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tor’s Comment
2010년 미국의 쿠퍼-휴잇 내셔널 디자인 뮤지엄이 새로운 소장품 다섯 점을 일반에 공개했습니다. ‘신규 소장품: 디지털 타이포그래피’라는 이름으로 소개된 다섯 점의 작품들은 이른바 데스크톱-디자인 시대 이후의 작품들이 주를 이루지만, 1960년대 빔 크라우벌이 보여주었던 디지털 시대 이전의 서체 실험까지도 포용합니다.
쿠퍼-휴잇 내셔널 디자인 뮤지엄이 지난 주 금요일, 최신 소장품을 관람객에게 공개했다. ‘신규 소장품: 디지털 타이포그래피’라는 이름으로, 새로 구입한 다섯 점의 그래픽 작품을 선보인 것. 작품들은 타이포그래피 분야에 있어 탈모더니즘의 경향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닌다. 활기와 표현성으로 가득한 서체들. 이는 모더니즘 시대의 엄격한 서체들과는 사뭇 다른 모습과 태도를 보여준다.
새로운 서체를 향한 움직임은 이미 1960년대 초반부터 확인된다. 여기에 데스크톱-디자인 기술이 처음 등장한 1980년대 역시 주목해야 할 시기다. 매킨토시 컴퓨터와 폰토그래퍼(Fontographer, 1986), 쿼크익스프레스(QuarkXpress, 1986), 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Adobe Illustrator, 1986-1987) 등 디자인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이 디자인의 ‘도구’가 되면서, 그래픽 디자이너들은 보다 ‘손쉽게’ 직접 글씨 형태에 개입할 수 있었다.
쿠퍼-휴잇 내셔널 디자인 뮤지엄이 공개한 다섯 점의 그래픽 소장품들은 대부분 1990년대 이후의 작품들이지만, 빔 크라우벌의 작품만큼은 예외다. 1969년의 리도그래프 ‘네덜란드 시각 커뮤니케이션, 암스테르담 시립미술관’은 데스크톱 등장 이전 시대의 서체 실험을 엿볼 수 있는 사례다.
여기에 이언 앤더슨(Ian Anderson)이 디자인한 <에미그레> 29호(1994), 컴퓨터 게임 기술을 응용한 서체 디자인을 선보인 코넬 윈들린과 질 가비에의 ‘게임 오버’(1999) 포스터를 지나, 마리안 반체스의 장식미 가득한 ‘폭스 리버 홍보 책자’(2006), 마지막으로 타이포그래피 콘텐트를 디지털 방식으로 다뤄낸 미힐 스휘르만의 2007년도 포스터 ‘호스프로젝트스페이스 제공: 의례적 경향’이 새롭게 소장품 목록에 올랐다.
ⓒ designflux.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