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5 | 마르턴 바스의 ‘실시간’, 아이폰 속으로

Editor’s Comment

2009년 마르턴 바스는 영화의 형식을 한 시계를 가지고 밀라노를 찾았습니다. 시간의 매체로 시간의 기계를 구현한 셈이었지요. ‘실시간’ 시리즈는 비록 외장 하드드라이브의 몸체를 가졌으되, 12시간 러닝타임의 영상으로 시간을 표현한 어엿한 시계 세 가지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듬해 ‘실시간’ 중 하나가 아이폰 앱 형태로 다시 찾아왔으니, 이름하여 ‘아날로그 디지털 시계’입니다.

마르턴 바스의 2009년 작 ‘실시간(Real Time)’ 시리즈 중 하나가 아이폰 애플리케이션이 되어 찾아온다. ‘아날로그 디지털 시계(Analog Digital Clock)’는 전형적인 ‘디지털’ 시계의 모습이지만, 실제로 시간이 뒤에 있는 사람의 힘으로 표현된다는 점에서 ‘아날로그’ 시계이기도 했다. 

때로 시계 속의 사람은 숫자 세 개를 모두 바꿔야 하고, 그런 의미에서 60초가 지나면 재깍 숫자가 변하는 정확한 시계와는 거리가 멀다. 하지만 시각이 ‘완성’되기를 기다리는 것이야말로 이 시계의 묘미다. 사용자는 잠깐 현재 시각을 확인하는 대신, 숫자가 ‘변하는’ 순간을 지켜보고 싶어질 것이며, 숫자보다 숫자 창 너머로 어른대는 사람의 그림자에 시선을 빼앗길 지도 모른다. 말하자면 마르턴 바스의 시계는 다른 방식으로 시간을 지켜보도록 한다. 

HD 영상으로 외장 하드드라이브에 담겨 판매되었던 이 시계가 이번에는 아이폰 애플리케이션 버전으로 판매된다. 미술관과 수집가들이 사랑해 마지 않는 그의 디자인을 1달러에 즐길 수 있게 된 셈이다. 이번 ‘아날로그 디지털 시계’ 애플리케이션은 마르턴 바스와 스바로브스키 프로덕션이 함께 개발하였다. 

www.maartenbaas.com
www.svarovsky-productions.com
[iTunes store] Analog Digital Clock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03-23 | 합판으로 그리다

공사장 울타리 역할을 하던 낡은 합판들을 거두어 작품의 재료로 삼았습니다. 브라질의 미술가 엔히키 올리베이라는 울타리로 “회화와 건축과 조각이 한데 결합된” 작품 연작을 선보였는데요. 전시회의 이름도 ‘울타리’입니다. 

2011-04-01 | 노키아 퓨어

서체는 브랜드의 시각 언어를 구성하는 주요한 요소입니다. 에릭 슈피커만의 ‘노키아 샌즈’는 2002년부터 10년 동안 로고부터 시작해 노키아를 대표하는 서체로 자리잡았습니다. 그랬던 노키아 샌즈의 자리를 2011년 새롭게 ‘노키아 퓨어’가 대신했습니다. 다만 2011년은 이미 노키아가 세계 휴대폰 시장에서 위기에 몰려 있던 시점이었고,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2013년 노키아 휴대폰 사업부는 매각되고 말았죠. 돌아 보면 노키아 최후의 노력처럼 느껴지는 서체, ‘노키아 퓨어’입니다.

2007-10-12 | 컨테이너 일리 카페

화물 컨테이너가 버튼을 누르면 90초 만에 활짝 열리며 작은 카페로 변신합니다. 2007년 뉴욕에 잠시 머물렀던 일리의 컨테이너 카페였는데요. 컨테이너는 본래의 용도 외에도 건축의 재료로서, 그러니까 프리팹 모듈로서 자주 활용되곤 합니다. 컨테이너 건축을 전문적으로 해온 애덤 칼킨이 설계와 제작을 맡아 피어나는 작은 카페를 만들어냈죠.

2008-12-01 | 무지 어워드 03 수상작

무지가 주최하는 디자인 공모전, 그 세 번째 수상작들입니다. 오래도록 쓰여온 사물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이를 현대의 생활 속으로 옮기는 것, 그리하여 그 오랜 물건의 기원에 경의를 표하는 것이 무지 어워드 03의 주제였는데요. 그러한 취지를 거의 “언디자인”에 가깝게 밀어붙인, 소박한 밀짚 빨대가 최고상을 수상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