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0-27 | 신경과학으로 바라본 갭 로고 논쟁

Editor’s Comment

2010년 갭이 새로운 로고를 공개하자, 반응은 뜨거웠습니다. 문제는 그것이 좋은 쪽이 아니었다는 점이었죠. 도대체 새 로고는 왜 그토록 부정적인 반응을 불러 일으켰던 것일까요. 그에 관한 신경과학적 분석까지 등장했으니, ‘쇼핑하는 뇌’에 집중한다는 마케팅 회사 뉴로포커스도 갭 로고 사태에 말을 얹었습니다.

(Gap)의 새 로고는 그야말로 뜨거운 반응을 이끌어냈다. 문제는 그것이 갭의 기대와는 사뭇 달랐다는 데 있다. 부정적인 반응 일색의‘역풍’이 거세지자, 갭은 당황했다. 도대체 무엇이 문제였던 것일까? 어째서 이처럼 많은 이들이 새 로고를 “재앙”이라 단언한 것일까. 이제 갭 로고 디자인 사태에 신경과학적 분석까지 가세했다. 뉴로포커스(Neuroscience)는 말하자면 ‘쇼핑하는 뇌’를 연구하는 마케팅 회사다. 그들은 이번 사태를 맞아 발 빠르게 갭의 새 로고가 사람들의 ‘신경을 건드린’ 까닭을 발표하였다.  

뇌파 활동 측정, 잠재의식 반응 테스트 등을 통해, 뉴로사이언스는 갭의 새 로고에 대한 소비자들의 반응을 분석했다. 그 결과 새 로고는 참신함, 스타일, 기억 등의 브랜드 평가의 핵심적인 지표들 모두에서 이전보다 나은 결과를 담보하지 못했다. 심지어 스타일 지표의 경우 기존 로고가 더욱 높은 평가를 얻었다. 

이와 같은 결과보다 흥미로운 점은 갭의 로고 리디자인이 실패한 지점들을 인지과학, 신경과학의 측면에서 지적한 대목들이다. 가령 기존의 신경과학 연구들은 단어가 이미지 위에 겹쳐 배치될 때, 뇌가 글자들을 무시하거나 간과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말하자면 뇌는 글자보다 이미지에 더 집중한다는 것이다. 새 로고에서 p자는 푸른색 사각형과 겹쳐져 있다. “이는 브랜드 명을 적는 좋은 방법은 아니다.” 지적들은 대부분 p와 사각형 부분에 집중되어 있다. “p자 뒤에 배치된 날카로운 사각형은 로고에 대한 회피 반응을 야기한다.” 불안을 불러 일으키는 날카로운 모서리가 심지어 p자의 둥근 부분을 잘라내기까지 한다. 더불어 기존 로고가 보여주었던 강한 대조도 새 로고에서는 약화되었다. 

한편 G만을 대문자로 나머지 글자를 소문자로 표기하면서 로고답다기 보다 단어 같은 인상을 준다는 점도 지적되었다. 반사적으로 Gap이라는 단어의 뜻에 초점을 맞추게 되어, 브랜드명을 고유명사로서가 아닌 일반명사처럼 받아들이게 된다는 것이다. 전반적으로 서체 역시 과거와 비교하면 평이하고, 또 예전 로고와의 연관성이 축소되면서 브랜드의 유산을 잃어버렸다는 지적도 이어진다.

갭의 로고 리디자인이 불러온 소동은 과연 어떻게 마무리 될지. 갭은 황급히 “여러분의 디자인 제안을 기다린다”며 크라우드소싱 프로젝트를 발표했지만, 애석하게도 이와 관련된 새로운 소식은 들려오지 않고 있다.  

www.neurofocus.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10-19 | BCXSY의 못

디자인 듀오 BCXSY는 금속과 주조 기술을 활용한 전시에 참여하면서, 이를 못이라는 물건을 다시금 생각할 기회로 삼았습니다. 전시회 ‘자연 복제 #2’에서 그들은 조금 색다른 형태의 못을 만들었고, 이를 이용해 탁상과 촛대를 완성했습니다. 물론 주인공은 못이니 만큼, 그 존재를 멋지게 드러냈죠.

2009-08-26 | 빈티지 기모노의 변신

아시아티카의 옷은 확실히 옷감에서 출발합니다. 빈티지 기모노부터 동시대 일본과 이탈리아의 옷감들을 한 폭 한 폭 사들여, 그것으로 옷을 짓지요. 특히 이들이 수집한 빈티지 기모노는 단 하나 뿐인 옷으로 재탄생합니다. 2009년 오늘 소개했던 아시아티카는 반갑게도 여전히 캔자스 시티에서 매년 새로운 컬렉션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2006-08-16 | 역대 최고의 PC, ‘애플 II’

2006년 IBM PC 탄생 25주년을 기념하여 〈PC 월드〉 매거진이 역대 최고의 PC 25개를 꼽았습니다. 혁신성, 영향력, 디자인, 차별성 등을 기준으로 선정된 이 목록에서 가장 윗자리를 차지한 컴퓨터는 ‘애플 II’입니다. 1977년 출시된 애플 II는 “최초도 최첨단도 당시 가장 잘 팔린 모델도 아니었지만, 여러 모로 모든 것을 바꾸었던 기계”였다는 것이 〈PC 월드〉의 평이었습니다. 그렇게 애플 II는 개인용 컴퓨터라는 카테고리가 시장에 안착하는 데 크게 기여했죠. 

2010-07-14 | 스마트폰 데이터 소비 동향

지금으로부터 10여 년 전, 그러니까 스마트폰이 전체 휴대폰 시장의 1/4 정도를 차지했던 시절,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데이터 소비 동향은 어떠했을까요. 시장조사기관 닐슨이 미국 내 6만여 명을 대상으로 월별 데이터 소비 내용을 수집하여 분석했습니다. 데이터 소비량은 전년 동기와 비교해 세 배 이상 훌쩍 뛰었습니다. 90MB에서 298MB로 말이지요. 세월이 느껴지는 단위이기는 해도, 헤비 유저가 데이터 트래픽의 상당량을 차지하는 현상은 그때나 지금이나 크게 다르지 않군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