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07 | 아이와 함께 가는 카페

Editor’s Comment

어린이를 환영하지 않는다고, 그것이 이곳의 방침이라고 말하는 장소들이 있습니다. 어린이가 출입해서는 안될 장소는 물론 있고 또 있어야 하겠지만, 그곳이 식당이고 카페라면 그래도 괜찮을지요. 곳곳에 노키즈존이 자연스레 자리한 지금, 2010년의 ‘베이비 카페’ 소식을 되돌아봅니다. 물론 어린이와 보호자를 정확히 겨냥한 가게라는 점에서, 어린이도 환영한다는 예스키즈존과는 결이 다른, 그러니까 그냥 키즈존 개념에 가까운 카페입니다. 그리고 넨도는 이러한 기조를 아주 큰 것과 아주 작은 것으로 공간 디자인에 구현했지요.

오모테산도에 카페 하나가 새롭게 문을 열었다. 유아차[1]를 끌고 들어서도 겸연쩍지 않은, 아이와 보호자를 위한 카페. 디자이너 넨도(Nendo)의 최신 프로젝트, ‘도쿄 베이비 카페’이다. 이곳에는 그림책과 장난감, 놀이방, 수유 및 기저귀 갈기를 위한 개별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통로는 유아차가 쉽게 드나들 수 있을 만큼 널찍하며, 조명 스위치나 문 손잡이는 아이들의 키를 훌쩍 넘는 자리에 달려 있다. 

어린이와 부모를 위한 카페[2]. 장소의 콘셉트가 명확한 만큼, 실내 디자인은 부모와 아이, 그러니까 몸의 크기가 다른 두 사용자 층을 동시에 만족시켜야 했다. “어른과 아이는 서로 다른 눈높이로 주변을 바라본다. 어른들에게는 테이블 위가 중요하지만, 아이들에게는 테이블 아래가 중요하다.” 

all photos by Jimmy Cohrssen

넨도는 두 시선을 고루 수용하기 위해, ‘극도로 큰’ 것과 ‘아주 작은’ 것들로 실내를 꾸몄다. 가령 수유용 소파는 그 자체로 놀이방이 될 만큼 크다. 반면 기저귀 갈기용 테이블은 여느 것보다 훨씬 작다. 여기에 창문도, 전구도 큼직한 것과 작은 것이 짝을 이루어 부모[3]와 아이처럼 보인다. 

부모와 아이라는 테마는 이처럼 카페 곳곳에 숨어 있다. 어른들의 눈은 좀처럼 닿지 않지만, 테이블 아래를 누비는 아이들이라면 보게 될 테이블 아랫면에는 모자견의 사진들이 숨어 있다. 넨도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아이들도 부모도 마음 편히 즐길 수 있는 공간을 선보였다.

www.nendo.jp

ⓒ designflux.co.kr


[1] 원문 수정: 유모차 -> 유아차

[2] 원문 수정: 모자 카페 -> 어린이와 부모를 위한 카페

[3] 원문 수정: 엄마 -> 부모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User Friendly : How the Hidden Rules of Design Are Changing the Way We Live, Work, and Play

<유저 프렌들리>라는 400쪽이 넘는 책부터 시작해 보련다. 한때 무슨무슨 프렌들리 식의 말이 유행했던 터라...

2011-07-05 | 랜덤 인터내셔널의 군집 연구, 그 세 번째

런던 빅토리아&앨버트 박물관의 계단참 위로 점점이 LED를 단 청동 막대들이 무리지어 네 개의 육면체를 이루었습니다. 그 자체로 완성된 조명인가 싶지만, 조명은 아래로 오가는 사람들의 움직임에 반응하며 미묘하게 조명의 밀도를 변화하여, 다양한 군집의 진형을 만들어냅니다. 새떼, 벌, 개미 등 자연 속의 무리짓기 행동 패턴을 조명으로 옮긴 설치 연작, 그 세 번째 ‘스웜 스터디 III’입니다.

바다 위, 움직이는 바위

프랑스 마르세유 바다에 움직이는 바위가 등장해 눈길을 끌고 있다. 예술가 줄리앙 베르티에(Julien Berthier)의 바위...

2010-05-11 | 3D 프린터로 건축 모형을

프리덤 오브 크리에이션은 3D 프린팅 기술의 가능성을 앞서 실험한 디자인 회사 중 하나였습니다. 이미 패션 액세서리, 조명, 제품 등 여러 분야에서 디자인을 선보였던 그들이 2010년에는 3D 프린터로 정교한 건축 모형을 제작했죠. 이듬해 프린팅 오브 크리에이션은 2011년 3D 프린팅 전문 기업 3D 시스템스에 인수되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