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2-10 | 2010 터너상 시상식

Editor’s Comment

수잔 필립스는 장소에서 출발해 그곳에 소리를 부여하여, 공간과 맥락과 사람 사이에 새로운 반향을 만들어내는 작업을 선보여왔습니다. 그리고 2010년 사운드 설치작가로서는 사상 처음으로 터너상을 수상했지요. 한편 오늘 뉴스의 제목이 터너상 ‘시상식’인 데에는 수상자 발표 외에도 또 다른 이유가 있었으니, 2010년 터너상 시상식장은 시위의 현장이기도 했기 때문입니다. 지난 10월 22일의 옛 뉴스에서 보았던 재정긴축의 여파에서 미술 부문도 예외가 아니었지요.

수잔 필립스, ‘로우랜즈’, 2008/2010 – 테이트 브리튼의 2010 터너상 전시장 모습 
© courtesy the artist, Tanya Bonakdar Gallery, New York and Isabella Bortolozzi Galerie, Berlin. 
photo: Sam Drake and Lucy Dawkins, Tate Photography 

12월 6일 런던 테이트 브리튼에서 2010 터너상 시상식이 열렸다. 수상자 발표자로 나선 미우치아 프라다(Miucia Prada)는 수잔 필립스를 호명하였다. 26년의 터너상 역사에 있어 처음으로, 사운드 인스톨레이션 작가가 터너상을 수상하는 순간이었다. 1965년 글래스고 출생. 던컨 오브 조던스톤 미술대학과 얼스터 대학에서 수학한 그녀는, ‘로우랜즈(Lowlands)’와 ‘멀리 사라진(Long Gone)’의 두 작품으로 올해 터너상 후보에 올랐다. 

수잔 필립스, ‘로우랜즈’ 
– 2010 글래스고 국제 미술제에서의 설치 모습 
courtesy the artist and Tanya Bonakdar Gallery, New York. 
photo: Eoghan McTigue
수잔 필립스, ‘로우랜즈’
– 2010 글래스고 국제 미술제 설치 현장 영상

한편 이 날의 시상식장은 미술학도들의 시위 현장이기도 했다. 현 정부의 미술 관련 예산 삭감과 등록금 인상 방침에 반대하는 학생과 교사들이 시상식장에 진입하여 구호를 외친 것. 다음은 <가디언>의 보도 일부를 발췌한 것이다. 

테이트의 디렉터 니콜라스 세로타 경은 시위자들이 시상식장에 들어온 것을 알고 있었고, “모두가” 미술 예산 삭감 방침에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미술은 사는 곳이나 빈부와 관계 없이 계속해서 누구에게나 열려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수잔 필립스는 “삭감에 반대하는 미술가들을 지지한다”고 말하며 시위자들에게 보다 직접적인 지지의 뜻을 전했다.

영국은 현재 보수당 정권의 강력한 재정 긴축 방침에 따라 진통을 겪는 중이다. CABE나 디자인 카운슬의 경우에서 보았듯 재정 긴축의 여파는 이미 디자인계에도 당도했다. 미술 역시 이러한 기조에서 예외가 아니다. 게다가 대학의 보조금 삭감에 이어 학비 상한선 인상 방침까지 발표되면서, 지난 달 런던에서는 대규모 학생 시위가 벌어지기도 했다. 

www.tate.org.uk/britain/turnerprize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Art3: 걸어서 명화속으로

예술 작품 안을 여행할 수 있다면 어떤 기분일까? 생생한 색과 붓놀림 사이사이를 탐험하고, 그림...

2009-06-23 | 헤이스 바커르, 드로흐를 떠나다

드로흐 디자인의 공동 설립자인 헤이스 바커르가 드로흐를 떠났습니다. 드로흐 디자인 재단의 이사직에서 물러나기로 결정한 것인데요. 사임의 계기로 2009년 3월 문을 연 드로흐 뉴욕 매장 문제가 지목되었습니다. “드로흐의 창조성과 오리지널리티는 내게 있어 언제나 최우선의 전제 조건이었다. 그러나 뉴욕 매장은 이제 상업성이 주 목표가 되었음을 의미한다.” 

텅 빈방, 덩그러니 놓인 QR 코드: 2021 베니스건축비엔날레 독일관

제17회 베니스 건축비엔날레가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1년 연기되어, 원래 개막일이었던 2020년 5월 22일로부터 정확히...

2011-05-12 | OCAD U 시각 아이덴티티

2011년 새단장한 온타리오미술디자인대학의 시각 아이덴티티가 공개되었습니다. 흑백의 창들로 이뤄진 가변형의 로고 디자인이 핵심입니다. 고정형에서 가변형으로 또 더 나아가 반응형에 이르기까지, 2010년을 전후로 운신의 폭을 넓힌 아이덴티티 디자인들이 속속 등장하며 하나의 추세를 이루었습니다. 2009년의 멜버른 시 아이덴티티, 2011년의 BMW 구겐하임 랩 아이덴티티, 2013년의 휘트니 미술관 그래픽 아이덴티티 같은 사례처럼요. 변화하는 디지털 미디어 환경과 시기적으로 궤를 같이 한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동적’ 변화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