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0-22 | 긴축, 긴축, 긴축

Editor’s Comment

쾅고(quango)는 정부가 상급 인사를 임명하고 재정지원도 하지만 자율적으로 운영되는 반관반민의 기관들을 가리키는 단어입니다. 다만 여기에는 다소 경멸적인 어감이 깔려 있지요. 가령 국내 일간지의 칼럼에서 이 단어는 이렇게 등장합니다. “우리나라 같은 공공기관을 쾅고라고 조롱기 섞어 부르는 영국에선 같은 날 192개의 쾅고를 없앴다고 발표했다. 쾅고는 유사자치 비정부기구라는 뜻이다.” 국내의 공공기관 운영이 방만하다며, 영국의 쾅고 폐지를 속시원하다는 뉘앙스로 언급한 것이죠. 그런데 이때 사라진 기관 중 하나가 바로 영국 건축·건축환경위원회(CABE)입니다. 긴축의 칼바람 앞에서 문을 닫거나 허리띠를 졸라매야 했던 기관들의 사정이 남의 나라에서 소위 ‘사이다’ 삼을 만한 일이었을까요.

지난 달 말, BBC가 입수한 영국 국무조정실의 문서 하나가 공개되었다. 독립 공공기관들에 대한 심사용 문건으로, 대상 기관들의 폐지 또는 통합 여부가 심사 결과에 따라 가려질 것이었다. 심사 대상 가운데는 디자인 카운슬과 건축·건축환경위원회(CABE) 등 디자인 관련 독립공공기관들도 포함되어 있었다.

그리고 지난 20일, 영국 문화미디어체육부가 재정지출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25%의 예산이 감축됨에 따라, 독립공공기관들에 대한 지원 역시 축소되었다. 문화미디어체육부는 총 55개 독립기관들 가운데 19개 기관을 폐지 또는 개선한다고 밝혔다. 

CABE(+웹아카이브)는 이번 심사 결과 직격탄을 맞았다. 문화미디어체육부는 CABE에 대한 예산 지원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CABE 측은 지난 몇 달 간 정부 측과 함께 예산 감축 방안을 논의해왔음에도 불구하고, 지원 철회라는 결과를 맞이한 데 대해 “쓰라린 실망감”을 느낀다고 밝혔다. 

디자인 카운슬은 조금 더 상황이 나은 편이다. 앞으로 문화미디어체육부 대신 비즈니스혁신기술부의 지원을 받게 된 것. 디자인 카운슬은 이제 공식적으로 비정부공공체(NDPB)가 아니라, 왕실 칙허에 따른 자선단체의 지위를 얻어, 앞으로 비영리 독립기관으로서 운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BIS가 운영하는 비정부공공체 및 독립기관에 대한 지원을 받게 될 것이라고.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비공식 애플 뮤지엄 개관

2022년 5월 28일, 폴란드의 수도 바르샤바에 비공식 애플 박물관이 개관한다. 옛 노블린 공장(Norblin Factory)를...

2009-04-06 | 위기를 팝니다

4월이면 밀라노 국제가구박람회라는 대형 행사를 중심으로, 때맞춰 열리는 전시 등의 소식도 따라오기 마련입니다. 2009년 4월에는RCA 제품디자인과 대학원생들이 ‘위기 상점’이라는 이름으로 밀라노에서 전시를 열었습니다. 사소한 생활의 위기에서 위기의 일 선언에 이르기까지, 14인의 젊은 디자이너들의 디자인을 다시 만나봅니다.

캠벨 수프, 50년만에 변신

앤디 워홀의 팝아트 작품으로 유명한 캠벨 수프의 캔 라벨이 약 50년 만에 리디자인 되었다....

오리와 농부의 공생 관계: 노르딕 하우스

아이슬란드 레이캬비크의 노르딕 하우스(The Nordic House)에서 전시 ‘실험: 오리와 농부(Experiment–Eider&Farmer)’가 7월 31일까지 개최된다. 이번...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