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8-19 | 테크노크래프트 전시 개막

Editor’s Comment

2010년 전시 ‘테크노크래프트’는 만들기라는 오래된 행위의 새로운 양상들과 그것이 불러온 새로운 가능성에 주목했습니다. 작년 5월 18일자 기사에서 그 내용을 소개했었죠. 오늘자 뉴스는 개막 이후 전시 현장의 모습을 담고 있습니다.

지난 7월 11일 예르바 부에나 아트 센터(Yerba Buena Center for Arts)에서 전시회 ‘테크노크래프트(Technocraft)’가 개막했다. 디자이너 이브 베하가 전시 기획을 맡은 이번 전시에서는, 부상하는 ‘만들기(making)’의 경향을 다루고 있다. 전시는 여섯 가지 키워드를 통해 오늘날의 디자인 신을 조명한다. 크라우드소싱, 플랫폼, 청사진, 해킹, 미완성, 모듈이라는 키워드는 전형적인 생산 프로세스, 생산자-소비자의 관계로부터 이탈해 나아가는 디자인 사례들에 접근하는 이정표이다. 상세한 전시 내용은 지난 기사로 갈음하고, 여기 전시작 추가 이미지과 함께 퓨즈프로젝트가 보내온 ‘테크노크래프트’ 전시 현장의 모습을 전한다.

마레인 판데르 폴(Marijn van der Poll)의 ‘두 힛 체어(Do Hit Chair)’
사이클사이드(Cyclecide), ‘로켓 자전거(Rocket Bike)’
photo by Jason ‘Jay’ Broemmel
뤼디거 오테 & 로만 린데바움(Ruediger Otte & Roman Lindebaum), ‘로 웨이스트(Low Waist)’
photo courtesy of the designers
임즈 해킹 팀(Eames Hack Team), ‘하이 체어(High Chair)’ 
photo by Fuseproject
스튜디오 칸(Studio Kahn), ‘프래질 소금 & 후추 셰이커(Fragile Salt & Pepper Shakers)’ 
photo by Oded Antman
images courtesy of Fuseproject 

www.ybca.org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8-04-29 | 평범한 일상에 근거하라

변화와 혁신을 말하는 목소리야말로 유일하게 변하지 않는 무엇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한 변화와 혁신은 평범하고 지루하기까지한 일상의 행동에서 비롯된다고 웬디 마치는 말합니다. 2008년 미국산업디자인협회의 컨퍼런스에서 그가 이야기했던 “평범한 미래”를 다시 만나봅니다.

2010-03-03 | 졸업작품, 소더비로 향하다

2000년대 중반 이후 디자인이 주요한 소장품으로 부상한 가운데, 2010년에는 디자인 아카데미 에인트호번 학생들의 졸업작품이 유서 깊은 경매 회사로 향했습니다. ‘협업’의 개념으로 진행된 작품 판매 전시를 통해 최소한의 옷, 사우나 겸 옷장, 감각부하 탈출공간 등 2009년도 졸업작품들이 소더비 런던에서 전되었습니다.

Sad by Design: On Platform Nihilism

“뉴노멀에 온 걸 환영한다.” 시작부터 이런 달갑지 않은 문장이 등장한다. 지겹게 들어온 뉴노멀 타령인가...

코로나 시대 1년, 디자인의 변화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코로나 19의 팬데믹을 선언한 날이 2020년 3월 11일이니, 공식적으로 전세계인들의 발이 묶인지 1년 2개월이 지났다. 팬데믹 선언 이후, 미디어에서는 코로나 시대의 디자인에...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