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7-12 | ATM 리디자인

Editor’s Comment

은행 창구 직원의 업무 상당 부분이 ATM으로 옮겨 갔죠. 그렇게 은행의 셀프서비스에 있어 핵심이 된 ATM은 그동안 상당한 발전을 이루었지만, 사용자 인터랙션 면에서도 그랬다고는 말하기 어렵습니다. IDEO는 스페인 은행 BBVA와 함께 ATM의 리디자인에 나섰고, 2년의 개발 과정을 거쳐 2010년 그들의 ATM이 공개되었습니다. 그리고 이듬해 이 기기는 iF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어워즈 ‘제품 인터페이스’ 부문을 수상했지요.

은행의 자동화기기(Automated Teller Machine)를 리디자인하라. IDEO가 스페인의 은행 BBVA를 위해 새로운 ATM 기기 디자인에 나섰다. 40여 년 전 처음 등장한 이래, ATM은 기능 상의 진화를 거듭하며, 오늘날 은행의 셀프서비스에 있어 핵심이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ATM의 개발은 생산업체가 중심이어서, 은행은 기기 카탈로그 가운데 하나를 고르는 식이었다. BBVA와 IDEO는 은행의 셀프서비스를 소비자 요구를 중심으로 리디자인하기로 했다. 

“어떻게 기기를 더욱 자동화할 것인가가 아닌, 어떻게 기계를 더욱 인간화할 것인가.” 사용자의 요구에 기반한 맞춤형 기기 디자인을 위해, IDEO는 그들의 장기인 사용자 관찰 및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여기에 기차역 키오스크나 자가주유와 같은 아날로그 셀프서비스에 대한 분석도 병행하였다. 

공개된 새 ATM 기기는 확실히 훨씬 간결하다. 19인치의 터치스크린 상에서 모든 입력과 처리가 진행되며, 화면에는 언제나 현재의 거래 과정만이 담긴다. 기계는 기존과는 달리 기다리는 사람들의 줄과 90도 각도를 이루어 설치된다. 여기에 불투명 패널까지 더해져, 혹여 어깨 너머로 정보가 새어 나갈 가능성을 줄였다. 

쉽고, 안전하며, 단순한 ATM. 새 기기는 올해 초 마드리드의 BBVA 다섯 개 지점에 시범 설치되었다. BBVA 측은 앞으로 스페인은 물론, 멕시코, 남미, 미국 등 새 기기를 확대 설치할 계획이라고. 


www.ideo.com/work/featured/bbva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6-09-28 | 영국 그래픽의 신화, 앨런 플레처 타계

전후 영국 그래픽 디자인 세대를 대표하는 한 사람이었던 앨런 플레처가 2006년 9월 21일 타계했습니다. “디자인이란 하는 것이 아니라 살아가는 방식”이라고 말했던 그는, 시인 칼 샌드버그가 했던 말이자 1995년 그가 포스터에 담았던 말을 입은 채 세상을 떠났다고 합니다. “내가 어디로 가는지는 모르지만, 내 길을 가고 있다.” 

2007-06-27 | 최고급 보석을 훔치다

마이크와 마이커는 세상 값진 보석들을 훔쳐와 자신들만의 장신구 컬렉션을 만들었습니다. 악명 높은 이멜다 마르코스의 그 반 클리프 & 아펠 루비 목걸이라던가 카르티에의 ‘투티 프루티’ 같은 것들을요. 물론 그들이 훔친 것은 실물이 아니라 이미지입니다. 그것도 저해상도의 이미지였죠. 실재하는 것의 열화 이미지를 다시 실물화한 장신구 컬렉션, ‘훔친 보석’입니다.

제로웨이스트 다이닝 테이블

에스토니아의 공간디자인 스튜디오 쿠이다스.워커스(Kuidas.works)가 제로 웨이스트 다이닝 테이블을 선보였다. 이 프로젝트는 에스토니아 TV 쇼...

2011-09-26 | 레드드레스

이 붉은 드레스 한 벌을 짓는 데 원단만 550m가 들었습니다. 그러니 얼마나 거대한 드레스였을까요. 지름 20m에 높이 3m에 달하는 이 의상은 분명 옷이면서 동시에 공연장이기도 했습니다. 드레스 안에 자리한 계단을 올라 공연자가 옷을 입으면, 이제 층층의 치마폭이 관객석이 되니, 총 238명의 관객을 품을 수 있었죠. 디자이너 아무 송과 요한 올린의 컴퍼니가 선보인 초대형 ‘레드드레스’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