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6-01 | 비즈니스 분야 창의인사 100인

Editor’s Comment

2009년부터 매년 미국의 <패스트 컴퍼니> 매거진은 비즈니스계에서 가장 창의적인 인사 100명을 선정해 발표해왔습니다. 정확히 말하면 2019년까지라고 해야겠군요. 2020년부터는 기획에서 ‘100’이라는 숫자를 지웠고, 그리하여 2020년의 명단은 74인의 이름으로 채워졌습니다. 오늘의 뉴스는 2010년, 그러니까 두 번째 100인 명단입니다. 레이디 가가, 에디 큐, 엘리자베스 워런, 시로 나카무라, 라이언 머피…로 시작하는 명단 중간중간 익숙한 디자인, 건축 분야의 인물들이 눈에 띕니다.

<패스트 컴퍼니 Fast Company>가 비즈니스 분야의 창의인사 100인을 선정하였다. 광고에서 건축, 예술, 디자인, 정치, 미디어, 음악, 금융, 기술, 웹 등의 분야를 아우르는 100인의 명단이 순위별로 공개되었다. 작년의 리스트가 “원대한 아이디어를 설파하는” “새로운” 인사들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올해는 오늘날 비즈니스 계에 등장한 아이디어, 목표들의 너른 스펙트럼을 반영하려 했다는 것이 <패스트 컴퍼니>의 설명이다. 

이러한 관점은 작년과 올해의 1위 인사를 비교해 볼 때 완연히 드러난다. 조너선 아이브에서 레이디 가가로. <패스트 컴퍼니>는 “그녀가 최신 댄스팝과 웹에 대한 기민한 이해로 비즈니스 제국을 건설했다”고 이야기한다. 다음 인사도 흥미로운 선택을 보여준다. 애플의 인터넷서비스 부사장 에디 큐가 2위에 오른 것. 애플의 아이튠스와 앱스토어, 아이북스토어의 운영 책임을 맡은 그는, “애플 왕국의 열쇠를 쥔” 인물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장 누벨(Jean Nouvel) 
나카무라 유고(Yugo Nakamura)의 에이전시 타(Tha)가 최근 디자인한 무지 리듬[1](Muji Rhythm) 웹사이트

한편 디자인, 건축 분야의 인사들은 리스트 중후반에 걸쳐 자리잡고 있다. 건축가 장 누벨이 19위, 인터랙티브 웹 디자인의 대가 유고 나카무라가 38위, 오픈프레임웍스의 재커리 리버먼이 26위, 토쿠진 요시오카가 72위에 올랐으며, BIG의 비아르케 잉엘스가 64위, SANNA의 카즈요 세지마가 88위에 올랐다. 

www.fastcompany.com/100/2010

ⓒ designflux.co.kr


[1] 2010년 9월 30일자 폐쇄.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12-07 | 생일 축하합니다, 고다르!

장-뤽 고다르 감독의 80번째 생일을 맞아, 스튜디오 카르발류 베르나우가 선보인 폰트의 이름은 ‘장-뤽’입니다. 고다르 영화 두 편의 타이틀 시퀀스에 등장하는 레터링을 참조하여 태어난 대문자 그로테스크 서체인데요. ‘장-뤽’ 서체와 함께 카르발류와 베르나우가 말하는 고다르 영화 속 레터링이 지닌 특징, 그 연원과 영향에 관한 생각 그리고 관련 자료들도 흥미롭습니다.

2011-05-31 | 스킨

“동물은 네모반듯하지 않으며, 그 가죽도 마찬가지다.” 디자이너 페퍼 헤이코프는 가죽 생산 과정에서 버려지는 들쭉날쭉하고 흠집 난 가죽 조각들을 이어붙여 중고 가구에 입혔습니다. 한때 살아 있는 생물의 피부가 주인 잃은 가구의 피부가 된 셈이지요. 새로운 피부가 씌워지며 만들어진 울퉁불퉁한 외곽선과 거친 이음새가 무언가 기묘한 생명체의 인상을 줍니다. 5월의 마지막 날인 오늘의 뉴스는 페퍼 헤이코프의 ‘스킨’입니다.

2007-07-12 |〈뉴욕타임스〉의 비범한 간판

2007년 <뉴욕타임스>는 근 100년 가까이 머물던 웨스트 43번가 229번지를 떠나 새 건물로 이사합니다. 렌초 피아노가 설계한 52층의 유리 타워로요. 이제부터 이곳이 <뉴욕 타임스>의 본사임을 알릴 대형 간판이 필요했습니다. 건물의 조형미를 훼손하지 않으면서 뉴욕의 까다로운 조닝 규정도 지킬 간판의 디자인 작업은 펜타그램의 몫이었습니다. ‘10,116 포인트 크기’의 로고가 어떻게 신축 타워의 파사드에 안착하였는지, 14년 전 오늘의 뉴스에서 만나봅니다.

2009-10-20 | 2012 런던 올림픽 픽토그램

1948년 처음으로 올림픽에 픽토그램을 적용했던 런던에서 다시 열리는 2012년 올림픽의 픽토그램은 어떤 모습이었을까요. 논란을 불러 일으킨 뉴 레이브 스타일의 과감한 올림픽 로고와 한 가족을 이루어야 하는 픽토그램 디자인을 선보이며, 디자인에 참여했던 팀원은 이런 소망을 밝혔습니다. “사람들이 로고에는 부정적이었지만, 부디 픽토그램에는 호의적이었으면 좋겠다. 특히 디자인계에서 말이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