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7-01 | 숲을 만들다

Editor’s Comment

EU는 2011년을 ‘숲의 해’로 선포했습니다. ‘메이크 어 포레스트’는 숲의 해를 맞아 기획된 프로젝트로, 세계 곳곳의 도시에서 만들어진 ‘인공’의 나무로 숲을 이루려 했습니다. 그렇게 암스테르담에서 자그레브, 샌프란시스코에서 서울까지, 총 35개 기관이 힘을 모아 ‘메이크 어 포레스트’에 참여했고, 그 결과는 이곳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올해는 유럽연합이 선포한 ‘숲의 해’이다. 이를 맞아 전 세계 도시에서 ‘인공’ 나무들이 만들어진다. 메이크 어 포레스트(Make a Forest)는 숲에 대한 관심을 일깨우기 위해, 실제 나무들을 심는 대신 인공 나무들을 만들어 가상의 숲을 만들려 한다. 나이로비에서, 암스테르담, 서울까지, 세계 곳곳의 도시에서 여러 문화 기관, 교육 기관들이 이 인공의 숲 프로젝트에 합류했다. 이들 기관은 지역의 미술가, 건축가, 디자이너와 함께 나무를 만들어낼 것이다. 

크리스티언 메인데르츠마(Christien Meindertsma)

여기 크리스티언 메인데르츠마의 ‘나무 선로(Tree Track)’도 그 중 하나다. 네덜란드 플레이보폴더르 숲에서 온 너도밤나무 한 그루가 통째로  장난감 선로가 되었다. 그 밖에도 뉴질랜드의 라이언 젠트리(Ryan Gentry), 네덜란드의 2012 아르키텍턴(2012 Architecten) 역시 지역 도시에서 인공 나무 만들기에 나섰다. 자연과 문화를 연계하는 숲 만들기. 현재 레이던, 엑시터, 자그레브 등 여러 도시에서 나무들이 탄생하고 있다. 참고로 서울에서는 서울과학기술대학교가 메이크 어 포레스트에 참여한다. 

2012 아르키텍턴

www.makeaforest.org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라멘 ‘쏟지 않고’ 나왔습니다: 닛산 전기 자동차

닛산 자동차(NISSAN)에서 손님에게 라멘 국물을 한 방울도 흘리지 않고 서빙하는 소형 전기 자동차, ‘닛산...

2007-05-18 | 마르티 긱세의 푸드 디자인

마르티 긱세는 자신을 푸드 디자이너라 소개합니다. 음식은 디자인의 대상으로, 여기에서 음식 디자인은 조리법이나 미식의 개념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음식 역시 다른 사물과 마찬가지로 디자인된 무엇이며, 다만 먹을 수 있다는 특징이 있을 뿐이지요. 2007년 오늘 디자인플럭스에서는 마르티 긱세의 푸드 디자인을 전했습니다. 파이 차트의 현현으로서의 파이, 씨앗을 뿌리는 사탕 등의 작업을 소개했었죠.

2006-10-25 | 타일러 브륄레, 〈모노클〉 창간

기자였던 그는 <월페이퍼> 매거진을 창간하며 발행인으로 변신했습니다. 그리고 11년 뒤 새로운 잡지와 함께 업계에 귀환했지요. 바로 <모노클>입니다. 타일러 브륄레 는 비즈니스와 라이프스타일 모두를 아우르는 국제적인 감각의 인쇄 잡지를 선보였고, 그 이후의 이야기는 아시는 것과 같습니다.

2007-10-26 | 종이클립에서 조명으로

평범한 물건은 평범하기에 재해석이 더 매력적으로 느껴지기도 합니다. 2007년 오늘은 종이클립이라는 익숙하고 작은 물건을 조명으로 옮긴 두 가지 사례를 소개했습니다. 티그의 ‘페이퍼클립 램프’ 프로토타입과, 가엘 호르스팔의 ‘네온 페이퍼클립’을 만나보시죠.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