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9-28 | 집전화기입니다

Editor’s Comment

풍크트는 2008년 뛰어난 디자인으로 오래 사랑받을 디자인의 일상적 전자제품을 선보이겠다는 포부로 설립된 스위스의 회사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그들이 선보인 첫 번째 제품은 가정용 전화기였고, 회사의 아트 디렉터로 영입한 디자이너는 재스퍼 모리슨이었습니다. 풍크트는 이후로도 무척 단정한 모습의 USB 충전기, 멀티탭, 물리 키패드를 여전히 지닌 휴대폰, 알람 시계 등을 통해 단순함을 제품화하고 있습니다. 

스위스의 신생 소비자가전 브랜드 풍크트(Punkt)가 내놓은 첫 제품은 가정용 전화기다. 받침대 위에 놓인 무선 전화기. ‘DP 01’은 평범한 집 전화기이다. 풍크트는 첫 제품으로 집 전화기를 택했고, 재스퍼 모리슨(Jasper Morrison)에게 제품 디자인을 의뢰했다. 

옛 전화기들이 대부분 엎어진 채로 놓여 있다면, ‘DP 01’은 받침대 위에 바로 누웠다. “옛날 전화기를 생각해 보면 받침대 위에 아래를 향해 놓여 있다. 차라리 반대 방향으로 하면 더 낫지 않을까, 그러면 전화기를 집어 들지 않고서도 스크린을 보고 전화번호를 누를 수 있을 테니까, 라고 자문해 보았다.” 재스퍼 모리슨의 설명이다. 전화기는 수평으로 놓거나 또는 수직으로 벽에 부착할 수 있다. 전화기의 양 끝만을 받치는 받침대가 불안해 보이지만, 자석 시스템으로 고정된다고 하니 안심할 일이다.

전화기에는 작은 스크린과 숫자 키패드가 있을 뿐이다. 가외의 기능이라면 100개까지 연락처를 저장하는 전화번호부, 자동응답기, 10가지 벨소리 정도가 전부다. ‘DP 01’은 그저 전화를 걸고 받는 것이 제 소임이라 여기는 전화기다. 만물이 스마트를 자부하는 요즘, ‘DP 01’은 모두가 그렇게 똑똑할 필요는 없지 않느냐고 반문하는 듯 하다.  

www.jaspermorrison.com
www.punkt.ch/en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Art3: 걸어서 명화속으로

예술 작품 안을 여행할 수 있다면 어떤 기분일까? 생생한 색과 붓놀림 사이사이를 탐험하고, 그림...

디자인과 치유: 감염병에 대응하는 창의적인 방법

전시 ‘디자인과 치유: 감염병에 대응하는 창의적인 방법(Design And Healing: Creative Responses to Epidemics)’이 쿠퍼...

2121년: 미래 인-사이트(The Year 2121: Futures In-Sight)

일본 롯폰기에 위치한 디자인 연구소 · 미술관 21_21 디자인 사이트(21_21 DESIGN SIGHT)에서 미래의 모습을...

2010-10-11 | 현수교의 원리를 의자에

허먼 밀러의 ‘세일’은 국내 소비자들에게도 익숙한 제품이죠. 2010년 첫선을 보인 ‘세일’은 샌프란시스코의 랜드마크인 금문교에서 착안하여, 현수교의 구조를 의자에 옮긴 제품이었습니다. 2010년 오늘 디자인플럭스는 퓨즈프로젝트와 허먼 밀러가 2년 반의 준비 끝에 내놓은 ‘세일’의 디자인 과정을 소개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