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5-24 | 그의 문

Editor’s Comment

디자이너 김희원은 여러 장소의 문과 창문을 사진에 담아왔습니다. ‘티 포르타’는 그중 문에 관한 작업입니다. 여러 갤러리와 뮤지엄에서 마주한 문의 풍경을 찍고, 그 모습을 다른 장소의 문에 옮겼습니다. 2010년 ‘푸오리 살로네’의 경우에는 밀라노 엔하우 호텔의 객실 문 위였고요. 오늘의 소식은 김희원의 ‘티 포르타’입니다. 

밀라노 디자인 위크의 오프사이트 이벤트, ‘푸오리 살로네(Fuori Salone)’. 박람회 전시장이 아닌, 밀라노 시내 곳곳에서 펼쳐지는 다양한 전시들이 올해에도 관람객들을 맞이했다. 밀라노 엔하우 호텔(Nhow Hotel)에서 열린 디자이너 김희원의 전시회 역시 그 중 하나였다. 

‘티 포르타(Ti Porta)’에서 김희원은 인테리어 디자인에 있어 흔히 간과되곤 했던 ‘문’의 존재를 전면에 부각시켰다. 그는 “평소 소홀하기 쉬운 문에 사진 프린트를 붙여, 공간에 새로운 분위기를 연출하고자 했다”고 설명한다. 호텔 객실의 문에는 그의 사진 컬렉션 ‘갤러리 도어(Gallery Doors)’의 프린트가 부착되었다. 여러 갤러리, 뮤지엄의 문을 담은 사진들은 모두 문과 문 너머의 공간을 바라보고 있다. 이 사진들이 다시 문 위에 설치되면서, 닫혀 있던 평범한 문들은 다른 공간과 연결된 듯한 착시를 불러 일으킨다. 

‘티 포르타’라는 타이틀은 “당신의 문” 혹은 “당신을 그곳으로 데려가다” 라는 중의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닫혀 있지만 열린, 이곳이지만 동시에 저곳이기도 한 문들을 통해, 김희원은 문 앞에 선 이들을 다른 어딘가로 인도한다. 

‘티 포르타’는 2009 DMY에 이어 올해 ‘푸오리 살로네’ 및 ‘인스피레이션 투 패브리케이션(Inspiration to Fabrication)’ 두 개의 전시를 통해 밀라노에서 다시 한 번 관객들과 만났다. 디자이너 김희원은 현재 아틀리에 멘디니(Atelier Mendini)에서 제품디자이너로 활동 중이며, 더불어 개인 작업도 병행하고 있다. 

www.kimheewon.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뉴욕 경찰의 감시 기계

세계 최대 인권 단체 국제앰네스티(Amnesty International)의 프로젝트 ‘뉴욕 경찰의 감시 기계(Inside the NYPD’s Surveillance...

‘소리의 질서’: 소리의 데이터 세계로 이끄는 문

예술가 겸 건축가 크리스토스 부티히티스(Christos Voutichtis)가 제너러티브 아트 ‘소리의 질서(Order of Sound)’를 선보였다. 이...

2010-09-17 | 2010 프린스 필립 디자이너상 후보

1959년부터 영국 디자인카운슬에서는 디자인 분야에 새로운 지평을 연 인물을 선정하여 시상해왔습니다. 이름하여 프린스 필립 디자이너상입니다. 2010년의 수상자 후보들은 패션부터 공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를 망라합니다. 참고로 이 해의 수상자는 인터랙션 디자인 분야의 선구자로, 최초의 노트북을 디자인한 바로 그 인물입니다.

2011-06-08 |  음반, 당신 뜻대로

2011년 6월 3일, 영국의 록 밴드 카이저 칩스의 새 음반이 그들의 홈페이지를 통해 발매되었습니다. 다만 음반에 어떤 노래가 수록될지 음반 표지는 어떤 모습일지 결정하는 주체는 카이저 칩스가 아니었습니다. 음반을 사러 온 이의 몫이었죠. 표지 디자인에서 선곡 그리고 수익의 배분까지, 정말로 ‘당신 뜻대로’의 앨범이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