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5-19 | 신문지목재

Editor’s Comment

어제의 신문 더미가 오늘의 가구 자재가 됩니다. 미커 메이여르의 ‘신문지목재’는 층층이 신문지를 쌓아 압축해 만든 목재와 유사한 무엇입니다. 목재처럼 가공이 가능하면서도, 자르면 특유의 적층 흔적이 나타납니다. 종이에서 종이로 태어나는 재활용도 또 이렇게 종이에서 아예 다른 것으로 태어나는 재활용도 좋지 아니한가요. 

매일같이 신문 더미들이 버려져 재활용되어 다시 종이가 된다. 디자이너 미커 메이여르(Mieke Meijer)는 신문지의 다른 재활용 방법을 생각했다. 종이에서 종이로가 아닌 다른 무엇으로의 활용법을 말이다. ‘신문지목재(NewspaperWood)’는 신문지를 압축하여 만든 유사 목재이다. 자르기, 사포질, 밀링 가공 등 여느 목재들처럼 다룰 수 있으며, 또 자르고 나면 단면에 마치 나이테처럼 신문지들의 층이 나타난다. 

이 흥미로운 소재에 네덜란드의 디자인 브랜드 Vij5가 관심을 보였다. 지난 밀라노 국제가구박람회에서 Vij5는 ‘신문지목재’로 만든 제품들을 선보였다. 수납장, 진열장, 책상, 의자와 같은 가구는 물론, 독서등과 장신구와 같은 제품들이 컬렉션을 이루었다. 

신문지의 색다른 재활용. ‘신문지목재’는 어제의 신문을 어떻게 재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한 가지 제안이다. 물론 이 유사 목재가 실제 목재의 완전한 대체를 목표로 한 것은 아니다. 또 모든 신문지를 다 신소재로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하지도 않는다. 다만 신문지에 업사이클링(upcycling)의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다른 방식으로 재활용하여 가치를 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신문지목재’ 팀 – (왼쪽부터) 미커 메이여르와 Vij5의 아니커 브란데르호르스트(Anieke Branderhorst)와 아리안 판 라츠호번(Arjan van Raadshooven)

한편 ‘신문지목재’에 과연 그 자신은 재활용이 가능한 소재인가라는 질문을 던질 수도 있다. 생산 과정에 사용되는 접착제가 장애물이다. ‘신문지목재’에는 솔벤트 및 가소제를 함유하지 않은 접착제가 사용되어, ‘신문지목재’로 만든 제품은 물론 가공 시 나오는 폐기물도 다시 재활용할 수 있다고. 

www.miekemeijer.nl
www.vij5.nl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7-29 | 프랭크 게리 셀렉트

캘리포니아의 프랭크 로이드 갤러리는 도자 작품만을 전문적으로 선보여온 화랑입니다. 2010년 이곳에서는 프랭크 게리의 전시회가 열렸는데요. 정확히 말하면 프랭크 게리가 선별한 도자 작품들의 전시입니다. 도자기와 프랭크 게리. 의외의 조합 같지만, 약간의 과장을 보탠다면 도자 공예는 그가 건축가의 길을 걷게 된 전환점이었다고 할까요. 조금 더 자세한 이야기는 2010년 오늘자 소식인 ‘프랭크 게리 셀렉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마틴 루터 킹 추념 공예 프로젝트

미국의 1월 셋째주 월요일은 흑인 해방운동 지도자인 마틴 루터 킹 (Martin Luther King, Jr....

2010-07-01 | 아디다스 월드컵 서체

2010년 남아공 월드컵을 위한 아디다스의 커스텀 서체 '유니티'. 디자인을 맡은 브라질의 디자이너 요마르 아우구스투는 월드컵 공인구인 ‘자블라니’에서 서체 디자인이 시작되었다고 말합니다. 공을 장식한 둥근 모서리의 삼각형을 기저로 그 위에 타이포그래피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말이지요. 축구공에서 출발한 2010 월드컵 서체 디자인을 되돌아봅니다.

90년 만에 완성된 ‘단 한 장’의 의자

1934년 헤리트 리트벨트는 단 하나의 나무 조각으로 의자를 만들겠다는 상상력에서 출발하여 선구적인 실험 작업...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