티 디자인이 필요해졌지요. 디자이너 피터 사빌과 타이포그래퍼 폴 반즈가 찾은 답은 반세기도 전에 태어난 오래된 서체, ‘알-브로’였습니다.

@*%^버스: 페이스북의 새 이름 메타, 대체어 챌린지

미국 현지 시각으로 2021년 10월 28일, 페이스북의 CEO 마크 저커버그가 새 사명 ‘메타(Meta)’를 발표했다....

2007-05-23 | 잘못된 가게

들어오라면서도 문은 닫았다는 가게, 영예로운 미술가와 디자이너들의 작품이 가득하지만 전체를 통째로 사지 않는 한 아무 것도 살 수 없는 가게. 2007년 뉴욕 디자인 위크 기간에 문을 연 첼시의 ‘잘못된 가게’입니다. 디자이너 토비아스 웡과 큐퍼-휴잇 디자인 뮤지엄의 그레고리 크럼이 만든 이 이상한 가게는 두 달 동안 한시적으로 자리를 지켰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