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5-19 | 신문지목재

Editor’s Comment

어제의 신문 더미가 오늘의 가구 자재가 됩니다. 미커 메이여르의 ‘신문지목재’는 층층이 신문지를 쌓아 압축해 만든 목재와 유사한 무엇입니다. 목재처럼 가공이 가능하면서도, 자르면 특유의 적층 흔적이 나타납니다. 종이에서 종이로 태어나는 재활용도 또 이렇게 종이에서 아예 다른 것으로 태어나는 재활용도 좋지 아니한가요. 

매일같이 신문 더미들이 버려져 재활용되어 다시 종이가 된다. 디자이너 미커 메이여르(Mieke Meijer)는 신문지의 다른 재활용 방법을 생각했다. 종이에서 종이로가 아닌 다른 무엇으로의 활용법을 말이다. ‘신문지목재(NewspaperWood)’는 신문지를 압축하여 만든 유사 목재이다. 자르기, 사포질, 밀링 가공 등 여느 목재들처럼 다룰 수 있으며, 또 자르고 나면 단면에 마치 나이테처럼 신문지들의 층이 나타난다. 

이 흥미로운 소재에 네덜란드의 디자인 브랜드 Vij5가 관심을 보였다. 지난 밀라노 국제가구박람회에서 Vij5는 ‘신문지목재’로 만든 제품들을 선보였다. 수납장, 진열장, 책상, 의자와 같은 가구는 물론, 독서등과 장신구와 같은 제품들이 컬렉션을 이루었다. 

신문지의 색다른 재활용. ‘신문지목재’는 어제의 신문을 어떻게 재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한 가지 제안이다. 물론 이 유사 목재가 실제 목재의 완전한 대체를 목표로 한 것은 아니다. 또 모든 신문지를 다 신소재로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하지도 않는다. 다만 신문지에 업사이클링(upcycling)의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다른 방식으로 재활용하여 가치를 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신문지목재’ 팀 – (왼쪽부터) 미커 메이여르와 Vij5의 아니커 브란데르호르스트(Anieke Branderhorst)와 아리안 판 라츠호번(Arjan van Raadshooven)

한편 ‘신문지목재’에 과연 그 자신은 재활용이 가능한 소재인가라는 질문을 던질 수도 있다. 생산 과정에 사용되는 접착제가 장애물이다. ‘신문지목재’에는 솔벤트 및 가소제를 함유하지 않은 접착제가 사용되어, ‘신문지목재’로 만든 제품은 물론 가공 시 나오는 폐기물도 다시 재활용할 수 있다고. 

www.miekemeijer.nl
www.vij5.nl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버려진 광고판으로 만든 떠돌이 개 쉘터

태국의 동물단체 ‘스탠드 포 스트레이즈(Stand for Strays)’가 떠돌이 개를 위한 쉘터를 설치했다. 방콕과 인접한...

2011-01-27 | 유선형 디자인의 세계 

전기차들이 단호한 직선으로 자동차의 미래를 시각화하는 요즘입니다. 테슬라의 사이버트럭까지 가지 않더라도, 이미 도로에서 직선이 돋보이는 자동차들을 쉽게 만나볼 수 있죠. 1930~40년대 미국에서 미래는 ‘유선형’이었습니다. 그리고 그 미래의 형태는 다리미에서 자동차에 이르기까지 생활 전반에 광범위하게 등장했죠. 2011년 미국 필브룩미술관에서 열린 ‘유선형 디자인: 내일의 세계’는 바로 그 시기의 디자인을 돌아본 자리였습니다.

사물이 말을 한다면 #3 사랑의 시간을 잃고 수난의 시간으로

나는 달린다 나는 매일 달린다. 큰 키에 무성한 이파리로 시원한 그늘을 만들어주는 나무들의 호위아래서, 둥실...

2008-01-03 | 안녕히, 에토레 소트사스

2008년의 첫 소식은 애석하게도 부고였습니다. 2007년의 마지막 날, 디자이너 에토레 소트사스가 90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레스가 모어였던 20세기의 디자인 흐름을, 레스는 레스일 뿐이라며 정면으로 거슬러 또 다른 20세기의 디자인을 만들어냈던, 그의 타계 소식이 오늘의 옛 뉴스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