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2 | 인더스트리얼 퍼실리티 x 마티아치

Editor’s Comment

다른 가구 회사들의 하청 작업을 해온 가구제작소가 자신의 이름을 걸고 제품 컬렉션을 선보이기 시작합니다. 2009년 스튜디오 닛잔 코헨과의 협업으로 태어난 첫 번째 컬렉션에 이어, 2010년 두 번째 마티아치 컬렉션의 디자인은 인더스트리얼 퍼실리티가 맡았습니다. 그렇게 마티아치 컬렉션은 해를 이어, 올해로 벌써 22번째 의자를 맞이했습니다.

인더스트리얼 퍼실리티(Industrial Facility), ‘나뭇가지(Branca)’ 
– 마티아치(Mattiazzi)의 두 번째 컬렉션

이탈리아 우디네에 자리잡은 가구제작소 마티아치(Mattiazzi). 가족이 운영하는 이 회사는 1978년부터 목재수공 가구 제작에 집중하며, 업계에서 명성을 쌓아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이름이 낯설다면, 30여 년 넘게 다른 브랜드를 위한 하청 작업을 주로 해왔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최근 마티아치는 다른 브랜드의 뒤에 숨는 대신, 자신의 이름을 내걸고 독자적은 브랜드로 진화하는 중이다. 

스튜디오 닛잔 코헨(Studio Nitzan Cohen), ‘그의 말 / 그녀의 말(He said / She said)’ 중 ‘그녀의 말’ 의자
– 마티아치의 첫 번째 컬렉션

2009년 독일 뮌헨의 젊은 디자인 회사 스튜디오 닛잔 코헨(Studio Nitzan Cohen)을 섭외하여 첫 번째 컬렉션, ‘그의 말/ 그녀의 말(He said / She said)’를 선보인 것이다. 그리고 올해, 마티아치의 두 번째 컬렉션이 밀라노 국제가구박람회에서 공개된다. 새 컬렉션을 위해 마티아치는 인더스트리얼 퍼실리티(Industrial Facility)의 사무실을 찾았다. 

마티아치의 제안은 인더스트리얼 퍼실리티에게는 다소 낯선 것이었다. “우리에게 있어서는 확실히 특이한 프로젝트였다. 우리의 작업은 대체로 대량생산제품과 관련된 것이라, 프로젝트의 의뢰처와 제품의 생산지가 일치하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샘 헥트의 설명이다. 대량생산제품에 일가견이 있는 디자인 회사와, 고집스레 목재 가구를 생산해 온 전문 제작소. ‘나뭇가지(Branca)’ 의자는 그들의 만남이 이뤄낸 결과물이다.

‘나뭇가지’ 의자

이번 작업의 핵심은 기계 공정과 수제 공정의 ‘평형’ 상태라 할 수 있다. 마티아치의 목공들은 수제 작업뿐만 아니라 8축 CNC 밀링 머신을 이용한 섬세한 기계 공정도 직접 진행할 수 있다. 사출분사 플라스틱으로나 만들 법한 복잡한 형태도 나무로 멋들어지게 만들어내는 그들은, 로봇 공정 역시 ‘공예’일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해왔다. 인더스트리얼 퍼실리티는 이 점에 초점을 맞추기로 했다. 의자에 있어 고도로 복잡한 부품은 CNC 밀링 머신으로, 나머지는 전통적인 수제 조형과 마감으로 제작한다면? 

‘나뭇가지’ 의자의 뒤쪽 다리 부분
다리 부분의 가지들로부터 등받이와 팔걸이 등이 연결된다.

인더스트리얼 퍼실리티는 기계와 손의 평형 상태라는 방향에서 출발해, 구체적인 의자 디자인 개발에 나섰다. 디자인의 핵심 비유로 떠오른 것은 나뭇가지. 가지란 큰 가지와 작은 가지의, 잎사귀와 가지의 연결부다. 의자 ‘나뭇가지’에도 숨겨진 가지 부분들이 있다. 의자의 핵심은 뒤쪽 다리들이다. 이 곳은 등받이와 팔걸이, 시트와 이어지는 연결부, 즉 가지들을 지녔다. CNC 밀링 머신으로 제작된 이 두 개의 다리를 기점으로, 수공으로 제작된 의자의 나머지 부분들이 연결된다. 

‘나뭇가지’ 의자의 제작 과정 
all images courtesy of Industrial Facility & Mattiazzi

전체적으로 ‘나뭇가지’는 이음매 없이 매끄러워 보인다. 하지만 그 단순한 윤곽선 속에는 서로 다른 생산공정이 숨어 있다. 말하자면 ‘나뭇가지’라는 디자인 모티프는 외관이 아닌 제작 방식 속에 숨어 있다. 마티아치와 인더스트리얼 퍼실리티의 ‘나뭇가지’는 4월 14일부터 19일까지, ‘조나 토르토나(Zona Tortona)’ 현장에서 공개된다. 

www.industrialfacility.co.uk
www.mattiazzi.eu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3-18 | 페루, 국가 브랜드 공개

2011년 3월 12일, 페루의 국가 브랜드가 뉴욕 월스트리트에서 첫선을 보였습니다. 브랜드는 peru라는 국가명에 페루에서 발원한 모든 문화에서 발견되는 나선의 모티프를 결합한 로고 그리고 그와 궤를 같이 하는 디자인의 공식 서체로 구성되었습니다. 

2008-06-13 | 자동차, 옷을 입다

아직 크리스 뱅글이 BMW의 디자인을 총괄하던 2008년, BMW는 콘셉트카 ‘GINA 라이트 비저너리 모델’을 공개했습니다. 핵심은 텍스타일 스킨이었습니다. ‘소프트톱’ 정도가 아니라 아예 차체 전체가 천을 입은 자동차는 없었죠. 그리고 이런 급진적인 선택이 던지는 질문은 바로 ‘유연한 자동차’라는 개념이었습니다. 

2011-07-26 | 위 메이크 카펫

“우리는 카펫을 만듭니다.” 하지만 아마도 그들의 카펫 위를 거닐거나 뒹굴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일회용 포크, 빨래집게, 파스타… 위 메이크 카펫은 실 대신에 소비 제품으로 카펫을 만들었습니다. 말하자면 소비 사회의 카펫이라고 할까요. 네덜란드의 이 3인조 그룹은 지금도 휴지심, 주름 종이, 연필 등의 일상적인 물건들을 가지고 작품들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2006-08-30 | 호텔을 위해 태어났습니다

객실마다 구비되어 있는 가전제품들이 있습니다. TV부터 알람 시계, 드라이어까지, 어느 호텔을 가도 있으리라 기대하는 기기들이지요. 그러나 대개는 제각각의 회사에서 나온 제각각의 제품들입니다. 리얼플리트(현 아마다나)의 ‘바루슈’는 정확히 호텔을 겨냥한 소형 가전 브랜드였습니다. 지난 6월 발표된 에어비앤비와 무인양품의 ‘호스트를 위한 필수품’ 소식 생각도 떠오르는, 15년 전 오늘의 뉴스입니다.

Designflux 2.0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