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7-15 | 이번에는 세라믹

Editor’s Comment

전기주전자와 세라믹의 만남. 프랑스의 엘리움 스튜디오가 디자인한 로벤타의 ‘세라믹 아트’입니다. 도자기와 찻주전자는 본래 친연하지만, 그것이 전기주전자일 때에는 이야기가 달라지겠지요. 엘리움 스튜디오는 엘라스토머 소재의 도움을 받아 세라믹과 가전의 안전한 동거를 성취했습니다. 오늘자 뉴스는 현대 도자 산업의 성취와 가능성을 다루었던 전시회 ‘오브제 팩토리’ 이야기와 함께 보아도 좋겠습니다. 

프랑스의 엘리움 스튜디오(Elium studio)가 다시 한 번 로벤타(Rowenta)의 제품디자인을 맡았다. 작년 가을 출시된 주방가전 시리즈 실버 아트’는 금속과 나무 소재의 믹스가 돋보이는 제품이었다. 로벤타와의 새 프로젝트에서도 엘리움스튜디오는 소재를 키워드로 삼았다. 

‘세라믹 아트(Ceramic Art)’는 유백색의 세라믹 소재로 만들어진 전기주전자다. 본래 다구와 깊은 인연을 지닌 소재이지만, 그렇다고 이를 산업 규모의 가전제품에 적용하는 일은 드물다. 도자를 굽는 과정에서 생기는 미세한 변화들을 통제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오차 없이 동일해야 하는 산업제품에 적용하기에는 불안정한 소재다. 엘리움스튜디오는 엘라스토머(elastomer) 소재의 뚜껑으로, 몸체와 뚜껑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미묘한 틈새를 보완하였다. 덕분에 뜨거운 물을 다루는 전기주전자에 필수인 안전성도 확보했다. 

플라스틱, 스테인리스 스틸 일색인 전기주전자에, 세라믹을. ‘세라믹 아트’는 머그잔과 함께 세트로 판매된다고. 역시 세라믹 주전자다운 구성이다. 

www.eliumstudio.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먹거리 도구: 숨겨진 이야기

주방 도구의 역사를 다룬 책 <먹거리 도구: 먹거리와 먹는 방법에 영향을 주는 사물 이야기(Tools...

2010-07-26 | 빠이롯트 핸드라이팅

활자가 등장하기 전까지, 글자는 곧 손글씨와 동의어였습니다. 문자에 형태를 부여하는 것은 필기구를 쥔 손이었고, 글자와 손의 주인은 일대일의 대응 관계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육필이라는 말이 존재하듯이요. 하지만 글씨를 쓰는 손 대신 자판을 치는 손이 우세해졌고, 심지어 글자마저 지면을 떠나고 서체마저 물리적 몸체를 벗어나 디지털화된 지 오래입니다. 그러한 와중에 ‘손글씨 디지털 폰트’ 류가 글씨 쓰는 손과 자판을 치는 손의 공존을 도모하기도 합니다. 12년 전 오늘의 소식 ‘빠이롯트 핸드라이팅’도 그랬습니다.

2007-12-28 | 잊혀진 의자들

뮤지엄 오브 로스트 인터랙션은 영국 던디대학교의 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학과 재학생들이 만든 온라인 박물관이었습니다. 학생들은 “인터랙션 고고학자”가 되어, 한때 존재했으나 지금은 사라진 과거의 커뮤니케이션 및 엔터테인먼트 미디어 기기들을 연구하고 발굴하였고, ‘잊혀진 의자들’도 그렇게 태어난 전시 중 하나입니다. 아쉽게도 지금은 뮤지엄 오브 로스트 인터랙션 웹사이트도 전시 페이지도 사라졌지만, 오늘의 옛 뉴스를 통해 강령술 의자에서 조명 쇼 의자까지, 잊혀졌던 기묘한 의자들을 다시 만나 봅니다.  

계산된 나무 의자

베를린과 바이에른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디자이너 마티아스 크슈벤트너는 버려지는 나무를 재생산하는 ‘프로젝트 뉴 소스(New Sources)’를...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