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2-08 | 빔 크라우벌 회고전

Editor’s Comment

2011년 런던 디자인 뮤지엄에서 디자이너 빔 크라우벌의 회고전이 영국에서는 처음으로 열렸습니다. ‘빔 크라우벌 – 그래픽 오디세이’는 “미스터 그리드닉”이라 불리웠던 그의 60년 작업 세계를 망라하는 전시였습니다. 10년 전 오늘의 소식과 함께, 2019년 타계한 그를 기리며 암스테르담 시립미술관에서 연 추모 웹사이트도 다시 방문해봅니다. 

디자인 뮤지엄이 그래픽 디자이너 빔 크라우벌(Wim Crouwel)의 회고전을 개최한다. ‘빔 크라우벌 – 그래픽 오디세이(Wim Crouwel – A Graphic Odyssey)’는 영국에서는 처음으로 열리는 그의 회고전이다. 20세기의 대표적인 그래픽 디자이너. 그는 우주 시대, 컴퓨터 기술의 여명기에 등장한 당대 새로운 모더니티의 정수를 포착한 인물로도 평가된다. 

전시는 60년에 걸친 빔 크라우벌의 작업 세계를 아우른다. 50년대의 뮤지엄 아이덴티티 작업과, 60년대 토털 디자인(Total Design)에서의 작업들을 돌이켜볼 때, 그는 당대 네덜란드의 시각 풍경을 만들어간 인물이었다. 판 아베 뮤지엄(Van Abbe Museum)을 위한 포스터나, 암스테르담 시립 미술관(Stedelijk Museum Amsterdam)의 아이덴티티 등 뮤지엄 관련 작업들에서, 크라우벌은 독특한 그리드 시스템을 발전시켰다. 그래픽 아이덴티티의 기본 템플릿으로 기능하는 이 시스템은 시각적인 일관성을 구현하는 토대가 되었고, 이는 그래픽 디자인에 있어 일종의 전환점과도 같은 것이었다. 

그의 대표작인 ‘뉴 알파벳(New Alphabet)’ 서체는 당대의 기술적 변화에 대한 그래픽 디자인의 응답처럼 보였다. 거의 암호문처럼 보일 정도로 판독이 ‘어려웠던’ 새 알파벳은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크라우벌은 논쟁에서 시각적 미학을 기능 우위에 두었다는 사실을 공공연히 인정하기도 하였다. 이 서체는 1980년대 조이 디비전의 <서브스탠스 Substance> 앨범 표지에 다시 등장했고, 1997년에는 파운드리(Foundry)에 의해 디지털화되었다. 

‘뉴 알파벳’을 채택한 조이 디비전의 앨범 커버

질서를 만들어내기 위해 그리드의 선을 따랐던 그리드주의자. ‘빔 크라우벌 – 그래픽 오디세이’는 “미스터 그리드닉(Mr. Gridnick)”의 엄격한 디자인 접근법과 작업 역사를 드러내 보일 것이다. 다수의 아이덴티티, 포스터, 프린트, 타이포그래피를 비롯해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전시 디자인에 이르기까지, 전시는 빔 크라우벌의 ‘그래픽 여정’에 있어 핵심적인 순간들을 조명할 예정이다. 한편 전시는 빔 크라우벌이 동시대 그래픽 디자인에 남긴 유산과 영향에 대해서도 살핀다. 피터 사빌, 스테판 사그마이스터와 같은 디자이너들의 코멘터리와 더불어, 6인의 디자이너들이 빔 크라우벌을 테마로 선보이는 한정판 프린트 시리즈 등도 선보일 것이다. ‘빔 크라우벌 – 그래픽 오디세이’는 내년 3월 30일부터 7월 3일까지 개최된다. 

www.designmuseum.org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08-23 | 북유럽의 새 바람, 무토

2006년 무토는 “스칸디나비안 디자인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기치로, 북유럽 디자이너들에 의해 일신하는 북유럽 디자인을 선보이겠다는 포부와 함께 등장했습니다. 이제 무토라는 이름은 여기 한국의 소비자에게도 더 이상 낯설지 않은 세계적인 브랜드가 되었습니다. 2017년, 놀이 3억 달러를 들여 사들일 만큼요. 그런데 올해 놀이 허먼 밀러에 합병되었으니, 이제 무토도 ‘밀러놀’ 산하의 브랜드가 된 셈이군요.

넷플릭스 디자인 다큐멘터리 시리즈: ‘메이드 바이 디자인(Made by Design)’

넷플릭스가 자체 제작하는 콘텐츠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에서 디자인 다큐멘터리‘메이드 바이 디자인(Made by Design)’ 시즌 1을 2021년 12월 말 공개했다....

2007-08-10 | 시게루 반의 종이 다리

반 시게루에게 종이는 훌륭한 건축 자재입니다. 연약하다고 여겨지는 재료이지만 그것으로 만든 건축물까지 연약하기만 한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그는 ‘종이 건축’으로 반증해 보였지요. 2007년 오늘의 소식은 그가 프랑스에 지었던 종이로 된 다리입니다. 지관을 이용해 한 번에 스무 명이 지나가도 끄떡없는 종이 다리를 완성했지요. 

2008-01-04 | 허구의 디자인에 주목하라

제품이 되기 위한 전 단계로서가 아니라, 어떤 이야기를 전면화한 가상 또는 허구의 디자인. 2008년, 코어77의 수석 에디터 앨런 초치노프는 생산가능성과 무관한 상상과 아이디어를 담은 디자인 혹은 사물의 개념에 집중하여 그 자체를 소비의 대상으로 담은 디자인을 모두 아울러 ‘프로토타이핑’이라 부르며, 그러한 허구의 디자인에 담긴 가능성을 이야기하였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