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2-22 | 벨크로의 힘

Editor’s Comment

특정 제품의 이름인 고유 명사가 그런 물건 일반을 통칭하는 보통 명사가 되기도 합니다. 벨크로도 그런 경우죠. 생활 속 익숙한 물건이 된 벨크로는 또 생체모방 디자인의 대표적인 사례로 언급되기도 합니다. 2007년 런던 디자인 뮤지엄의 아트리움은 벨크로에 습격된 듯한 모습이었습니다. 스페인의 신진 디자이너 루이스 에슬라바는 이 저렴하고 익숙한 물건으로 조명과 벽장식을 선보이며 여러 모로 큰 인상을 남겼습니다. 

흔히 찍찍이라 불리는 벨크로는 의류, 신발, 가방 등의 제품에 흔히 사용되는 유용한 발명품이다. 벨크로의 한쪽 면에는 작은 갈고리들이, 다른 면에는 둥근 올가미들이 촘촘히 배열되어 있어 서로를 단단히 부착시킨다. 1940년대 초 발명된 이래 광범위한 제품에 응용되어 왔지만, 벨크로는 사실 그다지 자신을 드러내지 않는 편이다. 일단 단단히 부착되고 나면 겉면의 봉제선만이 벨크로의 존재를 암시할 뿐이다.

스페인의 떠오르는 디자이너 중 한 사람인 루이스 에슬라바(Luis Eslava)는 가려져 있던 벨크로를 디자인의 전면에 부각시킨다. 지난 1월부터 런던 디자인 뮤지엄의 아트리움에는 벨크로를 이용한 조명, 벽 장식이 설치되어 관람객들의 시선을 끌고 있다. 수많은 디자이너들이 최신 소재와 생산 기술에 몰두하는 요즘의 추세를 돌이켜볼 때, 벨크로는 다소 초라한 소재가 아닐 수 없다. 하지만 오히려 그 때문에 에슬라바의 디자인에 주목하게 되는 것인지도 모른다. 

이번 ‘페이스 투 페이스(Face to Face)’ 전시를 통해 루이스 에슬라바는 벨크로만의 독특한 유연성과 촉감을 극대화한 작품들을 선보이고 있다. 배치에 따라 무한히 재배열되어 빛의 패턴을 바꾸는 전등갓과 어떠한 벽에도 부착 가능한 장식물까지, 에슬라바의 디자인은 마치 벨크로로 그려낸 3차원 드로잉처럼 보인다. 이런 저런 방식으로 자유롭게 붙여보며 패턴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점에서, 이번 작품들은 ‘DIY(Design It Yourself)’라는 트렌드와 맞물려 있다고도 볼 수 있다. 

스페인 발렌시아 출신의 루이스 에슬라바는 이제 갓 서른을 넘긴 젊은 디자이너로, ‘성모 마리아여, 우리의 데이터를 보호하소서’와‘벨크로 라이트’와 같은 작품으로 작년 한 해 유수의 디자인 페어를 순회했다. 최근 하이메 아욘을 필두로 스페인 디자인의 영향력이 새롭게 주목받는 가운데, 루이스 에슬라바와 같은 탄탄한 신진 디자이너들 역시 속속 국제적인 무대로 진출하고 있다.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8-11-24 | 무지 매뉴팩처드 바이 토네트

“이 정도의 품질로 곡목 가구와 스틸파이프 가구를 만들 수 있는 곳은 온 세상을 통틀어 독일의 토네트 공장 뿐”이라고 무지의 대표 마사키 카나이는 말했습니다. ‘무지 매뉴팩처드 바이 토네트’는 토네트를 대표하는 클래식 가구를 무인양품의 소비자에게 소개하는 흥미로운 기획이었고, 토네트의 곡목 의자와 스틸 파이프 가구가 재해석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그렇게 제임스 어바인의 곡목 의자와 콘스탄틴 그리치치의 스틸 파이프 가구가 무지와 토네트의 이름 아래 탄생했지요.

〈저널 오브 디자인히스토리〉(Journal of Design History), Volume 34, Issue 2, June 2021

시각문화, 물질문화와 더불어 디자인사에 집중한 전문 학술지인 <저널 오브 디자인히스토리>. 매번 논문이 4편 정도...

2010-02-24 | 메타볼리시티

농사를 지으려면 토지가 필요하지만, 도시에서 토지는 값비싼 자산입니다. 그럼에도 도시에서 작게나마 기르는 기쁨을 텃밭의 형식으로 가꾸는 사람들도 적지 않지요. 더 나아가 도시 안에 들어선 공장형 스마트팜도 낯설지 않은 요즘입니다. 2010년 오늘 소개한 스튜디오 루프의 ‘메타볼리시티’는 도시를 위한 수직형 텃밭 제안입니다. ‘바이오루프’라는 지지대를 통해 텃밭을 도시 건축 환경의 일부로 만들어냈죠. 

2010-07-26 | 빠이롯트 핸드라이팅

활자가 등장하기 전까지, 글자는 곧 손글씨와 동의어였습니다. 문자에 형태를 부여하는 것은 필기구를 쥔 손이었고, 글자와 손의 주인은 일대일의 대응 관계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육필이라는 말이 존재하듯이요. 하지만 글씨를 쓰는 손 대신 자판을 치는 손이 우세해졌고, 심지어 글자마저 지면을 떠나고 서체마저 물리적 몸체를 벗어나 디지털화된 지 오래입니다. 그러한 와중에 ‘손글씨 디지털 폰트’ 류가 글씨 쓰는 손과 자판을 치는 손의 공존을 도모하기도 합니다. 12년 전 오늘의 소식 ‘빠이롯트 핸드라이팅’도 그랬습니다.

Designflux 2.0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