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5-26 | 〈토털〉 앨범 커버 디자인

Editor’s Comment

조이 디비전과 뉴 오더의 노래들을 담은 하나의 음반. <토털>의 슬리브 디자인에 관한 피터 사빌의 이야기를 <가디언>에서 빌려와 봅니다. “이것이 수퍼마켓에서 판매되고 텔레비전에서 광고될 음반이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래서 커버에 ‘높이 쌓아, 싸게 판다’ 식의 미학을 담았다. 앨범을 열면 ‘Total’이라고 쓰여 있지만, 접힌 상태에서는 ‘O’자들만 보인다. 앨범에는 ‘조이 디비전에서 뉴 오더까지’라고 쓰여 있는데, ‘베스트 오브’라는 말을 견딜 수가 없었다. 인디 레코드샵에서 테스코까지는 머나먼 길이었으니, 거의 33년의 세월이었다. 팩토리에서는 홍보 디자인에 있어 유례 없는 자유가 있었고, 비즈니스의 간섭 없이 이상을 누렸다. 그것은 하나의 현상이었다.”

© Studio Parris Wakefield

“조이 디비전에서 뉴 오더까지.” 컴필레이션 음반 <토털 TOTAL>이 발매를 앞두고 있다. 두 밴드의 한 앨범 아트워크. 피터 사빌(Peter Saville)과 스튜디오 패리스 웨이크필드(Studio Parris Wakefield)가 <토털>의 슬리브를 디자인했다. 

+ 뉴 오더의 <테크닉> 앨범 커버 (이미지 추가)

디자인에 앞서 먼저 <토털>이 포착해야 할 두 밴드의 정수가 무엇인지를 파악해야 했다. 피터 사빌과 스튜디오 패리스 웨이크필드는 뉴 오더의 룩으로 <테크닉 Technique> 앨범의 그래픽을, 조이 디비전의 룩으로 대문자를 꼽았다. 그들은 또한 타이포그래피가 두 밴드의 연결고리가 될 수 있다는 데 동의했다. 

© Studio Parris Wakefield

그리하여 앨범에는 TOTAL이라는 다섯 글자가 헬베티카 헤비 이탤릭체로 등장한다. 각 글자는 CMYK 색상 별로 가늠이 어긋난 채 인쇄되었다. 처음에는 단어를 앨범 너비에 맞게 배치하였으나, 최종적으로 O자를 향해 줌인된 버전이 채택되었다. “내게 ‘O’는 가장 섹시한 글자로… 재미있게도 뉴 오더, 조이 디비전, 토털 모두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유일한 글자이기도 했다.” 스튜디오 패리스 웨이크필드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하워드 웨이크필드의 설명이다.

조이 디비전과 뉴 오더의 컴필레이션 앨범, <토털>은 6월 6일 발매되며, 현재 사전예약 판매가 진행중이다. 

www.petersaville.com
www.parriswakefield.com
https://colourandform.uk (주소 갱신)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8-01 | 전기 주전자 변주

모두를 위한 동일한 물건을 이상으로 삼는 공산품의 세계에서 특유함은 오차나 불량의 산물입니다. 하지만 그것이 결함이라 해도 거꾸로 매력의 원천이 되기도 하지요. 프랑스의 디자이너 장 밥티스트 파스트레는 전기 주전자라는 물건을 바탕으로 변주를 시도합니다. 가열체, 손잡이, 뚜껑 등 안전과 관련된 요소는 모두 동일하게, 하지만 용기는 형태도 소재도 색상도 달리하지요. 대량생산된 공산품과 유일무이한 무엇 사이. ‘전기 주전자 변주’입니다. 

2011-11-02 | 영화 타이틀 스틸 모음

영화가 시작하고 영화의 제목이 스크린에 등장하는 바로 그 순간의 스틸 이미지를 한데 모은 디자이너가 있습니다. 크리스티안 아냐스는 멀리 1920년대부터 가깝게는 2014년까지, 영화의 타이틀 장면을 모아 웹사이트를 열었는데요. 어떤 영화들의 경우, 기본 정보 외에도 오프닝 타이틀 제작사는 어디인지 타이틀 장면에 쓰인 폰트는 무엇인지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옛 영화들의 레터링 스타일을 되돌아보는 즐거움도 빼놓을 수 없지요.

2011-04-05 | 아마노라 아파트 시티

MVRDV가 인도의 한 도시에 설계한 이 건물은 우리에게 무척 익숙해 보입니다. 낯익음은 그것이 아파트라는 데에서 비롯됩니다. 빽빽하게 사열한 창들이 보여주는 고밀도의 풍경은 우리에게 그리 낯설지 않지요. 다만 보통의 아파트 단지와 다르게, MVRDV는 독립된 여러 동이 단지를 이루는 대신에 여러 동이 하나의 건물을 이루는 배치를 보여줍니다. 그리고 그 형태는 산과 비슷하죠. MVRDV가 설계한 ‘퓨처 타워’는 2018년 완공되었습니다.

2009-04-16 | 디지털 콘텐츠의 딜레마

음악이 물리적 매체를 탈피하면, 음반 디자인에서는 무엇이 남을까요? 2007년 오늘자 뉴스는 jpeg 형식의 커버 이미지 파일만이 남은 현실을 절절히 아쉬워하는 <디자인 옵저버>의 아티클을 소개했습니다. 그야말로 스트리밍의 시대인 지금, 또 하나의 흥미로운 아티클을 덧붙여 봅니다. AIGA의 ‘아이 온 디자인’에 실린 케이팝과 CD 음반 디자인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케이팝 신에서 CD는 팬들을 위한 “선물”처럼 채워지고 디자인되고 있으며, CD의 판매고도 기록을 경신하고 있다고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